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tope Classification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1초

도시 열환경을 고려한 녹지관리방안 수립 연구 (A Study on Green Space Management Planning Considering Urban Thermal Environment)

  • 주창훈;김정호;윤용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349-1358
    • /
    • 2014
  • This study suggests plan of green space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 of research apprehending the characteristic through sorting types of city thermal environment targeting summer which thermal pollution is the most serious. Considering anthropogenic heat, development level of wind road, therm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types of thermal environment process, it is appeared 36 types, and 10 types is relevant of this research subject. Type I-1, size of building is large, artificial covering area is wide, and thermal load of anthropogenic heat is high, type II-1, development condition of wind road is incomplete as IIlevel, entering cold air is difficult and thermal management and improvement is needed area. Type III-1, scale is large and it is area of origin of cold air, development level of wind road is mostly favorable, type III-2 is revealed as smaller scale than III-1, and small area of origin of cold air. Type IV, anthropogenic heat is $81{\sim}150W/m^2$, average, but development function of wind road is very favorable. Type V, large area of thermal load and the origin of cold air are distributed as similar ratio, and level of development function of wind road is revealed as II level. According to standard of type classification of therm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suggesting plan of green space management and biotops area ratio, type I-1 is buffer green space and waterway creation, goal biotops area ratio 35%, type II-1 afforestation in site and goal biotops area ratio 40%, type III-1, preservation plan to display the current function continuously is requested. Type IV suggests afforestation of stream current, and type V suggests quantitative increase of green space and goal biotops area ratio 45%.

야생동물 서식지 잠재력과 공간가치분류를 통한 정책방향 설정 (Policy Decision Making Through Wildlife Habitat Potential With Space Value Categorization)

  • 장래익;이명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2
    • /
    • 2015
  • Beginning of the human ecology in 1920s, the efforts for applying the environmental values to a policy have been embodied by the enactments of international agreement and relevant laws. The government has been struggling to adopt the environmental values for the policy by enacting the relevant laws and establishing the environmental value evaluation informati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o-natural map, biotope map). In spite of the efforts to apply the environmental value assessment information for the habitat potential of wildlife, the application is being challenged by the discrepancy in methods and criteria. Thus this study intends to measure the potential of wildlife habitat and apply it to the spatial value classification for the application plan of wildlife habitat potential in policy. Maxent was used for the habitat potential and the land types were classified depending on the surface and land use pattern of cadastral map. As a result, the policy matrix including conservation strategy(CS), restoration strategy(RS), practical use strategy(PS) and development strategy(DS) has been deduced as CS $13.05km^2$(2.38%), RS $1.64km^2$(0.30%), PS $162.42km^2$(29.57%) and DS $8.56km^2$(1.56%). CS was emerged mostly on forest valleys and farmlands, and RS was appeared in the road area near the conservation strategy areas. Boryung downtown and Daecheon Beach were the center of DS, while the forest and farmlands were presented as P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uggest the new approaching method by comparing the wildlife habitat potential with the land type. Since this study evaluated the environmental value by one species of leopard cat (Prionailurusbengalensis) with Maxent model,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habitat potential measuring method for various target species as further research.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저수지 인공식물섬 조류 이용현황 분석 (Usage of Waterbirds on the Artificial Floating Islands in Reservoir using UAV)

  • 김경태;김영;김혜정;김성열;김휘문;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7-67
    • /
    • 2019
  • Water-Birds are the birds that occupy the highest proportion in Korea, inland wetlands and reservoirs provide them with a good environment as habitat, but their habitats have been losing because of thoughtless development. Therefore, artificial plant islands in reservoirs are important for improving habitat environment and providing food resources. However, there are no research and standards on the built and management of artificial plant islands. So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nsity of bird using artificial plant island as habitat through monitoring using UAV focus on the Cheonho-reservoirs located in Seobuk-gu, Cheonan-si(Middle Chungcheong Province). Further,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environmental factor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rtificial plant islands as habitats for water-birds. The supervised classification of the three-time images taken by the drone identified 244 white-billed ducks and 46 mandarin ducks. The utilization rate was different for each photographed date, and more individuals were identified in wet artificial plant islands than dry on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tilization follow environmental factors, the distance from the trai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nd the other factor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is study is the first case of the UAV monitoring method of the water-birds using artificial plant islands in the reservoir, and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built and management.

토지이용유형별 야생조류 군집구조 특성 분석 - 시흥시를 사례로 -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rd Communities by Land-use Types - The Case Study of Siheung City, Korea -)

  • 김지석;홍석환;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3-321
    • /
    • 2012
  • 시흥시 토지이용유형별 야생조류 군집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43개조사구를 선정하여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계절별로 군집구조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정점조사법을 활용하였으며 군집분류는 TWINSPAN과 DCA기법을 활용하였다. 군집분류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첫 번째 분류는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중대백로(Egretta alba)와 같은 물새류를 식별종으로 하여 나뉘어졌다. 분류된 2개 군집은 각각 논병아리(Tachybaptus ruficollis)와 참새(Passer montanus)를 식별종으로 다시 분류되어 총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군집은 토지 이용유형에 따라 나뉘어졌으며, 군집 I은 산림지역, 군집 II는 시가화지역과 반자연지역 일부(하천, 논습지)를 포함하였다. 군집 III은 하천과 논습지, 군집 IV는 저수지이었다. 하천과 논습지는 동일 토지이용유형이 서로 다른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나, 논습지와 주변 하천 규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고 있어 동일 토지이용유형의 면적 크기가 군집의 종 구성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종다양도지수는 군집 III(대규모 논습지와 주변 하천)이 가장 높았고, 군집 IV가 낮았다. 최대종다양도나 균등도도 군집 III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비오톱 유형화의 경우 도심 내 논습지 및 도시공원의 규모, 하천변의 토지이용형태를 고려할 경우 최소면적기준의 적용이 필요하였다.

포항시 비오톱의 유형 구분, 속성 분석 및 복원 방안 (Classification, Analysis on Attributes and Sustainable Management Plan of Biotop Established in Pohang City)

  • 정성희;김동욱;임봉순;김아름;설재원;이창석
    • 생태와환경
    • /
    • 제52권3호
    • /
    • pp.245-265
    • /
    • 2019
  • 생물의 특징적인 서식공간을 나타내는 비오톱은 도시생태계의 효율적 조성 및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해 필수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공업도시인 포항시 전역에 성립한 비오톱 유형과 그 속성을 분석하여 이 도시를 생태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포항시에 성립한 비오톱 유형은 삼림(침엽수림, 활엽수림 및 침 활 혼합림), 경작지(논과 밭), 시설녹지 (조경수목식재지), 하천, 저수지, 나지, 주거지역, 공공시설, 상업지역, 공업지역, 도로 및 학교의 12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비오톱 유형에 따른 속성을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을 대표하는 공업지역, 주거지역 및 상업지역에는 제한된 공간에 주로 도입된 식생이 존재하였다. 더구나 그 식생은 지역과 지소의 특성을 반영하는 자생종 보다는 조경 및 원예용으로 개발된 식물들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생산녹지는 도심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먼 곳에는 전형적인 농경지의 형태를 나타내었지만, 인접한 곳에서는 시설농업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자연녹지는 하천을 따라 성립한 수변식생과 산림식생으로 구분되었다. 그 중 산림식생은 이차림(7개 군락)과 조림지(3개 군락)로 이루어졌다. 포항시의 도시생태계는 공업지역이 차지하는 면적이 넓고, 그 중 열오염과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높은 철강산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반면에 녹지는 양과 질 양면에서 모두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이 지역의 생태적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녹지의 양과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식생 복원방안 및 기존 녹지와 복원 예정 녹지를 묶어내는 녹지축 네트워크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공습지 조성후 생물다양성 증진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공고 생태연못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Biodiversity Increase after Creation of the Artificial Wetland -The Case of Ecological Pond at Seoul Technical High School-)

  • 김귀곤;조동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1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reation techniques of artificial wetland, one of biotopes developed to promote biodiversity in urban areas, and to look for improvement steps. Specifically, artificial wetland creation techniques were categorized into living environment and living creature classification. Being living conditions for creations, habitat environment was reviewed with a focus on water and soil environments. Living creatures were classified into plants, insects, fish, and birds. The evaluation of creation techniques was done in post-construction evaluation while considering the creation of habitats for living creatures. Intervention by users, changes in living environment and living species, and relevance of creation techniques were reviewed. Ke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ater environment for the living environment of creatures provides a suitable environment conditions for the living of creatures through a process easing the use of piped water. Various water depths and embankment appear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living of aquatic life. In particular, embankment covered in soil naturally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place for the activities of aquatic insects and young fish as well as the growth of aquatic plants. (2) Various aquatic and ground plants to promote insect-diversity, shallow water, and old-tree logs had contributed greatly in increasing the types and number of insects. Aquatic insects. Aquatic insects were seen much particularly in areas where aquatic plants are rich but water is shallow than any other areas. (3) A space piled with stone to provide habitats for fish was not much used.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fish used embankment built with natural stones and embankment using logs in areas where water is deep.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1,500 fish that had been released propagated using various depths and places for birth. (4) It was analyzed that techniques (creation of island, log setting, and creation of man-made bird nests) to provide habitats and to attract birds are not serving their roles. In such a case, it is believed that species had not increased due to the smallness as well as isolated features of the area. Based on theoretical review, they are judged to be areas that are likely to be used when a greater variety of birds is introduced. It is judged that attracting and keeping more birds at the site, such spaces need to be linked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in terms of building eco-network while ensuring an adequate living areas. (5) In the study areas, users intervened greatly. As a result, a blockage was created preventing the normal growth of plants and non-indigenous plants were introduced. In order to limit the intervention by users, setting enough buffer zones, an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were urgently required. D/H=1>Hyangkyo> houses on the river>temples>lecture halls. D/H ratio of the backside areas is as follows. D/H=1>Hyangkyo>houses on the river>lecture halls. 4. Inner garden were planted deciduous than evergreen trees with Lagerstroemia indica. Enclosed dominant trees were planted by Pinus densiflora, Querces seuata. construct GEM strain, and examined for the expression and functional stability in microcosms.

  • PDF

서울시 소규모 생물서식공간 유형별 특성에 따른 조성 및 관리방안 연구 - 양서류 서식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pace Creation and Management Pla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by Type in Each Small-Scale Biotope in Seoul - Base on the Amphibian Habitats -)

  • 박하주;한봉호;김종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10-126
    • /
    • 2024
  •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조성한 소규모 생물서식공간을 대상으로 유형분류를 실시하여 대표 대상지의 입지특성, 서식처 구조 및 생물서식기능, 위협요인을 분석, 종합하고 유형별 생태적 특성에 따른 조성 및 관리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과 관리항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9개소를 대상으로 현장조사 자료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형화하였으며, 유형화를 위한 분류기준으로 입지, 수계, 규모로 구분하여 대표 대상지 8개소를 선정하였다. 유형별 특성으로 입지는 배후산림 연결성이 낮거나, 단절되어 양서류 이동이 불리한 곳에 조성되었으며, 물 공급으로는 상시 유량 확보 및 일정한 수심 유지가 불안정하였다. 서식처 구조는 면적이 작으며, 양서류 서식에 불리한 인공형 서식구조, 토사 유입 가능성과 호안부의 훼손 등이 있었고 생물서식기능은 습지식물 부족과 귀화초본 분포, 위협요인으로는 주변으로 등산로 개설과 데크 등의 시설 인접으로 인위적인 교란이 발생하고 있었다. 유형별 특성에 따른 조성 시, 개선방안 제시 내용으로 양서류 이동을 위한 배후산림 연결과 물공급이 가능한 곳에 입지하는데 인위적인 물공급 가능성 검토와 지속적인 인입 유도를 위한 수체계 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있었다. 서식처 구조는 가능한 규모를 크게 하거나, 소규모는 여러 개를 연계하여 자연형 수변구조로 조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양서류 은신처 제공을 위한 습지식물 추가 도입과 산책로 등의 시설은 이동루트 확보 이외의 지역에 설치하여 인위적인 교란을 방지해야 할 것이다. 조성 후, 관리방안은 양서류 서식을 위한 다양한 수심 유지와 토사 유입에 의한 사면 안정화, 호안부 훼손 보수, 귀화초본 및 개방수면 확보를 위한 고사 식물체, 퇴적물 제거 등의 관리로 인위적인 관리는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 기 적용된 기법의 문제점 분석을 통해 생물서식기능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서울시를 비롯하여 소규모 생물서식공간을 조성하려는 지방자치단체에 도시환경에 적합한 소규모 생물서식공간 조성 및 관리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하구 생태 복원을 위한 생태구역 구분; 남해 고성만 고성천 인근 하구의 예 (Classifications of Ecological Districts for Estuarine Ecosystem Restoration; Examples of Goseong Bay Estuaries, South sea, Korea)

  • 안순모;이상룡;최재웅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6권2호
    • /
    • pp.70-80
    • /
    • 2011
  • 연안 하구는 인위적인 개발압력이 상존하며 자연적인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이다. 따라서 보존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서는 하구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인위적 혹은 자연적 변화에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를 아는 것이 필요하다. 하구 생태계 변화의 방향과 현 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서 비오톱(biotope)과 하구 타입 분류(typology)를 이용하여 "생태 구역"을 정의하였다. 하구댐의 유무, 염분특성, 식생유무에 따라 16개의 생태 구역을 정의하였고, 고성만에 위치한 고성천 인근 4개 하구(배둔, 구만, 마암, 고성) 생태계에서 지형, 하상경사, 퇴적물 특성, 염분 구조, 식생 면적 등을 통해 생태구역 구분을 시도하였다. 고성천 인근 하구에는 총 16개 생태구역 중 7개가 구분되었다. 자연형 하천인 구만천, 마암천, 배둔천의 상류에는 NFB(natural, fresh, bare)가 나타나고 있으며, 기수 지역에는 NLV(natural, low salinity, vegetated)가 그리고 갯벌에는 NHB(natural, high salinity, bare)가 나타났다. 폐쇄형인 고성천의 경우 담수지역에는 CFB(closed, fresh, bare), 이후 하구쪽으로 CFV(closed, fresh vegetated)가 나타났다. 갈대가 넓게 서식하는 하구댐 안쪽지역은 CLV(closed, low salinity, vegetated)가 나타나며, 거산방조제 바깥쪽은 CHB(closed, high salinity, bare)가 나타났다. 고성천의 CHB와 CLV 지역은 방조제가 하구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염분이 비교적 높고, 수심이 갚은 수로나 갯벌이 존재하던 CHB 지역이 하구둑에 의해 고염분 지역과 단절되면서 염분이 감소하고, 조석의 영향이 줄어들면서 침수가 줄고, 결국 갈대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으로 바뀌게 되며, CLV로 바뀐 것으로 여겨진다. 국내의 여러 하구에 나타나는 생태구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각 생태구역의 출현 분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자료는 인위적, 자연적 변화에 의한 하구 생태계 변동을 예측하고 관리/대응 방안을 마련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생태구역 변화는 생태구조와 가능의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생태계 역할 및 가치의 변화를 수반하며, 생태 구역 변화를 야기하는 사업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근거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