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bliographic Information

검색결과 502건 처리시간 0.024초

학교도서관 DLS의 목록입력 규칙 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mendment of DLS Cataloging Rule)

  • 노진영;변우열;이미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23
    • /
    • 2014
  • 학교도서관에서 학교도서관업무지원시스템인 Digital Library System(DLS)의 목록입력 규칙을 이용해 서지레코드를 구축해왔다. 그러나, DLS 목록입력 규칙은 규칙 자체가 상세하지 않고, 규칙 상호 간에 모순이 있고, KCR4에 일치되지 않기 때문에, 서지레코드 구축시 표준화된 지침으로 사용될 수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교도서관에서 생산하는 서지레코드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표준화된 서지레코드 구축을 위해, DLS 목록입력 규칙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DLS 목록입력 지침의 문제점을 조사하기 위해 DLS 목록입력 규칙을 KCR4와 비교 분석하고, 3년 이상 경력의 학교도서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서면 및 전화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DLS 목록입력 규칙에서 사용한 용어가 KCR4와 일치하도록 수정이 필요하고, 기술영역별로 목록규칙의 개정이 요구되었다.

국내 하이브리드 서지레코드 생성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on of Hybrid Bibliographic Records)

  • 이미화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03-220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도서관에서 AACR2와 RDA 서지레코드의 공존에 따라 서지레코드의 디스플레이와 검색을 위한 하이브리드 서지레코드 생성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은 도서관으로 Kent State University, University of Houston이고, 하이브리드레코드 생성 알고리즘으로 Backstage Library Works이었다. 조사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하이브리드 서지레코드 생성을 위해서는 첫째, 하이브리드 서지레코드와 RDA 레코드의 식별이 필요하다. 둘째, 판사항에서 약어를 무조건 확장하여 기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250에 기술된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셋째, 260을 264로 변환하는 것보다는 260을 유지하도록 한다. 넷째, 자원유형을 정확히 변환할 수 있는 신뢰할 매핑표가 작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서지데이터에서 서양서의 기존 레코드를 하이브리드레코드로 변환하여 통일된 디스플레이와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안하였다.

편목의 관점에서 본 링크드 데이터: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Linked Data in Library Cataloging)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71-95
    • /
    • 2019
  • 이 연구는 링크드 데이터로의 이행(移行)이 이미 시작된 상황에서, 우리 도서관목록의 체질 개선과 도서관 서비스의 질적 강화를 위해 링크드 데이터에 어떻게 접근하여 전략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논의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편목의 관점에서 링크드 데이터 모델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2) 링크드 데이터와 관련한 지금까지의 성과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미(歐美) 도서관계의 내밀한 경험과 노력을 추적해 가면서 (3) 향후 링크드 데이터 모델로의 체제 전환을 위해 우리가 검토하고 준비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이처럼 이 연구는 링크드 데이터 환경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우리 도서관계에서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나아가 웹 환경에서 도서관이 상생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사회적 체계 이론의 지식 네트워크 분석 연구 - Niklas Luhmann의 후속연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Knowledge Network Analysis of Social System Theory: Focused on Follow-up Studies on Niklas Luhmann)

  • 박성우;홍소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91-210
    • /
    • 2022
  • Niklas Luhmann은 다른 학문 분야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사회학자이다. 따라서 Luhmann의 이론이 후속 연구자들에게 어떤 영향력을 끼쳤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Niklas Luhmann의 이론을 연구하는 후속연구자들의 지식 네트워크를 분석하였고, 분석 방법은 서지결합과 동시인용을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지결합분석을 통해서는 남미·스페인어권, 서유럽·영미권, 동·북유럽 및 기타 어권으로 클러스터가 나뉘었다. 둘째, 서지결합 노드 단위 분석에서는 주로 Luhmann의 핵심 저작을 인용한 경우, Luhmann의 주변 저작들을 인용한 경우로 나뉘었다. 셋째, 동시인용분석을 통해서는 Luhmann의 저작 중 반복적으로 인용되는 핵심 저작군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시인용 네트워크의 노드 단위 분석에서는 12개의 핵심 저작이 도출되었고, 핵심 저작들은 주제에 따라 4개의 저작군으로 나타났다.

정보탐색에 있어서 이용자/사서의 최적화 접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User/Librarian Interface in Information Searching)

  • 김선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6권
    • /
    • pp.167-185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optimal user/librarian interface in information searching. In order to achive the purpose, the 150 unskilled students as subjects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ubjects' psychological information states by the access points within the library system, the subjects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five types of model: the initial information state, the accep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ate,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state, the stack information stat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tate. Librarian's searching support is done for 10 minutes at the each access points. To develop the optimal user/librarian interface, the expected values of the models are calculated. The resultants are as follows: 1) The expected value of the initial information states model is 18.94: 2) The expected value of the accep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odel is 27.06: 3) The expected value of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state model is 27.06: 4) The expected value of the stack information state model is 22.38: 5) The expected valu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state model is 22.38. Those expected value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model with the lowest expected value is chosen as the optimal user/librarian interface model. In the result, the user's initial information state model of the optimal user/librarian interface in information searching is developed. In order to search the information with the most effect, user must be interfaced with the librarian at his/her own initial information state.

  • PDF

인터넷 기반 전자정보원의 참고서지 기술요소와 형식에 관한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the Element and Form of Document Styles for documenting Resources based on Internet)

  • 김홍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87-108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을 통해 접근하고 입수가능한 전자정보원을 대상으로 참고문헌 작성기준에 관한 스타일 메뉴얼들의 기술요소와 기재순서, 기술형식을 비교분석하여, 국내 연구자나 학협회, 출판사 등이 참고문헌을 작성하거나 작성지침을 제시할 때 포함할 수 있는 기술요소 및 형식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 수정보완된 MLA Style, APA Style, CBE Style, Chicago Style, ISO 690-2, SIST-02를 대상으로 그들의 요소와 순서, 표기방법 및 형식을 검토하고, 표기방법 및 형식에 따른 동일자료에 대한 기술사례를 제시하였다.

  • PDF

서평전문지에 나타난 그림책 서평 분석 연구 (Reviews of Picture Books : A Content Analysis)

  • 심향분;현은자
    • 아동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03-216
    • /
    • 2005
  • Many picture books are published every year. Book review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knowledge about newly published book. This study analyzed data the coverage and content of reviews in journals with a view to helping librarians and parents become more aware of content and coverage of reviews for picture books. Variations of bibliographic and ordering information appeared among all journals. Most reviews typically included a plot summary and a general statement about the illustrations. Overall, journals provided more comments on literary elements than artistic elements. However, reviews provided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background of reviewers. Physical description of the books appeared in 8.81 % of the sample.

  • PDF

온라인 공동편목을 목표로 한 종합목록 데이타베이스 구축과 발전방향 (A Construction of Union Bibliographic Database for Online Shared Cataloging and its Perspectives)

  • 김창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82-216
    • /
    • 1992
  • 정보화사회의 도래, 기관 고유기능의 전문화, 다양화와 함께 과학기술분야 관련기관들은 독립적으로 전문도서를 비롯한 각종 정보자료를 수집하며, 관리/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수집되는 정보량이 연구개발사업 지원에 크게 부족한 것은 차치하더라도 그나마 수집된 정보의 공동활용상 난제는 상존하고 있다. 이에 과학기술정보유통을 위한 첫단계 사업으로 제시된 과학기술종합도서관 사업을 시발로 연구단지내 각 기관에 분산, 소장된 도서정보자료의 공동활용을 위한 표준화, 집중화 사업이 시행되었으며, 본 사업의 성공적 사례를 바탕으로 수행된 연구단지정보관리협의회 소속기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서양서 단행본 데이타베이스 구축 1단계 사업도 완료된 바 지금까지 축적된 종합목록 데이타베이스 구축기술을 소개하고 온라인 공동편목을 포함한 공동활용체제를 위한 발전방향을 언급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에서 구축될 각종 종합목록 데이타베이스를 위한 한가지 지침으로 제시하였다.

  • PDF

한국목록규칙에서 판과 쇄의 서지요소 기술형식 개선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Descriptive Form of the Edition and Impression in the Korean Cataloguing Rule)

  • 이명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17-238
    • /
    • 2021
  • 이 연구는 현행의 목록규칙에서 판과 쇄차표시, 발행년 표시 등의 서지요소를 기술하는 문제점을 파악해보고, 한국목록규칙과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의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서관에서 정보기술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목록의 수준과 범위를 조정해야 할 것이다. 자료가 다양해지고, 메타데이터의 기술방식이 발전함에 따라 서지요소의 개발과 기술방식의 변경이 기존 표준화의 틀을 바꾸고 있다. 연구방법으로 판과 쇄의 용어 개념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기존 목록규칙을 대상으로 이 표기에 대한 변천과정을 살펴보며, KCR4를 중심으로 목록 예시를 통해 추가하거나 수정해야할 서지기술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KORMARC 작성에 반영하는 형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단행본 도서의 기술형식으로만 한정하고자 한다. 도서관목록의 서지기술요소는 기술대상자료의 서지요소와 완전히 일치해야 한다. 이에 목록규칙의 개선(안)은 먼저, 목록규칙의 판사항에 판표시와 쇄차표시를 기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발행년의 기술은 해당 판의 최초발행년 기술이 아니라 최신발행년을 기술하게 한다. 발행년의 기술범위는 발행월까지 확대한다. 둘째, KORMARC형식에서 판사항에서 쇄차표시는 250필드 식별기호에 부여하며, 쇄차표시는 2쇄부터 숫자로 기술한다. 발행년월의 표시는 260필드의 한 식별기호에는 발행년을 적고 다른 식별기호에는 발행월을 기술한다. 발행년월은 해당출판물의 표제면과 판권기에 실려있는 최신년월이 기술된다.

Web 2.0 기반의 생명과학 문헌정보 네트워크 설계 (Design of Web 2.0 based Bibliographic Information Network for Life Science)

  • 안부영;김대중;한정민;박양숙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051-1056
    • /
    • 2007
  • 기존 웹 기반 시스템들의 정보들은 단순하게 정보 제공자로부터 사용자로의 단방향 흐름이며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정적인 문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정보의 갱신이 느리고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상호 작용이 낮은 실정이다. 또한 학술정보를 독점하거나, 무기화하여 사용자의 자유로운 접근을 방해하고 분산되어 있는 대량의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상이한 포맷과 전송 프로토콜로 적시성 있는 정보의 검색과 수집이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네트워크 기반 위에 사용자 참여와 공유를 지향하도록 차세대 웹을 도입하고 생명과학 관련 학술 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상호운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OAI 프로토콜을 사용한 생명과학 문헌정보 네트워크를 설계한다. 이 네트워크는 첫째, 최신 논문, 세미나 발표자료, 연구노트, 연구 보고서 등의 자료를 공유 및 교환하고 사용자들 간에 커뮤니티를 구성할 수 있는 Open Repository 기능, 둘째, 분산되어있는 생명과학 관련 문헌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집 저장하는 OAI 프로토콜 기반의 Open Collection 기능, 셋째, 개방형 접근이 가능한 생명과학 관련 문헌정보 메타데이터를 서비스하는 Open Access 기능, 마지막으로, 회원 관리, 통계 그리고 등록된 자료에 대한 인증 절차를 하는 Administration 기능 등 4가지로 구성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