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lt-transect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초

직강화 하천구간과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의 식물상 및 출현빈도 비교-불광천을 사례로- (The Comparison of Plants and Vegetation Transect in a Straight and a Restoration Section-A Case Study of Bulgwang Stream in Seoul, Korea-)

  • 정진아;김혜주;이은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1-74
    • /
    • 2004
  • 본 연구는 2000년 일부 구간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된 불광천을 대상으로 하여 한 하천 내에 정비방식이 다른 직강화 하천구간과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으로 구분하여 식물상 및 식물종의 출현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는 2003년 5월과 8-9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식물상은 하천의 양안에 출현한 모든 식물을 동정하여 정리하였고. 식생은 200m를 기준으로 하여 Belt-transect 방법을 이용하였다. 2003년 5월 및 8-9월은 직강화 하천구간에서는 33과 73속 88종의 식물이 출현하였고.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은 36과 76속 90종의 식물이 출현하였다. 귀화율 (Naturalized Index:Nl)은 직강화 하천구간은 22.7%,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은 21.1%였고, 도시화지수 (Urbanization Index:Ul)는 직강화 하천구간이 7.8%.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이 74%로 직강화 하천구간이 자연형 하천복원구간보다 약간 높았다. Belt-transect 조사법에 의한 식물종 출현빈도 결과는 직강화 하천구간에서는 하안에는 여뀌와 환삼덩굴이 제방에는 망초와 큰비짜루국화가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다. 이에 반해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에서는 하안에는 갯버들, 여뀌, 소리쟁이. 환삼덩굴이, 제방에는 망초와 큰비짜루국화가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다. 즉 직강화 하천구간과 자연형 하천복원 구간은 제방에는 구간에 따른 차이가 없고, 하안의 경우에는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에 도입된 갯버들이 출현하여 차별을 보였다.

설악산 국립공원 저항령계곡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Snalysis in Chohangyoung Valley of Soraksan National Park)

  • 이경재;조현서;한봉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51-269
    • /
    • 1997
  • 설악산 국립공원 저항령계곡의 식물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39개 조사구를 설정하였으며 아울러 계곡부와 사면부의 식물군집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5개 지역에 25개 조사구(1개 조사구당 100m$^{2}$)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39개 조사구는 DCA 분석에 의해 소나무군집, 소나무-황철나무군집, 황철나무-소나무군집, 황철나무군집, 물푸레나무군집, 졸참나무군집 6개 군집으로 분리되었고 졸참나무군집만 산림지역 사면부에 분포하였고 나머지 5개 군집은 계곡부에 위치하였다. 식물군집구조 분석결과 천이 예측은 명확하지 않았다. Shannon의 종다양도는 0.9458~1.1769이었고 토양산도는 전지역이 pH 4.65~6.09이었다. Belt-transect 조사분석결과 계곡부의 우점종은 소나무와 황철나무이었으며, 사면부의 우점종은 졸참나무이었다.

  • PDF

광릉내 용암산 식물군집의 천이와 이질성 (Succession and Heterogeneity of Plant Community in Mt. Yongam,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 You, Young-Han;Kwang-Je Gi;Dong-Uk Han;Young-se Kwak;Joon-He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1호
    • /
    • pp.89-97
    • /
    • 1995
  • In order to study the successional trend and the heterogeneity of forest community, we investigated DBH frequency distribution of dominant tree species and the changes of several community indicies including ${\beta}-diversity\;({\beta}_t)$ along a belt transect in Mt. Yongam,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which has been preserved for about 530 years. Quercus serrata, Carpinus laxiflora, and C. cordata were the three dominant species and their DBH frequency distribution showed a reverse J-shaped form, so these species seem to maintain by themselves. Dominancediversity curve had a lognormal distribution. d and H'for pooled quadrats were 0.13 and 1.09, respectively, but these indices within each quadiat varied with the range of 0.13 to 0.57 and 0.5 to 1.09, respectively. The value of ${\beta}_t$ along the belt transect ranged from 0.14 to 0.42.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forest community is in the stable climax stage but the components experience a heterogeneous microsuccession.

  • PDF

도시산림 내 침입교란종 출현현황 및 서식특성 연구 (Current Status of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and Its Habitat Characteristics in Urban Forest)

  • 김은영;김지연;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3-102
    • /
    • 2016
  • An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has caused harm to biodiversity and ecosystem. To address the issue,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a habitat for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is considered for forest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d a status of plant species by field survey based on belt transect method in the capital areas and established a predictive model for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by logistic regression. As results of the study, the number of herb, vine, and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and a canopy cover of tree would decrease from the forest edge to core areas (p<0.001). The predictive model was derived with variables of altitude, Topographic Wetness Index, distance to forest edge, and canopy cover of tree. It can be useful in estim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species and predicting its spatial distribu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the pathway of introduction, spread, and possibility of germination for understanding the status of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in more depth.

수변 복원 시 식물종 다양성 증진을 위한 β-diversity 연구 (Studies on β-diversity for high plant community turnover in flood plain restoration)

  • 한영섭;김해란;한승주;정중규;이승혁;장래하;조규태;강대균;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01-508
    • /
    • 2013
  • 식물종 다양성이 높은 하천변 복원을 위해 8개 하천 13지점에서 자연하천변 식물군락의 이질성을 ${\beta}$-diversity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하천에서 내륙으로 들어감에 따른 이질성의 평균값은 0.32이었다(0.23~0.37범위). 이 값은 식물군락의 종 구성이 6번 완전히 바뀌는 community turnover를 나타낸다. ${\beta}$-diversity는 섬진강, 한강, 낙동강, 금강 수계 간에 차이가 없었고, 각 수계 안에서 하천 유역은 하류(0.23)보다 상류(0.36)에서 더 높았다(p level<0.05).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beta}$-diversity는 경사도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 Belt-transect를 통해 나타난 종들과 ${\beta}$-diversity 값을 통해 하천변의 우점종 모식도를 그려보면 상류의 종조성은 6번 바뀌고, 하류의 종조성은 약 5번 바뀌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하천 계획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식재 수종과 식재 패턴의 기초를 제시하였으며, 하천변 식물군락의 종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사도를 높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홍수터복원을 위한 국내 현재잠재자연하천 식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egetation of the Present-day Potential Natural State of Water for Flood Plain Restoration in South Korea)

  • 김혜주;신범균;유영한;김창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64-594
    • /
    • 2008
  • 현재잠재자연하천의 식생을 연구하기 위하여 인간의 영향을 받은 흔적이 없는 또는 거의 없는 국내의 자연하천구역 25개소를 다양한 환경요소를 고려하여 선정하고, 2006년과 2007년 여름에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Braun-Blanquet(1964)에 의거 1개 조사구(하천연장 약 1km)에 5개의 방형구와 Belt-transect에 따른 횡단면(길이 20m)의 좌우안의 4개의 belt/ 1개 조사구에서의 출현식물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위도 $37^{\circ}{\sim}37.9^{\circ}$의 중북부지방 조사구 하천에서의 공통적 식물군락은 신갈나무군락과 신갈나무와 갈참나무를 동반한 물푸레나무군락이었고, 위도 $35^{\circ}{\sim}35.9^{\circ}$의 남부지방 조사구하천에서는 졸참나무, 때죽나무, 굴참나무군락, 위도 $36^{\circ}{\sim}36.9^{\circ}$의 중부지방은 중북부와 남부의 중간적 특성을 보인 졸참나무, 물푸레나무, 갈참나무군락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조사구하천의 환경요인과 출현식생과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Eco region이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앞으로 다양한 환경인자를 고려한 사례조사구의 증가를 통하여 하천유형별 잠재자연하천의 식생을 규명하는 것이 홍수터복원계획에 절실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백산국립공원 천문대${\sim}$비로봉구간 능선부 및 훼손복원지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Ridges and Restoration Areas between the National Astronomy Observatory and Birobong in Sobaeksan National Park)

  • 김정호;조우;한봉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51-563
    • /
    • 2008
  • 본 연구는 소백산국립공원 천문대${\sim}$비로봉 구간의 식생복원 및 지속적 모니터링을 위해 구간내 탐방로 주변 현존식생과 식생구조를 분석하였다. 현존식생은 총 18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이중 신갈나무군집이 $225,337m^2$로 가장 넓은 면적이었고 능선부 탐방로 주변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철쭉꽃은 14.59%, 낙엽활엽수군집은 11.06%이었다. 현존식생을 고려하여 총 23개의 Belt-transect(BT)를 설치하였으며 신갈나무군집내에 9개소, 낙엽활엽수군집내에 3개소, 주목 군집내에 2개소, 훼손복원지내에 9개소를 설정하였다. 신갈나무군집내에 설정한 9개소는 종다양도 $0.4290{\sim}1.0496$, 종수 $7{\sim}22$종, 개체수$115{\sim}481$개체이었고 낙엽활엽수군집내에 설정한 3개 BT의 경우 종다양도 $0.6712{\sim}1.0096$ 종수 $14{\sim}17$종, 개체수 $158{\sim}453$개체이었다. 주목군집내에 설정한 2개 BT는 종다양도 $0.5413{\sim}0.9923$, 종수 $14{\sim}15$종, 개체수 $223{\sim}406$개체이었다. 훼손복원지내에 설정한 9개 BT는 종다양도 $0.1899{\sim}0.9217$, 종수 $3{\sim}23$종, 개체수 $105{\sim}485$개체이었다.

北漢江 上流 桂芳川 砂礫地 河岸植生의 遷移系列 (Vegatation seres on the pebble area at ye-bang stream bank of north han river in korea)

  • Kim, Jong-Geun;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2호
    • /
    • pp.195-210
    • /
    • 1991
  • The primary succession of the pebble area in gye-bang chon, an upper stream bank of north han river, was investigated by belt transect method from July to October 1990. The stsges of bare area, herbaceous pioneer, perenial herb, woody plants and pine stand were recognized from stream bank to inland. The change of the coverage in herbaceous plants increased with developing sueccessional sere but decreaser with increment of woody plants. The species sequence cyrves vs. relative coverage were geometric in pioneer stage and graduaiiy changed to lognormal y\type as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 species diversity was highest during then woody plants stage, probably it would to be the edge effect. The soil properties were not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stream side and inland side. It seems that the vegetational developement was not enough to affect soil accumulation.

  • PDF

화성시 건달산의 산림식생 구조 분석 (Study of Vegetation Structure in Gundal Mountain, Hwasung-shi)

  • 이상화;강방훈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51-57
    • /
    • 2007
  •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in Gundal mountain, we investigated forest community using belt transect method at 30 sites in Gundal mountain. As the result of important value' calculation on over DBH 2cm, Pinus densiflora (56.8), Quercus mongolica (48.5), Pinus rigida(41.4), Castanea crenata (22.3), Quercus variabilis (22.3), Carpinus laxiflora (16.9), Quercus aliena (11.3), Sorbus alnifolia (8.6), and Quercus acutissima (8.5) were in the order of important value. According to the ordination analysis of Gundal mountain forest, Quercus mongolica was found in north face and high of mountain. Carpinus laxiflora was found in north face steep slope and middle of mountain. As DBH analysis, the study community will be dominated by Quercus speci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rest community and environment factor could be thought as distinction by soil nutrition etc., but we need more study about environment factors.

식물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한 남산공원 식생의 관리대책 (Vegetational Management Planning of the Namsan Nature Park in Seoul on the Basis of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 오구균;이경재;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1호
    • /
    • pp.1-9
    • /
    • 1988
  • 서울시 남산자연공원(南山自然公園)의 식물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한 식생관리대책을 제시하기 위하여 Belt-transect 법(法)과 방형구법(方形區法)으로 표본조사를 실시하여 남서-북동사면간 식생구조, 주요식물간 경쟁(競爭), 인공조성식생(人工造成植生)의 구조를 분석했으며, 이러한 결과와 기 발표된 결과를 토대로 권역별(圈域別) 식생관리대책(植生管理對策)을 제시했다. 남서사면의 출현 종수(種數), 개체수(個體數)가 북동사면보다 높았으나, 종다양성(種多樣性)은 북동사면이 1.0수준으로 남서사면(0.8~1.3) 보다 안정되었다. 양사면간 상이도(相異度) 및 식물상이도계수(植物相異度係數)(FDC)는 70~80%로서 종구성(種構成)이 이질적이었으며 북동사면에는 신갈나무, 남서사면에는 소나무가 우점종이었다. 주요 수종간 경쟁관계에서는 아까시나무>은사사나무>소나무, 신갈나무>활엽수>소나무, 낙엽활엽수>아까시나무 순(順)으로 우세하였다. 남산에 식재된 조림수종 특히, 잣나무, 젓나무, 독일가문비나무 등의 생육상태가 매우 불량하였으며, 인공조림수종들의 추수(推樹)발생지역에서의 밑깍기작업은 종다양성(種多樣性)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인공조성식생(人工造成植生)의 군집구조는 기존 자연식생과 상이(相異)하여 생태계의 천이를 방해하고 있었다. 남산자연공원의 관리는 기존 자연생태계를 보존(保存)하되, 필요시 생태계의 천이를 발전시키는 최소한의 인위적(人爲的)관리를 관리목표로 설정하고 6개 식생관리권 즉, 소나무림지역, 신갈나무림지역, 낙엽활엽수림지역, 인공조림지역, 아까시나무림지역 및 조경수목식재지역별 관리대책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