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tope Mapping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16초

한국과 독일의 비오톱지도화에 대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Biotope Mapping between Korea and Germany)

  • 최일기;안근영;이은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65-57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비오톱지도화가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실제적 계획수단으로 활용될 있도록 비오톱지도화의 출발지인 독일과의 비교를 통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한국의 전국 비오톱지도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설정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한국과 독일의 비오톱지도화 관련 문헌 및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국토 및 연방정부차원, 주정부차원, 도시 및 정주지차원에서 양국의 비오톱지도화에 대한 전반적 특성 및 경향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독일은 국토전역에 걸쳐 경관생태권역별로 차등 있는 자연 및 경관을 보호, 관리하기 위해서 경관생태유형도와 경관생가치등급도를 작성하였다. 한국은 생태자연도나 녹지자연도가 전국단위에서 자연환경보전을 위해 추진된 지도화로 들 수 있다. 둘째, 독일 주정부차원에서는 주로 자연지역과 그에 준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비오톱지도화가 실시되었고, 각주마다 비오톱 적색리스트가 작성된 반면, 한국의 경우 이에 준하는 도차원의 비오톱지도화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셋째, 독일의 도시 및 정주지역의 비오톱지도화는 대도시지역 뿐만 아니라 중 소도시와 농촌지역에서도 실시되었으나, 한국의 경우 대도시와 같이 도시화가 많이 진행된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비오톱 지도화가 전국토의 균형 있는 자연환경 및 비오톱 보호 관리를 위한 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도시지역뿐만 아니라 자연지역 및 반자연지역의 비오톱지도화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국토전역에 적용할 수 있는 비오톱유형목록 및 비오톱적색리스트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지역 생태복원계획의 핵심토대로서 도시소생물권 도면화작업과 정보시스템 구축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 -대구시를 사례지로- (The urban biotope mapping and a building of biotope information system as a specialized tool of urban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 나정화;박인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8-132
    • /
    • 1998
  • There are numerous plant and animal species which are adapted to the conditioins of the urban environment. The objectie of landscape and nature conservation in cities can be considered as the perservation of these organisms as the basis for a direct contact between urban dwellers and the landscape elements. However, after 1980 in Korea, green and biotope oases started to develop in the center of the urban area, from which the surrounding population benefited, at least indirectly. Thus urban biotope mapping and biotope informatioin system as a specialized tool of urban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will make clear the orientation for the preservation of species and renaturalizing measu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Biotope types in the study area were separated to 21 biotope. 2) The written description of the biotopes took place on the computerized forms. The basis for the uniform inclusion and description of all biotopes surveyed was a codeplan. Additional details were included on the urban biotope mapping. 3) The evaluation of the mapped biotopes was completed to the following aspect, namely " species diversity and biotope conservation value" and "nature experience value". 4) UBM and BIS represent an important basis for decision aid for the city administration within the context of the ecological urban and landscape planning process. 5) The methodology of UBM and BIS in this study area could be extended to whole urban area.to whole urban area.

  • PDF

도농통합형 도시에 있어서 생물서식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I) - 천안시 성환읍 매주리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iotope's Characters of the Mixed Rural City(I) - In the case of Maejuri area in Sunghwan eup, Chonan city -)

  • 이행렬;방광자;이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8-87
    • /
    • 1999
  • This study was aimed to establish the method and process of the Biotope Mapping System.(B.M.S.) The main aspects of research for biotope were divided by 4 schemes such as biosphere, geosphere, antroposphere and evaluation informations. The cartographic function of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as also used to mapping them. The B.M.S. had been progressed with 5 steps : (1) making research goals, (2) constructing the graphic and attribute databases, (3) classifying 3 types of biotope such as tree/shrub biotop, grass biotop and wetland biotop. (4) cross-analyzing biotope types against land use, habitat characters, relief characters and danger/disturbance elements, (5) evaluating the biotope's potentialities. Only 3 steps of them were done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applicating the B.M.S on the research site as followings : 1.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were needed to develop the B.M.S in Korea since ecological habitat conditions of Germany, England are differed from them of Korea. 2. The distributions of the land uses in Maejuri, Seunghwan eup in Chonan city were mainly recorded by forest(29.82%), orchard(14.11%) and landscaping around building site(9.05%). 3. The percentages of the Tree/Shrub Biotope type were ranged by the orchard type(23.8%), natural and artificial deciduous type with natural coniferous(23.6%) and etc. 4. The Grass Biotope type was mainly recorded by the wild grassland type(27.99%), garden type(14.21%) and peddy field with wild grassland(13.24%). 5. The distributions of the wetland were pointed high at the wetland type with reed marsh and edge vegetation around wetland(54.79%) and etc.

  • PDF

독일의 비오톱 유형분류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in Germany)

  • 최일기;이은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73-8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olicy suggestions and new orientations for biotope mapping in Korea from a review of case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sin German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the related literature and data on biotopes in Germany was collected. Second, the representative examples at the provincial government level and urban and residential areas were selected.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biotope types,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s, and biotope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reviewed.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case examples in Germany are as follows: First, the biotope types at the provincial government level were composed of patterns which existed mostly in natural areas and the corresponding areas of their conditions. Those in urban and residential areas were made up of patterns which were distributed in urban areas and their peripheries. Second, the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s at the provincial government level consisted of three steps:large, medium and small. Those in urban and residential areas were made up of two steps: medium and small. However,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introduce the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 composed of three steps. Third, the biotope classification criteria at the provincial government level considered ecological factors and anthropogenic factors except land use forms. Those in urban and residential areas reflected mostly anthropogenic factors and ecological factor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biotope surveys and mapping in Korea should be investigated not only in urban areas but also in natural and semi-natural areas. In addition, a specified biotope type classific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Korea.

도시생태계 보전을 위한 비오톱 평가기법 -새서울 타운을 대상으로- (Assessing the Biotope for Urban Nature Conservation -In Case of New Seoul Town-)

  • 오충현;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130-137
    • /
    • 2000
  • New Seoul Town is a new town in Seoul Mapo-Gu, Which is plan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re are Nanji Waste reclaimed land and Seoul world-cup stadium, which is under construction in the new town. This study is executed for urban nature conservation by assessing the biotope in the new town. The biotope map is mae by the selective mapping method, and assessing the biotope is executed by a quick method, which is originated with R. Wittig and Scheriber(1983). The assessment criteria include the period of development, area, rarity and variety of habitat condition. In the result from this study, biotope type of the new town is classified eight types, and all biotope type is valuable for nature conservation. The reason of this result is because of little natural area which is rice field, farm field, forest, swampy land, etc, except New Seoul Town, in Seoul Mapo-Gu. And so, Biotope in New A Seoul Town, must be conserved and restored in new town urban planning.

  • PDF

도시비오톱의 유형분류 및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rban Biotop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 나정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9-142
    • /
    • 1999
  • 생태도시계획의 핵심토대로서 UBM(Urban Biotope Mapping)과 BIS(Biotope Information System)는 총 5단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2단계의 연구로서 독일 도르트문트시를 사례지로 한 도시비오톱 유형분류방법을 규명해 보고 우리 나라 적용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유형분류결과 biotope group complex는 총 12개, biotope group은 총 67개, detail biotope은 총 1,120개로 나타났다. 면적점유율 및 분포현황의 분석결과 습지초원 및 반건초지 초원비오톱(전체 면적 0.8%)이 희귀비오톱으로 분류되었으며, 분구원지역비오톱(전체 면적의 2.8%)의 다양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적용가능성이란 측면에서 볼 때 서로 다른 도시발전형태에 따른 토지이용패턴의 상이성보완이 필요하고, 더불어 기타 도시생태관련자료에서 지형(적)도(1 : 5,000) 및 적외선 칼라항공사진(1 : 5,000)은 최소한의 자료로 준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부산광역시 강서구의 비오톱 지도작성 및 평가 (Biotope Mapping and Evaluation in Gangseo-Gu of Busan Metropolitan City)

  • 최송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92-106
    • /
    • 2008
  • 이 연구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역을 대상으로 토지이용을 파악하고 비오톱지도를 작성 및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비오톱지도에 사용되는 평가도구는 헤메로비등급(Hemeroby)을 사용하였는데, 헤메로비란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영향정도를 파악하는 등급이다. 강서구는 부산광역시에서 두 번째로 큰 구이며 강한 개발압력의 영향을 받고 있다. 현장조사에 앞서 수치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을 이용하여 비오톱유형을 사전에 구분하였으며, 비오톱유형의 구분 방법은 2000년 서울특별시에서 수행된 방법론을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현장조사에서는 종합적인 비오톱 지도작성법이 사용되었으며, 그 결과 강서구 비오톱의 전체 면적은 $172,620,207m^2$이었으며, 13,631개 폴리곤으로 이루어진 29개 비오톱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전체 22.6%가 도시화지역이었으며, 나머지는 산림과 오픈스페이스지역이었는데, 산림과 오픈스페이스지역 중 22.6%는 산림, 35.6%는 경작지 및 기타지역이었다. 강서구의 헤메로비지수는 54.7이었는데, 이는 강서구 지역이 현재까지는 광범위하게 개발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체계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장기보전 및 개발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시가화지역 식물군집 특성에 기초한 비오톱 유형분류 (Biotope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Vegetation Community in Built-up Area)

  • 김지석;정태준;홍석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54-46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시가화지역의 서로 다른 토지이용을 대상으로 식물군집에 기초한 비오톱 유형분류를 실시하고 비오톱 지도를 작성하였다. 군집분류법에 의한 비오톱 유형화는 생물군집의 서식지인 비오톱의 특성을 잘 반영한다고 할 수 있었다. 연구대상지의 비오톱유형 분류 지표는 이용강도, 토지이용형태, 토지피복유형과 같은 인간행태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유형분류는 4단계 위계로 상위의 Biotope Class를 시작으로 Biotope Group, Biotope Type, Biotope Sub-Type으로 위계를 두어 구분하였다. Biotope Class는 인간간섭여부에 따른 가장 상위 분류로 인간간섭지역과 미간섭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인간의 간섭지역은 투수여부에 따라 Biotope Group으로 분류되었고 틈새투수지역은 넓은 틈새와 좁은 틈새의 Biotope Type으로, 투수식생지역은 평지식생지와 사면식생지의 Biotope Type으로 분류되었다. 각 비오톱 유형의 식별종은 감태나무(Lindera glauca), 망초(Conyza canadensis), 주름잎(Mazus pumilus), 얼치기완두(Vicia tetrasperma), 뽀리뱅이(Crepidiastrum sonchifolium), 잔디(Zoysia japonica), 개소시랑개비(Potentilla supina), 큰김의털(Festuca arundinacea)이었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는 기존의 토지이용 현황에 기반하며 연구자의 주관적인 측면이 개입되는 비오톱 유형분류 기준에 대해서 식물사회학적 접근을 통한 유형 분류의 방법론이 유용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향후 제작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자연환경 지도 유형분류에 있어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