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logical Substance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35초

유해화학물질 분석을 위한 생태조사 기반의 타깃 후보어종 선정법 (Target candidate fish species selection method based on ecological survey for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analysis)

  • 김지윤;진상현;조민재;최혜지;안광국
    • 환경생물
    • /
    • 제41권2호
    • /
    • pp.109-125
    • /
    • 2023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수생태계에 유입되는 주요 유해화학물질 축적 분석을 위한 타깃 후보종 선정과 이에 따른 어류 군집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레퍼런스 하천 선정과 함께 유해화학물질 유입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하수종말처리장(T1)과 수계로 유입된 유해화학물질이 집중되는 금강하구언(T2)의 테스트배드를 분석하였다. 유해화학물질 분석을 위한 타깃 후보종 선정을 위해 7-메트릭 다변수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세부항목은 (1) 상업적으로 유용하며 식용으로 이용하는 어종, (2) 최상위 육식종 어종, (3) 유기물 섭취 어종, (4) 내성도가 높은 어종, (5) 개체수가 풍부한 어종, (6) 채집 가능성이 높은 어종, (7)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어종 등 총 7개 메트릭으로 구성되었다. 타깃 후보어종에 대한 7개 메트릭 모델을 기반으로 8종이 대상 후보로 선정되었다. 타깃 후보종과 함께 공서하는 우점어종은 내성종(50%)이었으며, 이는 수질 오염 지표로 자주 사용되는 내성종의 풍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한 다변량 어류 기반 모델 분석에서는 생태계 건강성이 "나쁨 상태"까지 진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인 수질 변수는 테스트배드에서 섭식 및 내성길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8개의 수질 변수는 T1 지점에서 높게 나타나 하수처리장의 방류수에 따른 영향이 컸으며, T2 지점은 대규모 녹조 현상이 나타나 클로로필 농도가 레퍼런스 지점보다 약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seudomonas sp. RRj 228이 분비하는 항균물질의 동정과 고추탄저균 C. acutatum에 대한 항균활성 (Structural Identification of Antibiotics from Pseudomonas sp. RRj 228, a Antifungal Activity of Collectotrichum acutatum Causing Anthracnose on Pepper)

  • 전상윤;김용균;손홍주;박현철;이상몽;김선태;박기도;강위금;김근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254-1260
    • /
    • 2010
  • 식물 근권미생물은 식물의 뿌리 표면과 내부에 정착하면서 식물생장 촉진물질을 분비하여 식물생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거나, 항균물질을 분비하여 병원균으로부터 식물 근권환경을 보호하여 식물의 생육을 촉진하게 된다. 이러한 활성을 갖고 있는 미생물을 분리하여 동정하며, 항균물질을 분리, 동정하여 지속농업의 발전과 농업환경의 보전을 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논토양으로부터 식물생육촉진활성과 항균활성을 갖는 RRj 228균주를 분리하여, 생리 생화학적방법과 유전학적 방법으로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p.로 동정되었다. RRj 228균주는 B. cinerea, P. ultimum, P. capsici와 R. solani에도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고추탄저병원균인 C. acutatum에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RRj 228균의 배양여액을 C. acutatum, R. solani 및 P. ultimum에 대한 $ED_{50}$값을 측정한 결과 0.14, 0.16, 0.29 mg/ml로 나타났다. 항균활성물질은 RRj 228 배양여액으로부터 각종 크로마토그라피법으로 순수분리하고, NMR과 GC/MS 등의 기기분석을 실시하여 구조를 Phenazine-1-carboxylic acid (분자량 224)로 동정하였다.

둥시 장아찌 제조 과정 중 세포벽성분 및 연화효소의 변화 (Changes of Cell Wall Components and Softening Enzyme during the Preparation of Persimmon Pickles)

  • 천성숙;조영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55-60
    • /
    • 2004
  • 떫은감 둥시를 이용한 감장아찌 제조 중 과육의 세포벽 성분과 연화효소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알콜불용성 물질 및 세포벽 성분의 함량은 감장아찌 제조 시 간장 및 된장 침지 모두 침지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침지 20일째까지는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나 30일 이후부터 급격한 감소가 발생하였다. 수용성 물질의 함량은 간장 및 된장 침지 모두 침지 기간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Lignin, pectin 질 및 산 가용성 hemicellulose의 함량은 간장 및 된장 침지 장아찌 모두 침지 기간이 경과하여 숙성이 진행될수록 감소하였으나, 알칼리 가용성 hemicellulose는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Cellulose의 함량은 간장 및 된장 침지 각각 침지초기의 $6.07{\pm}0.09\;mg/g$$6.18{\pm}0.13\;mg/g$에서 침지 50일째 $6.09{\pm}0.17\;mg/g$$6.28{\pm}0.32\;mg/g$으로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감장아찌의 경도는 간장 및 된장 침지 모두 침지 30일째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olygalacturonase와 pectinesterase는 간장 및 된장 침지 모두 침지 10일째부터 효소활성이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침지 기간이 경과할수록 효소활성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eta}-Galactosidase$의 경우도 간장 및 된장 침지 모두 침지 10일째부터 효소활성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침지 30일째까지 완만한 상승을 나타내다가 침지 40일째부터 급격한 효소활성의 증대가 관찰되었다.

야생꿩으로부터 가금티프스 억제균 Sphingomonas sanguis의 선발 및 항Salmonella 물질 생산 조건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phingomonas sanguis from Wild Pheasant and Production of Antagonistic Substance against Fowl Typhoid causing Salmonella gallinarum)

  • 류향선;이현승;임종희;김진락;김상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27-32
    • /
    • 2004
  • 가금티프스는 닭, 오리, 칠면조, 꿩 등 가금류에 Salmonella gallinarum이 원인균이 되어 발병하는 질병이다. 본 연구는 가금티프스를 방제하기 위한 생균제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의 목적으로 가금티프스 원인균인 5. gallinarum 의 생육을 저해시킬 수 있는 길항균을 야생꿩에서 분리, 선발했다. 최종적으로 3종의 우수 길항균주를 선발하였으며 선발, 분리된 길항균을 동정한 결과 Ll9, L33균주는 similarity가 100%인 Sphinromonas sanguis로 동정 되었고 L50균주는 similarity가 96.2%로써 Sphinromonas sanguis의 근연종으로 동정되었다. 선발된 길항균주가 생산한 길항물질의 특성을 확인해본 결과, S. gallinarum을 저해하는 물질이 고분자성 물질이고 내열성임을 추정 할 수가 있었다. S. sanguis Ll9의 경우 배양 20시간 이후부터 길항물질이 생산되었으며 탄소원, 질소원을 각각 maltose, $(NH_4)_2SO_4$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길항력을 나타내었다. S. sanguis L33의 경우 배양 22시간 이후 부터 길항물질이 생산되었으며 탄소원, 질소원을 각각 galactose, urea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길항력을 나타내었다. S. sanguis L50은 배양 10시간 이후부터 길항물질을 생산하였으며 탄소원, 질소원을 각각 saccharose, $(NH_4)_2S_2O_8$음로 하였을 때 가장 높은 길항력을 나타내었다.

한국산 약용식물로부터의 SOD활성 및 Phenolic Compounds 함량 비교 (Comparision of SOD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 Various Korean Medicinal Plants)

  • 임정대;유창연;김명조;윤성중;이선주;김나영;정일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1-202
    • /
    • 2004
  • 한국에 분포하고 있는 82종의 약용식물에 대하여 환경내성 및 기능성 소재의 개발을 위한 탐색을 위하여 항산화효소와 관련된 첫 번째 방어기작인 SOD 효소활성과 Phenol 화합물의 함량정도를 검정하여 본 결과 SOD 효소활성은 원지 (P. tenuifolia Willd.), 백편두 (D. lablab L.), 백개자 (S. alba L.), 대황 (R. palmatum L.), 감초 (G. uralensis Fisch), 연자육 (N. nucifera Gaertn), 지황 [R. glutinosa (Gaertner) Liboshitz], 현삼 (S. buergeriana Miq.), 인진 (A. capillaris Thb.)등에서 다른 약용작물보다 비교적 높은 SOD 효소 활성 능력을 나타냈다. Total phenol함량은 $(3{\sim}249.731\;{\mu}g/g)$의 범위를 보였으며 지유(S. officinalis L.), 대황 (R. palmatum L.), 복분자 (R. chingii Hu)에서 각각 $249.731\;{\mu}g/g,\;209.546\;{\mu}g/g,\;170.333\;{\mu}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16종의 phenol 화합물의 경우에서는 82종의 약용식물이 각기 매우 상이한 농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소 및 phenol 화합물이 많이 함유하여 우수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된 약용식물에 대해 그들의 이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phenol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는 약용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화장품, 천연 보존재 및 의약품 등으로 개발 (Cook & Samman, 1996)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의심환자에서 무호흡저호흡지수에 영향을 주는 임상적 신체적 요인 : 예비연구 (Clin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Apnea-Hypopnea Index in Suspected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 The Preliminary Study)

  • 강승걸;신승헌;이유진;정주현;강일규;박인숙;김찬우;예미경;황희영;김선태;박기형;김지언
    • 생물정신의학
    • /
    • 제20권2호
    • /
    • pp.54-60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nfluential clin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 apnea-hypopnea index (AHI) in suspecte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patients. Methods We evaluated the comprehensive factors including sleep related symptoms, clinical scales, medical history, substance use, and anthropometric data of the 119 participants who complained of the symptoms of OSA. All the participants underwent attended-full night laboratory polysomnography. Th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the influential and predictive factors of AHI. Results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1 showed that higher AHI was associated with higher body mass index (BMI)(p < 0.001) and higher frequency of observed apnea (p = 0.002).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2, AHI was associated with higher BMI (p < 0.001) and loudness of snoring (p = 0.018). Conclusions The present preliminary results suggest that BMI and observed apnea are most influential factors that affect AHI in suspected OSA patients. In the future study we will design the prediction formula for the OSA and AHI, which is useful in the clinical medical field.

대마씨 발효 추출물의 생리 활성 및 미백 활성 검증 (Verific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ion of Ethanol Extracts from Hemp Seed (Cannabis sativa L.)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윤여초;김병혁;김중규;이준형;박예은;권기석;황학수;이중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88-696
    • /
    • 2018
  • 대마씨(Hemp seed; seed of Cannabis sativa L.)는 삼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 식물이며, 면역력 증가, 동맥 경화증, 변비, 고지혈증 예방, 항염증제, 항암제 등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대마씨 추출물의 효능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은 발효하지 않은 대마씨 추출물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특히 Bacillus cereus에 대하여 발효한 대마씨 추출물에서 항균 활성이 새롭게 나타났다. 또한, 유산균 발효 대마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 활성,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은 발효하지 않은 대마씨 추출물에 비해 각각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멜라닌 증가 물질로 알려진 tyrosinase의 저해 활성도 발효하지 않은 유산균에 비해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유산균으로 발효한 대마씨 추출물은 항산화,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촉진시키며, 따라서 유산균으로 발효한 대마씨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및 식품 개발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간유(肝兪).풍지(風池)와 음릉천(陰陵泉) 자침(刺針)의 비만유발(肥滿誘發) 흰쥐의 지질강하(脂質降下) 및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에 대한 비교연구 -생화학적(生化學的) 및 분자생물학적(分子生物學的) 검토(檢討)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n the lipidlowering and antioxidant effects of acupuncture in Gansoo(BL18).Pungji(GB20) and Eumnungcheun(SP9) of hyperlipidemic rat -centering around biochem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discuss-)

  • 이준무;임관일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6-91
    • /
    • 2002
  • The lipid lowering and antioxidant effects of Gansoo(BL18), Pungji(GB20) and Eumnungcheun(SP9) acupuncture in rats fed high fat diet were analyzed in biochem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aspect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the body weight reduction, all acupuncture groups showed a high reduction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and in acupuncture groups, Gansoo(BL18) and Pungji(GB20) acupuncture groups showed a high reduction. 2. The concentration of plasma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with acupuncture groups showed a little decrease and in acupuncture groups, Gansoo(BL18) and Pungji(GB20) groups showed a low values compared to those of other acupuncture groups. However, the tendency of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t. 3. The concentration of plasma ${\beta}-lipoprotein$ and free fatty acids showed a lowest values in the Gansoo(BL18) and Pungji(GB20) acupuncture groups and the glucose concentration showed to decrease in all treated acupuncture groups. 4. The concentration of liver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Gansoo(BL18) and Pungji(GB20) acupuncture groups showed a lower values than those of control group. 5. In all the acupuncture groups, the plasma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GOT) activity showed a little decrease. In the glutamic pyruvate activity(GPT), Gansoo(BL18) and Pungji(GB20) acupuncture groups showed a lower values than those of control groups. However the values of eumneungcheun acupuncture only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ose of control group. 6. The plasma and liver Thioba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concentration in Gansoo(BL18) and Pungji(GB20) acupuncture groups were a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However the values of eumneungcheun acupuncture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control group. 7. The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in Gansoo(BL18) acupuncture group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ctivity in Gansoo(BL18) and Pungji(GB20) acupuncture groups showed a high values. The catalase (CAT) activity in all the acupuncture groups showed a higher values than those of control group. 8. In acupuncture groups, DNA expression of Apo-B and Apo-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however DNA expression of lepti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reatment groups. DNA expression of $TNF-{\alpha}$ showed a increase in acupuncture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ansoo(BL18) and Pungji(GB20) (especially Gansoo(BL18)) acupuncture affect the lipid metabolism and showed possibility of lowering adipose tissue mass and lipid peroxidation.

산사나무 추출물의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on Hawthorn Tree (Crataegus pinnatifida) Extracts)

  • 민희정;김영균;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317-326
    • /
    • 2017
  • 산사나무 목질부 및 수피부를 70% acetone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목질부는 n-hexane, chloroform ($CHCl_3$), n-butanol (n-BuOH) 및 수용성 추출물로 분획하였으며, 수피부는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EtOAc) 및 수용성으로 분획한 후, 각 추출 분획에 대하여 항산화 및 항염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목질부에서는 n-BuOH용성이, 수피부에서는 EtOAc용성이 가장 좋은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수피부 EtOAc용성은 대조군으로 사용된 buthylated hydroxytoluene (BHT) 및 ${\alpha}$-tocopherol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항염활성은 목질부 수용성을 제외한 모든 분획물들이 nitric oxide (NO)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수피부 조추출물과 수용성 분획에서 가장 우수한 NO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산사나무 추출물은 항산화제 및 항염제로 이용될 수 있는 천연 바이오매스 자원으로써의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폐산화철의 흡착특성을 이용한 도시하수내 인 처리 (Application of Adsorption Characteristic of Ferrous Iron Waste to Phosphate Removal from Municipal Wastewater)

  • 김진형;임채성;김금용;김대근;이상일;김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1-23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철가공 산업에서 배출되는 폐산화철을 활용하여 인 흡착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도시하수 대상으로 폐산화철 접촉조를 적용한 생물반응조 공정의 운전 가능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폐산화철의 표면특성은 inverse spinel 결정구조인 $Fe_3O_4(FeO{\cdot}Fe_2O_3)$가 주된 형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2. 폐산화철의 인 흡착특성은 용액의 알칼리도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나 Freundlich 과 Langmuir 등온흡착 이론식이 잘 적용되었다. 폐산화철의 인 흡착은 알칼리도에 영향을 받는다. 3. 폐산화철의 재생 횟수가 증가할수록 폐산화철의 흡착 특성은 상이하였으며, Freundlich 등온흡착식이 Langmuir 등온흡착식 보다 더 높은 상관성 및 유의성을 보였다. 또한 재생이 반복될수록 흡착능은 감소하였다. 4. 단일 BAF 시스템 운전시보다 폐산화철 접촉조를 적용한 BAF 시스템이 인 처리효율을 약 40%정도 향상시켰으며, 유출수는 총인(TP) 2 mg/L, 용존 인(SP) 1 mg/L 이내로 방류수 법적 기준치를 만족시킬 수 있었다. 5. 상기의 연구결과 폐산화철을 적용할 경우 인 제거가 안정적이며 제거효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대체 흡착제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폐자원의 활용이라는 환경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그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