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eta-Glucan

Search Result 62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Helicobacter pylori 의 생육억제에 대한 유산균, 난황항체 및 목이버섯의 상승효과 (Synergistic Inhibition of IgY, Auricularia auricula, and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and Tarak on Helicobacter pylori)

  • 유혜림;이영덕;한복경;최혁준;박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5-43
    • /
    • 2013
  • 소화성 질환의 중요 인자인 Helicobacter pylori를 저해하는 IgY, 목이버섯, 김치와 타락 유산균을 이용하여 생육 저해 상승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동결 건조된 유산균 배양 상징액을 다양한 효소 처리 결과, 지질 분해 효소를 제외하고는 활성을 나타냈다. GC 분석을 통해 유산균 동결건조액의 지방산 조성은 undecanoic acid($C_{11:0}$), palmitic acid($C_{16:0}$), steraic acid($C_{18:0}$), oleic acid($C_{18:1}$)가 L. mensenteroides LABKW5와 S. thermophilus LAB KW15에서 모두 확인되었으며, eicosadienoic acid($C_{20:2}$)는 LAB KW5에서만 나타났다. 또한 유산균 동결건조액은 다른 식중독균에서도 spot assay의 결과, 그람 음성균 중에서 특히 E. coli O157:H7, E. coli, C. sakazakii 등에서 생육 저해능이 확인되었다. 목이버섯 추출물은 열수 추출과 ethanol를 이용해 분리하였으며, HPLC를 이용하여 목이버섯 추출 다당체를 분석한 결과, glucurono-xylomannan 혹은 glucomannan이 ${\beta}$-glucan과 함께 존재하는 혼합물일 것으로 되었다. 또한, 면역란은 1차 접종 후 11일째부터 주마다 2회씩 회수하여 IgY를 분리, 정제하였다. 실험을 통해 동결 건조된 유산균 배양 상징액, IgY, 목이버섯 추출액을 혼합 배양하여 배양시간에 따른 생육 저해력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유산균에 의해 H. pylori의 저해 효과가 있었으며, IgY와 목이버섯의 혼합 시 추가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동결 건조된 유산균 배양 상징액, IgY, 목이버섯 추출액의 복합처리는 H. pylori를 제어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목질진흙버섯 자실체와 배양 균사체 유래 ${\beta}-Glucan$성 다당류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the Fruit Body and Cultured Mycelia of Phellinus linteus IY001)

  • 이준우;백성진;방광웅;강신욱;강상모;김병용;하익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726-735
    • /
    • 2000
  • 목질진흙버섯 자실체와 배양 균사체의 열수추출 및 열수 추출물의 에탄올, UF처리 분획들에 대한 약리 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arcoma 180 암세포 증식 저지율은 자실체 열수 총 분획(Fr. I)보다 비교적 고분자인 다당류 분획(Fr. II, Fr. III, Fr. IV)에서 $80.4{\sim}85.9%$로 높게 나타났다.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으로 보체계 활성화는 $10.1{\sim}13.6%$, 대식세포의 NO 생성능은 자실체 및 균사체 모든 분획에서 생성되었으며, $TNF-{\alpha}$생성능은 NO 생성능이 높았던 분획들에서 높은 생성능을 나타내었다. 효소적 및 비효소적 지질과산화 유발에 대한 영향은 목질진흙버섯 자실체와 배양 균사체의 모든 분획에서 지질 과산화 억제능을 나타내었고, 유리기 제거능에 있어서는 농도의존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PPH에 대한 Fr. III의 $SC_{50}$$32.0\;{\mu}g/mL$로 조사되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들로부터 목질진흙버섯 자실체와 배양 균사체의 열수추출 및 열수 추출물의 에탄올, UF처리 분획들은 항암활성, 면역활성, 지질 과산화 억제효과 및 유리기 제거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omparative energy content and amino acid digestibility of barley obtained from diverse sources fed to growing pigs

  • Wang, Hong Liang;Shi, Meng;Xu, Xiao;Ma, Xiao Kang;Liu, Ling;Piao, Xiang Sh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999-1005
    • /
    • 2017
  • Objective: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digestible energy (DE) and metabolizable energy (ME) as well as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and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crude protein (CP) and amino acids (AA) in barley grains obtained from Australia, France or Canada. Methods: In Exp. 1, 18 growing barrows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31.5{\pm}3.2kg$) were individually placed in stainless-steel metabolism crates ($1.4{\times}0.7{\times}0.6m$) and randomly allotted to 1 of 3 test diets. In Exp. 2, eight crossbred pigs ($30.9{\pm}1.8kg$) were allotted to a replicate $3{\times}4$ Youden Square designed experiment with three periods and four diets. Two pigs received each diet during each test period. The diets included one nitrogen-free diet and three test diets. Results: The relative amounts of gross energy (GE), CP, and all AA in the Canadian barley were higher than those in Australian and French barley while higher concentrations of neutral detergent fiber, acid detergent fiber, total dietary fiber, insoluble dietary fiber and ${\beta}-glucan$ as well as lower concentrations of GE and ether extract were observed in the French barley compared with the other two barley sources. The DE and ME as well as the SID of histidine, isoleucine, leucine and phenylalanine in Canadian barley were higher (p<0.05) than those in French barley but did not differ from Australian barley. Conclusion: Differenc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energy content and the SID and AID of AA were observed among barley sources obtained from three countries. The feeding value of barley from Canada and Australia was superior to barley obtained from France which is important information in developing feeding systems for growing pigs where imported grains are used.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홍삼 배양액의 cell migration 및 항염 효능에 관한 연구 (Cell migra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s Fermented with Laetiporus Sulphureus)

  • 오성화;최수연;이누림;이정노;김동석;이상화;박성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97-305
    • /
    • 2014
  • 홍삼(Red Ginseng; RG)은 인삼보다 더 높은 생체 흡수율과 다양한 약리효과를 갖는 특이한 진세노사이드(Rg2, Rg3)를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의 건강을 위해 이용되어 왔다. 또한 발효는 유효한 생리활성을 갖는 저분자의 물질들을 생성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이 생물학적 활성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홍삼을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로 7일 동안 발효하였다. HPLC 분석 결과 진세노사이드 Rg1, Re 및 Rb2가 각각 0.24, 0.25, 0.16 mg/g에서 0.12, 0.1, 0.03 mg/g으로 함량 감소를 확인하였고, 홍삼 붉은덕다리 균사체배양액(Fermented Red Ginseng; FRG)의 항염, 세포 이동, 항산화, 콜라겐 타입 I 합성과 MMP-1 억제효능에 대한 생물학적 효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FRG는 RG보다 항염 및 cell migration 촉진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FRG는 LPS로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의 NO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iNOS와 IL-6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억제하였다. 이 결과로 FRG는 새로운 항염소재로서 제안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라이밀의 에탄올 생산 후 발효 부산물을 이용한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using Ethanol Fermentation By-product of Triticale)

  • 서은옥;고승혜;이내택;김광오;최기욱;오경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82-388
    • /
    • 2010
  •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the muffin added with the by-product of fermented ethanol from wheat rye that has high $\beta$-glucan contents. In the muffin added with TEFB (Triticale Ethanol Fermentation By-product), the height of the muffin decreased as the additive contents in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volumes of the muffins added with TEFB 0%, 5%, 10% and 15%. In the muffin added with TEFB, the height of the muffin decreased as the additive contents increased. In the moisture measurement of TEFB muffin, the moisture contents increased as the TEFB additive contents increased. Using SEM, showed that as TEFB additive contents increased, gluten contents was relatively lowered, which led to the reduced gas retention power and generation of rough tissues. In chromaticity, as the TEFB additive contents increased, the brightness decreased and the redness and yellowness decreased as well. The result of texture measurement showed that as the TEFB additive contents increased, hardness increased. springiness decreased gradually as the TEFB additive contents in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hesiveness (p<0.005). Although there as signig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additive group in gumminess (p<0.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a certain amount of additive contents (p<0.05).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hewines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additive group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a certain amount of additive contents (p<0.05). The result of taste test of TEFB added muffin showed that the preference for the muffins added with 5% or more TEFB decreased. This study found that more than 5% of TEFB additives to muffin decreases the preference level.

미강유래 식이섬유 헤미셀룰로오스의 추출 공정 최적화 (The optimization of extraction process on hemicellulose from rice bran)

  • 정지은;최용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32-541
    • /
    • 2008
  • 미강 식이섬유인 헤미셀룰로오스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하고자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헤미셀룰로오스 추출공정 최적화를 실시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NaOH 농도($X_1$), 추출 시간($X_2$)을 독립변수($X_i$)로 하고 추출물의 특성 즉, 추출 수율($Y_1$), Xyl/Ara ratio($Y_2$), 우론산($Y_3$), 베타 글루칸($Y_4$), 총 당($Y_5$)을 종속변수로 하여 추출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R-square는 $0.8626{\sim}0.9319$으로 나타났으며, 추출 수율은 NaOH 농도가 증가하고 추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값이 증가하였다. 추출 수율을 고려하여 이들 추출물의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최적 추출조건은 NaOH 농도 2.45 M, 추출 시간 24.2 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예측된 최적 추출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각 종속변수들의 예측값과 실제값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최적 추출물의 구조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표면구조는 매우 불규칙한 망상구조의 형태로 작은 입자와 큰 고분자 입자가 함께 관찰되었으며 평균 분자량은 $235{\sim}240$ kDa과 $8.0{\sim}9.4$ kDa의 범위로 나타났다.

제분방법에 따른 쌀보리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ull-less Barley Flours Prepared with Different Grinding Mills)

  • 이영택;석호문;조미경;김성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78-1083
    • /
    • 1996
  • 쌀보리를 정맥기를 사용하여 도정한 정맥에 대해 제분기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분한 결과 보리가루는 입도 분포에서 차이를 나타내 Jet mill로 제분한 보리가루의 입자 크기가 가장 작았으며 그 다음으로 Pin mill과 Cyclotec sample mill에 의한 입자 크기가 작았고 Ball mill과 Fitz mill에 의한 보리가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보리가루는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색이 밝고 전분 손상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보리가루의 표면구조는 크고 작은 전분 입자, 주름진 세포벽 물질 등으로 관찰되었으며 가루 입자의 형태 및 크기가 제분기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보리가루는 손상된 전분의 양이 많을수록 높은 수분흡수지수 및 보수력을 나타냈으며 수분용해도지수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보리가루의 호화 특성을 측정한 결과 보리가루의 점도는 입자가 크게 분쇄된 Fitz mill에 의한 보리가루에서 가장 낮았으며 Pin mill과 Cyclotec mill에서 높게 나타났다. 아주 미세하게 분쇄된 Jet mill은 호화가 빨리 진행된 반면 점도의 상승은 크지 않아 지나친 전분의 손상은 점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품종 및 입도별 보리 맥강의 기능성분 함량 (Functional Components of Barley Bran with Different Particle Sizes and Cultivars)

  • 백소윤;이윤정;장귀영;김민영;오남석;이미자;김현영;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171-1177
    • /
    • 2017
  • 보리 도정 시 발생되는 부산물(맥강)의 이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5가지 품종의 쌀보리 보석찰(유색 찰성), 흰찰쌀(찰성), 다한(메성), 흑광(유색), 흑누리(유색)를 23%로 도정한 다음 입도별(<60 mesh(fraction I), 60~100 mesh(fraction II), >100 mesh(fraction III)로 분획 후, 기능성분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베타글루칸의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fraction II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한과 흑누리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라비노자일란은 fraction III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여 입도가 큰 분획물을 이용하는 것이 아라비노자일란 고함유 분획물을 얻을 수 있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는 모든 품종에서 fraction II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항산화력과 라디칼 소거능 역시 fraction II에서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어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분석한 모든 기능성분의 함량이 높았던 fraction II는 보리의 겨층 부분과 배유층 부분이 적절히 혼입된 분획물로 판단되기 때문에 맥강의 기능성 식품 소재화를 위한 맥강을 선정할 때 fraction II를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리 도정 부산물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품종 및 입도별 분류를 통해 유용성분이 고함유되어 있는 층을 얻고, 이를 활용한 식품 기능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순물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 균사체 배양액의 항균활성 평가 (Antimicrobial Effect of the Submerged Culture of Sparassis crispa in Soybean Curd Whey)

  • 이은지;김지은;박민주;박동철;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120
    • /
    • 2013
  • 꽃송이 버섯 균사체 배양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여 얻어진 꽃송이 버섯 균사체 배양액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순물에 glucose 2%를 첨가하여 10일 배양한 꽃송이 버섯 배양액은 pH 6.91, 균사체 함량은 17.76 g/L로 나타났으나, 제한 배지에서 10일 배양 후 분석한 결과, pH 3.26, 균사체 함량은 3.45 g/L로 측정되었다. 또한 순물을 이용한 버섯 배양액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511.85 mg%, 타이로신 59.6 mg%, 환원당 188.44 mg%이며, 베타글루칸 함량은 10.64%로 나타났다. 순물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 배양액의 항균활성 평가를 위해 8 종의 유해세균에 대한 꽃송이 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disk diffusion method로 항균효과를 검색하였다. B. cereus, St. aureus, L. monocytogenes, S. typhimurium 균주는 0.13 mg/disc에서 6.28 mg/disc의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나타났다. 배양액을 $85^{\circ}C$에서 15분, $100^{\circ}C$에서 5분간 열처리 후에도 항균 활성에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한외여과법을 이용하여 3 kDa 이하의 저분자 물질의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B. cereus는 34.3 mm, St. aureus는 29.3 mm, L monocytogenes는 23.7 mm, S. typhimurium는 16.7 mm로 생육 억제 환을 보였다. 미세희석법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항균물질의 최소저해농도(MIC)는 B. cereus 2.6 mg/mL, St. aureus, L. monocytogenes 12.6 mg/mL, S. typhimurium 62.8 m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꽃송이 버섯 배양액의 항균물질은 열과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에 안정한 저분자 물질인 것으로 나타나 천연 항균 소재로서 산업적 활용이 기대된다.

표고 톱밥재배용 신품종 '화담' 육성 및 특성 (Characteristics of Newly Bred Lentinula edodes Cultivar 'Hwadam' for Sawdust Cultivation)

  • 김정한;강영주;백일선;신복음;최종인;이용선;이윤혜;정윤경;이영순;지정현;정구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5-133
    • /
    • 2020
  • 국내 표고의 고품질 톱밥재배용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수집균주 및 우량계통의 단포자 교배를 통해 육성된 '화담'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균사생장 적온은 25℃, 발이 및 생육온도는 12-20℃, 형태는 평반구형으로 '산조701호'와 유사하였으며, 발생형은 '산조701호'가 집중형인데 비해 '화담'은 산발형으로 나타났다. '화담'의 재배특성 조사결과 배양일수는 35일, 갈변기간은 84일로 '산조701호'과 유사하였고, 생육일수는 10일로 '산조701호'보다 2일 늦어 전체 재배일수도 129일로 '산조701호'의 127일에 비해 2일 늦었다. '화담'은 '산조701호'에 비해 갓 두께, 갓 직경, 대 굵기가 크고, 갓 명도와 적색도가 높았다. 3주기 수량성 조사결과 유효 개체수는 '화담'이 4.1개로 '산조701호'의 6.2개에 비해 2.1개 적었으나 개체중은 '화담'이 44.3 g으로 '산조701호'의 21.9 g 보다 높아 3주기 수량성에서 '화담'이 553.8 g으로 '산조701호'의 405 g 보다 높은 수량을 보였다. 또한, 화담은 베타글루칸이 79.4 mg/g, 페놀성 화합물 햠량은 0.93 mg GAEs/g각각 함유되어 대조품종인 '산조701호'와 유사하였고, 외래품종인 '엘808' '추재2호'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