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soybeans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초

Evaluation of HP300 Soybean Protein in Starter pig Diets

  • Zhu, Xiaoping;Li, Defa;Qiao, Shiyan;Xiao, Changting;Qiao, Qingyan;Ji, Ch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2호
    • /
    • pp.201-207
    • /
    • 1998
  • One growth trial and one digestibility trial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value of HP300, a commercially processed soybean meal product for weanling pigs. Dried whey, fish meal and/or full fat extruded soybeans (FFES) as well as portions of soybean meal (SBM) were replaced with HP300 in weanling pig diets. The objectives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P300 on growth performance, digestibility,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and blood amino acid concentration in weanling pigs. One hundred and twenty crossbred $(Duroc{\times}Beijing\;Black{\times}Landrace)$ pigs weaned at 28 days of age were used in the growth trial. The pigs were randomly allocated to five treatments, with three pens per treatment and eight pigs per pen. The trial duration was 28 days. The control (CTRL) diet contained no HP300; in treatments 2, 3 and 4, dried whey and fish meal were replaced by 3.0%, 7.5% and 10.5% HP300; in treatment 5, full fat extruded soybeans were replaced by 10.5% HP300 plus soybean oil to attain the same metabolic energy content as FFES. Five T-cannulated barrows were used in a digestibility trial with a $5{\times}5$ Latin square design to determine nitrogen retention and amino acid ileal digestibility of HP300 used alone or mixed with other ingredi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placement of dried whey, fish meal, full fat extruded soybeans and a part of the soybean meal with HP300 in piglet diets improved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p < 0.05). There was a trend toward improved DM, crude protein and amino acid ileal digestibilities and improved protein and amino acid ileal digestibilities and improved protein net availability with the use of HP300 in swine diets.

Melanogenesis-Promoting Effects of Rhynchosia nulubilis and Rhynchosia volubilis Ethanol Extracts in Melan-a Cells

  • Hong, Seong Hee;Sim, Mi Ja;Kim, Young Chul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141-147
    • /
    • 2016
  •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ogenic effects of black soybean ethanol extracts, including Rhynchosia nulubilis bean ethanol extract (RNBEE), R. nulubilis leaf ethanol extract (RNLEE), R. volubilis bean ethanol extract (RVBEE), and R. volubilis leaf ethanol extract (RVLE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RNBEE, RNLEE, RVBEE, and RVLEE were 16.0, 57.7, 365.9, and 260.1 mg/g, respectively.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of RNBEE, RNLEE, RVBEE, and RVLEE were 40.4, 91.7, 84.7, and 216.5 mg/g, respectively. The electron-donating abilities of RNBEE, RNLEE, RVBEE, and RVLEE at $1,000{\mu}g/mL$ were 32.4%, 12.7%, 83.5%, and 84.5%, respectively. RNBEE, RNLEE, RVBEE, and RVLEE at $50{\mu}g/mL$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1) melanin contents by 30.4%, 32.1%, 35.5%, and 37.4%,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RNBEE, RNLEE, RVBEE, and RVLEE at $50{\mu}g/mL$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1)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by 18.4%, 21.8%, 21.5%, and 21.1%,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black soybean ethanol extracts promote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Among the black soybean ethanol extracts, R. volubilis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R. nulubilis, and leaf extract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bean extract. The potential mechanism underlying the hyperpigmentation effects of black soybeans is the promotion of tyrosinase activity.

조리방법을 달리한 쥐눈이콩의 항산화력 및 이소플라본 배당체·비배당체 함량 비교 (Component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and Isoflavones (β-glucoside & aglycone) Contents of Small Black Bean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 신지훈;주나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7-203
    • /
    • 2016
  • Purpose: In this study, small black beans (Rhynchosia nulubilis) that were produced in the Jungsun province of South Korea were selected for use in various cooking recipes because they are known to contain higher isoflavones and excellent antioxidant effects, as compared to any other domestic soybeans. Methods: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small black beans were analyzed with uncooked beans and four other cooking methods of pan broiling, boiling, steaming, and pressure cooking. Results: Contents of ${\beta}$-glucosides (daidzin, glycitin, and genistin) and aglycone (daidzein, glycitein, and genistein) in small black bea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oking methods (p<0.001).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ndicated that the amount of total polyphenol in pressure cooked beans was highest, showing a value of 7.16 mg/g (p<0.001). Most contents of isoflavones (${\beta}$-glucoside, aglycone) in uncooked beans appeared to increase after cooking. In particular, the amount of glycitein was highest in pan broiled beans ($9.63{\mu}g/g$). The total isoflavone content differed among the different cooking methods, ranging from highest to lowest in the following order : pan broiled beans ($759.49{\mu}g/g$), pressure cooked beans ($725.12{\mu}g/g$), boiled beans ($591.05{\mu}g/g$), steamed beans ($511.61{\mu}g/g$), and uncooked beans ($180.80{\mu}g/g$) (p<0.001). Conclusion: Especially, the amount of isoflavon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pan broiled beans and pressure cooked beans, suggestive of optimized cooking methods for increasing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tents in cooked food.

위도가 다른 재배지역에서 생육한 검정콩의 안토시아닌 및 이소플라본 함량 변이 (Variation of Anthocyanin, and Isoflavone Contents in Korean Black Soybeans Grown at Different Latitudinal Locations)

  • 홍승범;이수진;김영학;황영선;윤광희;이성인;남미영;송이슬;정명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9-137
    • /
    • 2010
  • 국내 육성 검정콩을 대상으로 고위도의 수원 ($37^{\circ}$16'N)과 저위도의 밀양 ($35^{\circ}C$30'N)에서 단순 재배지역 차이의 관점이 아니라, 작물의 생육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도 차이의 관점에서 검정콩 함유 안토시아닌 및 이소플라본의 함량 변이를 검토한 결과 안토시아닌 중 D3G 함량은 검정콩 3호 및 일품검정콩이, C3G 함량은 밀양 113호가, Pt3G 함량은 밀양 113호 및 일품검정콩이,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밀양 113 호가 가장 높았다. 재배지 위도차이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변이에서는 검정콩 3호는 D3G, C3G, 및 총 안토시아닌 함량이, 일품검정콩은 C3G 및 총 안토시아닌 함량이 고위도에서 저위도보다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소플라본 함량은 검정콩 4호가 가장 높았고, 재배지 위도차이에 따른 이소플라본 함량 중 daidzein은 검정콩 3호, 밀양 112, 및 밀양 113호가 고위도에서 저위도보다 높았으며, glycitein은 검정콩 3호, 4호가 고위도에서, 밀양 113호는 저위도에서 높았다. Genistein은 공시된 검정콩 중 밀양 113호를 제외한 대부분 품종 및 계통이, 총 이소플라본 함량은 검정콩 4호와 청자콩이 저위도에서 고위도보다 높았다. 그리고 Pt3G를 제외한 안토시아닌 및 이소플라본 함량은 위도에 따른 재배지역과 품종 및 계통 간 상호작용이 있어 품종 및 계통에 따라 위도별 재배환경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Bacillus amyloliquefaciens를 이용하여 콩 종류와 발효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hungkookjang Prepar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with Different Soybeans and Fermentation Temperatures)

  • 이나리;고태훈;이상미;홍창오;박규민;박근태;황대연;손홍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71-7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제조한 청국장으로부터 순수분리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C2를 이용하여 콩 종류와 발효온도에 따른 청국장의 품질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Protease 활성은 $35^{\circ}C$에서 배양했을 때 황태 청국장에서 854 U/g, 흑태 청국장에서 847 U/g로 가장 높았다. Amylase 활성은 황태 청국장의 경우, $40^{\circ}C$에서 3.87 U/g, 흑태 청국장은 $45^{\cricr}C$에서 4.96 U/g로 가장 높았다. 환원당 함량은 황태 청국장의 경우, $40^{\circ}C$에서 16.11 mg/g, 흑태 청국장은 $45^{\circ}C$에서 19.08 mg/g으로 가장 높았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의 경우, 황태 청국장은 $40^{\circ}C$에서 420 mg%/g, 흑태 청국장은 194 mg%/g로 가장 높았다. pH의 경우, 황태 청국장은 $40^{\circ}C$에서 7.92, 흑태 청국장은 $45^{\circ}C$에서 7.59로 가장 높았다. 황태 및 흑태 청국장의 생균수는 각각 $40^{\circ}C$$35^{\circ}C$에서 9.3 log CFU/g로 가장 높았다. 반면에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황태 청국장의 경우, $45^{\circ}C$에서 225 mg%/g, 흑태 청국장은 $40^{\circ}C$에서 80 mg%/g로 가장 낮았다. 황태 청국장은 높은protease 활성, pH 및 아미노태 질소함량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흑태 청국장은 높은 amylase 활성과 환원당 함량 및 낮은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을 나타내었다.

콩에 포함된 비배당체 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의 회수 (Recovery of Aglycone of Daidzein and Genistein in Soybeans)

  • 이광진;김룡매;김영식;노경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5호
    • /
    • pp.641-645
    • /
    • 2005
  • 60% 수용성 에탄올 이용하여 대두콩(정선, 한국), 다원콩(수원, 한국), 작두콩(홍성, 한국), 대두콩(길림, 중국), 검정콩(길림, 중국), 붉은 강낭콩(길림, 중국), 대두콩(캘리포니아, 미국)에 포함된 이소플라본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전처리 단계는 교반추출, 여과, 농축, 원심분리, 막분리로 구성되었다. HPLC 분석은 $C_{18}$ 칼럼을 사용하였고, 이동상 조성은 A는 물/아세트산, 99.9/0.1 vol%, B는 아세토니트릴/아세트산, 99.9/0.1 vol%이며, A/B를 85/15-65/35 vol%로 50분 동안 선형적으로 변화시켰다. 이 중에서 한국산, 중국산, 미국산 대두콩에서 4개의 이소플라본(다이드진, 제니스틴, 다이드제인, 제니스테인)의 추출량은 각각 1,374.09, 1604.53, $2257.41{\mu}g/g$이었다. 또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인 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의 추출량은 미국산 대두콩에 $144.06{\mu}g/g$으로 실험한 7개 콩 중에서 가장 많이 포함되었다.

titirs2rs2 열성 유전자형을 가진 속푸른 검정콩 계통 육성 (Breeding of a Recessive Soybean Genotype (titirs2rs2) with Green Cotyledons and Black Seed Coats)

  • 최상우;김진아;심상인;김민철;정종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7-151
    • /
    • 2019
  • 콩[Glycine max (L.) Merr. 2n=40]은 국내에서 벼 다음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식량작물이며 성숙 콩 종실에는 3대 영양소외 페놀성 화합물, 이소플라본, 사포닌, 루테인 토코페롤, 피틴산, 루테인, 안토시아닌등 생리활성 물질이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기능성과 가공 적성 및 품질을 저해시키는 성분들도 다수 존재한다. 성숙 콩 종실에서 품질, 기능성 및 가공 적성을 저하시키는 KTI 단백질이 없으면서 난소화성 올리고당인 stachyose 함량이 낮은 속 푸른 검정콩 유전자형을 육성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3개의 모본으로 육종집단을 창성하여 검정종피, 녹색자엽 및 KTI 단백질이 없는 11개의 $F_2$ 종자를 얻었고 stachyose 함량이 낮은 2개의 계통을 선발하여 농업형질 평가를 통하여 검정 종피, 녹색자엽, stachyose 함량이 낮은 titirs2rs2 유전자형을 가진 계통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계통의 초장은 66 cm 정도였으며 백립중은 28.4 g으로 대립이었으며 종피색과 제색은 모두 검정색이었고 성숙 자엽색은 녹색이었다. 선발된 계통의 stachyose 함량은 일반품종(13.01-16.81 g/kg)보다 매우 낮은 2.59(g/kg)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선발된 계통은 Kunitz Trypsine Inhibitor (KTI) 단백질이 없으며 난소화성 올리고당인 stachyose 성분의 함량이 낮고 검정종피와 녹색자엽을 가진 기능성 고품질 유색콩 육성을 위한 중간모본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Variations of Yield Components and Anthocyanin Contents in Soritae and Yakkong Black Soybean Landraces Collected from Different Areas

  • Choi, Yu-Mi;Yoon, Hyemyeong;Shin, Myoung-Jae;Lee, Yoonjung;Lee, Sukyeung;Han, Wang Xiao;Desta, Kebede Tay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42-554
    • /
    • 2021
  • In this study, we cultivated 115 Soritae and 86 Yakkong black soybean landraces collected from ten different locations in Korea. Then, the variations of three yield components (one-hundred seeds weight (HSW), number of seeds per pod (SPP), and yield per plant (YPP)) and three anthocyanins (cyanidin-3-O-glucoside (C-3-O-G), delphinidin-3-O-glucoside (D-3-O-G) and petunidin-3-O-glucoside (Pt-3-O-G))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landrace type and collection area. Both yield components and anthocyanin contents significantly varied between the soybeans demonstrating genetic differences. Soritae landraces had the highest average HSW and TAC, whereas Yakkong landraces displayed the highest average SPP irrespective of collection area. Relatively, Yakkong landraces from Gyeongsangnam-do (1697.29 mg/100 g) and Soritae landraces from Gyeonggi-do (2340.94 mg/100 g) had the highest average TAC.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learly separated Soritae and Yakkong landraces. Moreover, TAC and C-3-O-G showed positive and significant associations in both Soritae (r = 0.972) and Yakkong (r = 0.885) landraces, while yield components showed negative or weak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Overall, ten landraces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resources owing to their high yield (>150 g/plant) and high level of TAC (>2300 mg/100g). This study could lay foundations to molecular level investigations and reinforce the use of Yakkong and Soritae landraces during cultivar development.

Scopolamine으로 유도된 기억 손상 마우스에서 청국장 식이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Chungkukjang Supplementation against Memory Impairment induced by Scopolamine in Mice)

  • 공현주;이경은;양경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7-24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기억 손상을 유발하는 scopolamine을 투여한 마우스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12주간 공급시킨 대두 청국장 분말, 약콩 청국장 분말 및 흑미, 흑임자, 다시마를 첨가한 약콩 청국장 분말 식이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scopolamine을 투여한 마우스의 뇌 중량은 감소되었으나 세 종류의 청국장 분말의 섭취로 유의하게 호전시킬 수 있었다. Scopolamine의 투여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혈청에서 증가된 NO와 MDA 함량은 세 종류의 청국장 분말의 섭취로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대두, 약콩 및 블랙푸드가 함유된 약콩 청국장 식이는 항산화 작용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항산화 효소로 혈청에서의 SOD와 GST 활성은 모든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뇌 조직의 SOD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scopolamine을 투여한 모든 실험군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활성을 보였으나, GST 활성은 증가되었다. 증가된 GST 활성은 대두, 약콩 및 블랙푸드가 함유된 약콩 청국장 식이 섭취로 조절되었으나, 정상군의 활성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Scopolamine의 투여로 낮아진 혈청의 retinol 함량은 약콩 및 블랙푸드가 함유된 약콩 청국장이, 그리고 뇌 조직에서는 대두 및 약콩 청국장 섭취로 높일 수 있었다. 또한 scopolamine의 투여로 낮아진 혈청의 ${\alpha}-tocopherol$${\alpha}-tocopherol$ acetate 함량은 블랙푸드가 함유된 약콩 청국장 섭취로 증가를 보임에 따라 블랙푸드가 함유된 청국장이 체내 비타민 E 상태에 대한 보호효과가 기대된다. 뇌 조직의 TAC는 정상군에 비해 scopolamine으로 투여군에서 현저히 낮았으나, 약콩 및 블랙푸드가 함유된 약콩 청국장 섭취로 정상수준으로 TAC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scopolamine의 투여로 증가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대두, 약콩 및 블랙푸드가 함유된 약콩 청국장 분말이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향후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예방과 관리를 위하여 청국장 이외에 블랙푸드 섭취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충분한 가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발아기간에 따른 대두 품종별 이소플라본 및 영양성분 변화 (Studies on Changes of Isoflavone and Nutrients during Germination of Soybean Varieties)

  • 전수현;이경애;변광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85-489
    • /
    • 2005
  • 대두의 길이와 무게는 발아기간에 따라 4품종 모두 증가하였고, 특히 콩나물용 풍산나물콩은 $2.4{\sim}25cm$로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으며 장류 및 두부콩인 진품콩은 $2.43{\sim}13.57cm$로 가장 낮았다. 무게의 변화는 대립검정콩인 검정콩1호가 $0.54{\sim}0.94g$으로 가장 높은 변화를 보였으며, 진품콩이 $0.48{\sim}0.9g$으로 가장 낮은 변화를 보였다. 모든 품종의 수분은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회분은 발아 전 보다 증가하였다. 조지방의 경우 진품콩은 감소, 풍산나물콩, 신팔달2호, 검정콩1호는 증가했으며, 조단백은 4품종 모두 증가했다. SDS-PAGE는 콩의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고분자량 subunits가 전분자 peptide로 이행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콩의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서 콩단백질이 저분자 peptide로 분해되고 생장을 위한 아미노산 대사에 소비되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저분자 polypeptides subunits의 이용을 통해 다양한 기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대두 중 총 이소플라본 함량을 진품콩은 발아 4일째, 풍산나물콩은 발아 2일째, 신팔달2호는 발아 2일째, 검정콩1호는 발아 4일째에 각각 총 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발아시기에 따른 이소플라본의 이 같은 변화를 응용하여 가공용도별로 사용한다면 기능성식품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