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Coast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5초

남극 킹조지섬 세종기지 주변지역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in the Vicinity of King Sejong Station,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 최익원;박양주;서동철;강세원;전원태;강위금;성환후;허태영;허종수;조주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709-716
    • /
    • 2011
  • 남극의 토양환경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서 킹조지섬 바튼반도의 세종곶 (세종기지)을 기점으로 하여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서 총 13개 지점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남극 세종기지 주변 토양의 물리적 특성은 전 지점에서 sand가 약 90%이상으로서 silt와 clay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토성은 모두 사토 (10개 지점)와 양질사토 (3개 지점)로 분류되었으며, 전반적인 토양의 입자별 분포특성은 $2,000-500{\mu}m$ 범위의 굵은 입자는 Group 1 > Group 2 > Group 3 순으로 함량이 높았고, $499-355{\mu}m$ 에서는 지역에 따른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355{\mu}m$ 이하의 미세입자는 Group 3 > Group 2 > Group 1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각각의 지점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pH는 4.5-6.7 범위로 약산성 토양이었고, EC는 $0.06-0.16dS\;m^{-1}$ 범위로 낮았다. T-N, OM 및 T-C의 함량은 #6, #8, #12 및 #13 지점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T-P 와 $P_2O_5$의 함량은 #9 와 #12의 지점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남극 킹조지섬에 위치한 세종기지 주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연구한 결과 각각의 지점별로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단편적인 조사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나, 남극반도 및 그 주변 섬들의 토양환경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서해안에서 사육시스템 종류별 참전복 치패의 성장 비교 (Growth Comparis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 Different Culture Systems in the West Coast of Korea)

  • 문성용;윤호섭;서대철;최상덕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42-246
    • /
    • 2006
  • 서해안에서 사육시스템 종류에 따른 참전복 치패의 성장과 생존율을 구명하기 위해서 2001년 6월부터 8월까지 연구하였다. 참전복 치패의 일간 성장률은 정체식 수조에서 $148.6{\pm}48.96\;{\mu}m$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살수식 수조에서 $95.3{\pm}21.45\;{\mu}$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생존율은 살수식 수조보다 회전식 수조에서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5), 회전식 수조에서는 50.0%의 높은 생존율을 보인 반면, 정체식 수조에서 38.3%로 가장 낮았다. 본 연구결과는 회전식 수조에서 치패의 성장과 생존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A comparative study of Sargassum horneri Korea and China strains collected along the coast of Jeju Island South Korea: its components and bioactive properties

  • Kim, Hyun-Soo;Sanjeewa, K.K. Asanka;Fernando, I.P. Shanura;Ryu, BoMi;Yang, Hey-Won;Ahn, Ginnae;Kang, Min Cheol;Heo, Soo-Jin;Je, Jun-Geon;Jeon, You-Jin
    • ALGAE
    • /
    • 제33권4호
    • /
    • pp.341-349
    • /
    • 2018
  • Sargassum horneri is edible brown seaweed abundant along the coasts of Jeju Island, South Korea. In addition to the native S. horneri population, a large amount of S. horneri has been found to invade Jeju Island from the east coast of China. Thus, S. horneri of both Korea (SK) and China (SC) strains now inhabits along with the shore of Jeju Island and have become a threat to the coastal biodiversity. However, they could be used in obtaining functional ingredients for industrial level applications provided an optimized cost effective strategy. In the present study, we compared SK and SC strains for the extraction efficiency, componen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80% methanolic extracts and their partially purified frac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two strains indicated similar bioactive properties such as DPPH and alk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 well a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The yield of 80% methanol extract from SC was higher than SK. However, the yields of the ethyl acetate and chloroform fractions from SK were higher than those of SC strain. The major peaks in th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hromatograms, which was identified as Apo-9 fucoxanthinone, indicated that both methanolic extracts of SK and SC contains major target peaks but with different amounts. This study might be useful for developing functional materials from SC and SK in future.

한국 서남해역 시아해의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 (Subtidal Macrobenthic Community in Shia Sea, Southwest Coast of Korea)

  • 임재근;임현식
    • 환경생물
    • /
    • 제34권4호
    • /
    • pp.329-345
    • /
    • 2016
  • 해남반도와 신안 및 진도 사이에 위치한 시아해에서 저서동물 주요 우점종, 군집 구조 및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49개 정점을 설정하고 2001년 11월, 2002년 2월, 5월, 8월에 van Veen grab(채집 면적 $0.1m^2$)을 사용하여 각 정점당 2회씩 저서동물을 채집하였다. 퇴적상은 목포구와 인접한 내측해역은 muddy sandy gravel 퇴적상이, 조류가 강한 명랑수도와 인접한 지역은 gravel의 퇴적상이, 우이도 남측 해역에서는 sand muddy의 퇴적상이었다. 퇴적물내의 유기물 함량은 0.5~1.5%의 범위로서 평균 약 0.6%였다. 전 조사기간 동안 총 271종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다모류가 전체의 34%를 점유하여 가장 우점하였으며, 갑각류가 28%, 연체동물이 21%를 점유하였다. 평균 밀도는 $166ind.\;m^{-2}$였으며, 다모류가 약 40%, 갑각류가 26%를 차지하였다. 생체량은 평균 $29.2g\;m^{-2}$로서 연체동물이 44%였다. 입도가 세립한 신안군 압해도에서 입도가 조립한 진도군 외측 해역으로 갈수록 출현 종 수, 밀도 및 생체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Bio-env 분석 결과 군집은 입도 조성과 유기물 함량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우점종으로는 세립질 퇴적상에서는 Photis longicaudata, Septifer keenae, Maldane cristata, Lumbrineris longifolia, Heteromastus filiformis, Coptothyris grayi 등이었다. 집괴 분석 결과 4개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으며 SIMPER 분석 결과 정점군 A에서는 Striarca symmetrica, 정점군 B에서는 Glycera chirori, 정점군 C에서는 Heteromastus filiformis, 정점군 D에서는 Latreutes planirostris가 유사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결과로부터 시아해의 대형 저서동물 군집은 퇴적상과 이에 수반된 유기물 함량에 따라 영향을 받는 양호한 군집 특성을 보였다.

경남 통영 한산도 여차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Fish Species Composition in the Eelgrass Bed of Yeocha on Hansando Island, Tongyeong-si, Southern Korea)

  • 박세웅;김준섭;이용득;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2-30
    • /
    • 2021
  • 이 연구는 한산도 여차 잘피밭의 어류상 조사를 통해 월간 출현 어종을 알아보고 인근의 봉암 조사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지인망을 이용해 수행하였고, 조사 기간 동안 총 29종 2,394개체, 10,378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살망둑이었으며, 다음으로는 복섬, 그물코쥐치, 점망둑, 망상어 순이었고, 이들 6종이 총 개체수의 89%, 생체량의 83%를 차지하였다. 잘피밭에서의 어류 종조성은 계절에 따른 변화가 뚜렷했으며, 개체수는 5월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에 가장 많았고, 생체량은 4월에 최고값을 나타낸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월별 개체수와 생체량 변동 및 타 논문과의 비교를 통하여 여차 잘피밭이 어류의 성육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도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에 대한 주기적인 조사를 통해 남해안 연안 어류상 변화에 대비한 자료를 확보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과 생체지표유전자를 이용한 서해안 갯벌 건강도 평가 (Evaluation of Health of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using Biomarker Genes and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 최희찬;최윤석;강한승;이윤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9-66
    • /
    • 2018
  • 갯벌의 건강 수준에 대한 평가는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의 건강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생체지표유전자의 발현 분석을 통하여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의 건강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heat shock protein 70 (Hsp70), heat shock protein 90 (Hsp90), glutathione S-transferases (GST) 및 thioredoxin (TRX)과 같은 생체지표유전자를 이용하여 서해안 갯벌의 건강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들 유전자는 스트레스, 면역 및 항산화 관련한 유전자들로서 이들 유전자의 발현을 통해 생물의 건강 정도를 관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의 8개 정점에서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을 수집했다. 유전자의 발현은 RT-qPC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Hsp70, Hsp90, GST 및 TRX 유전자들의 발현이 8개 정점에서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Hsp90 및 GST의 발현 또는 Hsp70 및 TRX의 발현은 유사하였다. 이것은 각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화학적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분석에 적합한 유전자를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결과는 Hsp70, Hsp90, GST 및 TRX 유전자는 갯벌의 건강을 평가하기 위한 생체지표유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을 시사한다.

잠수관찰을 통한 통영 영운리 연안의 어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by SCUBA Observation in the Coastal Water off Tongyeong, Korea)

  • 이강민;이용득;박종율;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7-113
    • /
    • 2018
  • 이번 연구는 경남 통영시 영운리의 어류 종조성 및 계절변동에 대한 연구를 2016년 10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잠수관찰기법으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5목 35과 45종 5,358개체가 관찰이 되었다. 그 중 농어목(Perciformes)이 29종으로 64%, 쏨뱅이목 (Scorpaeniformes)이 8종 18%, 복어목(Tetraodontiformes) 3종 7%, 차지하였다. 우점종으로는 볼락 (Sebastes inermis)이 차지하였고 아우점종으로는 그물코쥐치 (Rudarius ercodes)였다. 관찰된 종수는 10월에 33종으로 가장 많았고 2월에 4종으로 가장 적었으며 수온이 상승하는 3월 이후에 종수가 증가하였다. 개체수는 2016년 10월에 950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이 시기는 주요 출현어종 인상어(Neoditrema ransonnetii),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 흰줄망둑(Pterogobius zonoleucus), 볼락(Sebastes inermis)이 대부분 차지하였다. 특히 아열대어류인 청줄돔 (Chaetodontoplus septentrionalis), 청줄청소놀래기(Labroides dimidiatus), 노랑거북복(Ostracion cubicus) 세 종이 출현하였고 노랑거북복과 청줄청소놀래기는 통영에서 처음 출현하였다.

가막만의 빈산소 퇴적층 형성과 저서성 유공충 군집변화 연구 (The Formation of Hypoxia Sediment and Benthic Foraminiferal Change in Gamak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이연규;정다운;강소라;김용완;김신;정은호;이정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1호
    • /
    • pp.53-64
    • /
    • 2012
  •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hypoxia sediment by eutrophication and changes in benthic foraminiferal assemblage, micropaleontological and geochem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on one sediment box core (K-1) recovered in the northern Gamak Bay, which is one of the aquacultural areas in the South Sea of Korea. In this analysis, the PON content in the sediment rapidly increased, while the C/N ratio and the C/S ratio decreased since 1977.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utrophication commenced in 1977 in the northern Gamak Bay, and consequently, the hypoxia sediment is 20 cm thick. Ammonia beccarii-Buccella frigida assemblage occurs before the formation of hypoxia sediment. Trochammina hadai-Buccella frigida assemblage appeared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ward hypoxia and Trochammina hadai assemblage with a low abundance and diversity is observed in the hypoxia sediment. The agglutinated species T. hadai is regarded as a bio-indicator (opportunistic species) of the organic pollution in northern Gamak Bay.

경남 거제시 구조라와 망치 연안에서 자망으로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the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aught by Gill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Gujora and Mangchi on Geoje, Gyeongnam, Korea)

  • 김경률;남기문;최옥인;박경현;김병섭;장욱;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29-339
    • /
    • 2021
  • The monthly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Gujora and Mangchi coastal waters in Geoje, Korea, was investigated between June 2018 and May 2019 through monthly fish collections using a gill net. A total of 46 species, numbering 410 individuals weighing a total of 96,645.0 g,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dominant species in terms of numbers were Chelidonichthys spinosus, Stephanolepis cirrhifer, Ditrema temmincki, Sillago japonica, Sebastes inermis, and Paraplagusia japonica. The number and biomass of fishes peaked in July. The peak in species diversity indices occurred in September. The cluster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four groups of fishes depending on the season. In addition, subtropical fishes were recorded in the study area, indicating the gradual subtropicalization of the coast of Geoje. Furthermore, the ne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marine ecosystems owing to subtropicalization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is emphasized.

제주 북동부 연안 조하대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 변동 특성 (Meiobenthic Community Structure on the Northeast Coastal Area of Jeju Island, Korea)

  • 강태욱;김동성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2권1호
    • /
    • pp.1-13
    • /
    • 2020
  •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eiofaunal communities in the northern part of Jeju Island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meiofaunal communities. For the analysis of the communities, subtidal sediments containing meiofauna were collected from 6 sites (3 shallow sites and 3 deeper sites) on the northern coast of Jeju Island in April, June, August, and October 2017. The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by SCUBA using a syringe. After isolating and counting meiofauna from the sediment using a series of sieves and centrifugation, the density of the meiofauna was expressed as individuals/10 ㎠. Density of meiofauna was lower in August compared to April and June, and the density determined in October was higher than August. During April and June, the meiofaunal communities at the shallow sites (i.e., ST 1, 2, and 3)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meiofaunal communities at deeper sites (ST 4, 5, and 6, p < 0.01). However, such spatial variation in the meiofaunal communities was not obvious in August and October. The most dominant meiofaunal taxa were harpacticoids, followed by nematodes and nauplius larvae. These three taxa accounted for 90% of the total meiofauna density. Abundance of harpacticoids and nematodes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water depth. BIO-ENV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otal organic nitrogen (TON) and the water temperature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meiofaunal communities at the sampling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