• 제목/요약/키워드: Blastospore produc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흰굳음병균(Beauveria basiana) 단균사의 대량배양생산을 위한 액체배지 개발 (Development of Liquid Culture Media for the Mass Production of Beauveria bassiana Blastospore)

  • 서종복;진병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2-175
    • /
    • 1995
  • 흰굳음병균(B. basiana)을 이용하여 백강잠의 대량생산과 효과적인 사상균 살충제 개발을 위해, 사상균의 대량배양 체계에 있어서 접종원인 단균사의 대량 확보에 필수적인 1차 액제배지를 개발하였다. 농가부산물인 저가의 밀기울을 탄소원으로, 질소원으로는 대두박을 선발하고, 이들의 조성비와 농도에 따른 밀기울·대두박 배지에서 단균사의 성장을 조사한 결과, 밀기울과 대두박을 3:2의 비율로 최종배지 농도가 5%되게 조성하였을 때, 배양 4일째 배지 ml당 약 7.6X108개의 단균사를 얻을 수 있어, 단균사의 성장과 경제성면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Production of Blastospore of Entomopathogenic Beauveria bassiana in a Submerged Batch Culture

  • Pham, Tuan Anh;Kim, Jeong-Jun;Kim, Seon-Gon;Kim, Keun
    • Mycobiology
    • /
    • 제37권3호
    • /
    • pp.218-224
    • /
    • 2009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liquid culture conditions in shake flasks for maximal sporulation of Beauveria bassiana. The optimal initial pH for the spore production of B. bassiana using Potato Dextrose Broth was 5.2. The screening in shake flasks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s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an optimal medium based on 3% sucrose and 1% casamino acid, with a C : N ratio of 22 : 4. Using this medium, a production level of $5.65{\times}10^7$ spores per ml was obtained after 5 days of culture. Using 3% corn meal, 2% corn steep powder, and 2% rice bran, the maximum spore concentration of $8.54{\times}10^8$/ml was achieved 8 days after inoculation at $25^{\circ}C$ in a rotary shaking incubator operated at 200 rpm. This represents a yield gain of approximately 2.89 times that of pre-optimization.

Insecticidal Activity of Paecilomyces fumosoroseus SFP-198 as a Multi-Targeting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The Greenhouse Whitefly and The Two-Spotted Spider Mite

  • Kim, Jae-Su;Roh, Jong-Yul;Choi, Jae-Young;Shin, Sang-Chul;Jeon, Mun-Jang;Je, Yeon-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7권2호
    • /
    • pp.181-187
    • /
    • 2008
  • An entomopathogenic fungus, Paecilomyces fumosoroceus SFP-198 was isolated in Kyungbuk province, Korea and screened out for the control of Trialeurodes vaporariorum nymphs. It showed 72.5% efficacy against second instars of T. vaporariorum nymphs at 6 days after treatment in the laboratory. To select an active ingredient for the mass production and the formulation, SFP-198 culture products were compared based on their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T. vaporariorum nymphs. Among them, conidia and blastospores showed much higher insecticidal activity than supernatants. Furthermore, SFP-198 conidia were more heat-resistant than blastospores, and also powder form of conidia was more stable than their suspension form. SFP-198 conidia showed high pathogenicity on not only T. vaporariorum but also Tetranychus urticae in the glasshouse. This result suggested that SFP-198 conidia can be used as a multi-targeting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sucking agri- cultural pests, such as whiteflies and mites.

이중 활성 곤충병원성 곰팡이 4균주에 대한 최적 배양 배지 선발 및 다양한 항균활성 평가 (Selection of Optimal Culture Medium for Four Entomopathogenic Fungal Isolates with Dual Activity and Evaluation of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everal Phytopathogens)

  • 윤휘건;곽원석;우수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33-344
    • /
    • 2018
  • 점박이응애와 복숭아혹진딧물 그리고 잿빛곰팡이병균에 대해 우수한 살충 및 항균활성을 지닌 4가지 곤충병원성 곰팡이에 대해 효율적인 배양 배지 선발 및 다른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정하였다. 효율적인 배지 선발은 출아포자 생산량과 배양액의 항진균활성 검정을 통해 선발하였으며, 그 결과 Beauveria bassiana 2R-3-3-1, Metarhizium anisopliae 4-2, SD3의 경우 GY배지가, B. bassiana SD15의 경우에는 PDB 배지가 적절한 배지로 선발되었다. 다른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 결과, 4개 균주 모두 Colletotrichum acutatum과 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해서는 항진균 활성을 보였으나, Phytophthora capsici와 Colletotrichum fructicola에 대해서는 M. anisopliae SD3만 P. capsici에 대해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다른 균주들의 활성은 미미하였다. Clavibacter michiganensissubsp. michiganensis에 대한 항세균 활성은 Metarhizium속의 2균주는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Beauveria속의 2 균주들은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해충방제에 효과적인 곤충병원성 곰팡이가 다양한 식물병원균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방제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곤충병원성 진균을 활용한 해충 관리와 개발 전략 (Entomopathogenic Fungi-mediated Pest Management and R&D Strategy)

  • 이세진;신태영;김종철;김재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97-210
    • /
    • 2022
  • 곤충병원성 진균은 다양한 흡즙형 및 저작형 해충 방제에 적용이 가능하며, 익충과 천적에 낮은 영향을 보여, 화학농약의 대체체로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170여개의 제품들이 등록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 연구측면에서는 작용기작 및 곤충-진균 상호작용체 구명에 집중하고 있다. 해충 방제를 위한 곤충병원성 진균의 산업화 연구는 초기 살충성이 높은 균주 선발에 집중하였으나, 최근에는 환경 스트레스 인자에 대한 저항성 확보를 포함한 생산성 향상이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이다. 분생포자(conidia)가 주된 처리 형태였지만, 액체배양을 통해 생산되는 아포자(blastospore)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대량생산의 경제성을 확보하려는 노력들도 진행되고 있다. 추가로 살충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형질전환을 비롯한 분자생물학적 연구와 유전자 및 유전체 기능 구명에 집중하고 있다. 해충방제 시장측면에서, 글로벌 작물보호제 기업들은 인수합병 또는 공동 연구개발 형태로 전문 생물농약 기업들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화학농약과 곤충병원성 진균의 tank-mix 전략을 주된 방향성으로 삼고 있다. 현장에서 곤충 생태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 생태학적 처리(ecological application)는 곤충병원성 진균의 살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앞으로의 디지털팜(digital farming) 기술과 접목된다면, 지상부 해충 방제를 위한 실질적인 적용도 가능하다. 곤충병원성 진균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지적재산권 분쟁 해결을 위한 명확한 비교 연구자료 확보도 필요하다. 이와 같은 곤충병원성 진균이 식량생산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미생물자원으로 활발히 활용되고 개발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