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lief sentenc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The Indefinite Description Analysis of Belief Ascription Sentences: A Trouble with the Analysis\ulcorner

  • Sunwoo, Hwan
    • 인문언어
    • /
    • 제2권2호
    • /
    • pp.301-319
    • /
    • 2002
  • In a recent paper, I have proposed an analysis concerning propositions and 'that'-clauses as a solution to Kripke's puzzle and other similar puzzles, which I now call 'the Indefinite Description Analysis of Belief Ascription Sentences.' I have listed some of the major advantages of this analysis besides its merit as a solution to the puzzles: it is amenable to the direct-reference theory of proper names; it does not nevertheless need to introduce Russellian (singular) propositions or any other new entities. David Lewis has constructed an interesting argument to refute this analysis. His argument seems to show that my analysis has an unwelcome consequence: if someone believes any proposition, then he or she should, ipso facto, believe any necessary (mathematical or logical) proposition (such as the proposition that 1 succeeds 0). In this paper, I argue that Lewis's argument does not pose a real threat to my analysis. All his argument shows is that we should not accept the assumption called 'the equivalence thesis': if two sentences are equivalent, then they express the same proposition. I argue that this thesis is already in trouble for independent reasons. Especially, I argue that if we accept the equivalence thesis then, even without my analysis, we can derive a sentence like 'Fred believes that 1 succeeds 0 and snow is white' from a sentence like 'Fred believes that snow is white.' The consequence mentioned above is not worse than this consequence.

  • PDF

대물(de re) 문맥과 '-라고'의 몇 가지 의미론적 특성 (De re context and some semantic traits of 'rago')

  • 민찬홍
    • 논리연구
    • /
    • 제16권1호
    • /
    • pp.61-85
    • /
    • 2013
  • 대언 믿음과 대물 믿음의 구별을 소개하고, 믿음 문맥과 양상 문맥에서 대언(de dicto)/대물(de re) 애매성이 동일하게 나타나는데, 양상 구문의 경우 한국어는 영어와 차별화되는 특징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지적한다. 부정문에서도 대언/대물 구문의 애매성이 나타나는 바, 이와 관련하여 한국어는 대물 부정문에 해당하는 통사 구조를 허용한다. 대물 구문은 지시적으로 투명한 구문이요 따라서 동일자 대입률을 허용하는 구문이며, 대언 구문은 지시적으로 불투명한 구문이요 동일자 대입률을 허용하지 않는 구문이다. 그런데, 인용 동사, 언어행위동사, 인지태도 동사들과 함께 사용되는 한국어의 인용 어미 '라고'는 특이하게도 영어와 평행하게 대언/대물 애매성을 갖는 문장 뿐 아니라 애매성 없는 대물 구문을 구성하는 문장도 제공한다. 또한, '라고' 구문은 내포절의 내용에 대한 화자의 공약에 있어서도 중립적이다. 한국어에서는 내포절의 내용에 대한 화자의 긍정적인 공약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음/임' 또는 '라는 것'이라는 어미를 사용한다. 이런 점 때문에 '앎이 진리를 전제한다'는 서구 인식론의 원칙은 인식 문장을 한국어 어미 '라고'를 사용하는 문장으로 표현하려고 할 때에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

  • PDF

Compression Effects of Number of Syllables on Korean Vowel

  • Yun, Il-Sung
    • 음성과학
    • /
    • 제9권1호
    • /
    • pp.173-184
    • /
    • 2002
  • The question of Korean rhythmic type is still a controversial issue (syllable-timed; stress-timed; word-timed). As a step toward solving the question,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 compression effects in Korean. There has been a general belief that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following or preceding syllables causes compression of a vowel (or syllable) in many languages, and a marked anticipatory compression effect can be especially indicative of stress tim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refore, was to obtain some evidenc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Korean is stress-timed. The durations of the target vowel/a/ of the monosyllabic word /pap/ were measured at both word and sentence level. In general, marked anticipatory and backward compression effects on the target vowel were observed across one-, two- and three-syllable words in citation form, whereas the effects were neither marked nor consistent at sentence level. These results led us to claim that Korean is not stress-timed.

  • PDF

Semantics of Focus

  • Yoon, Young-Eun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권
    • /
    • pp.137-179
    • /
    • 1997
  • This paper discusses several basic issues of the 'focus' phenomenon. One of them is the issue of the nature of focus, i.e., what constituent of the sentences gets focused. Another is the issue of to what aspect of meaning the focus contributes. The other is the issue of the functions of focus-sensitive operators. As for the first issue, it is observed that the basic function of focus is to mark all and only the new information of the sentence. But for the cases in which this principle is not observed, it is proposed that the focus in these cases in general plays a secondary function of triggering an additional emphatic scalar meaning. And yet, in these cases, the state of the matter is different between free focus and bound focus. It is also shown that contrary to the general belief that free focus contributes to the meaning semantically. Concerning focus-sensitive operators, we classify them into two groups, i.e., quantificational and scalar operators, and try to formalize their meaning in the framework of Pulman's(1997) 'higher order unification theory'.

  • PDF

A Study of the Semantic Function of Modality

  • Lee, Sang-Yoon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2호
    • /
    • pp.149-17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 sentence systemic within the category of structural grammar for the modality in which a speaker expresses his attitude. It is the priority of a language to communicate meaning. By eliminating the theoretical description of traditional grammar, this paper also aims to illustrate the concepts of nine modal verbs through a systemic network. The concept of modality includes both the epistemic and the deontic characteristics of modality. Epistemic modality is associated with either knowledge or belief on the part of a speaker who gives his own judgments about the state of affairs, events, or actions. However, deontic modality is related to either the possibility or the necessity of acts that a speaker performs to give permission or fulfill an obligation. In conclusion, all the subsystems are describ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systemic network, with the intention of including all the potential options of the semantic functions available in a situation.

  • PDF

무어의 역설과 자기-지시 (Moore's Paradox and Self-Reference)

  • 권홍우
    • 논리연구
    • /
    • 제19권3호
    • /
    • pp.341-368
    • /
    • 2016
  • "p이지만 나는 p라고 믿지 않는다"와 같은 문장은 어떤 상황에서도 자연스럽게 발화될 수 있을 것 같지 않고, 심지어는 부조리하고 모순되게 들리기까지 한다. 무어의 역설이 제기하는 문제는 왜 이런 문장이 아무런 형식적인 모순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발화하는 것이 부조리하게 들리는지를 설명하는 것이다. 무어의 역설에 대한 기존의 견해는 주로 믿음이나 주장(assertion)의 성격에서 그 부조리성의 근원을 찾으려 한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기존의 견해들이 무어의 역설을 만족스럽게 설명하지 못함을 주장하고, 이에 대한 새로운 설명을 제안한다. 이 제안에 따르면 무어의 역설의 근원은 "자기-지시"에 있다. 자기-지시는 주체가 어떤 특정한 방식으로 믿음을 형성하는 성향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성되는데, 무어의 역설은 주체가 자신을 "나"로 지시하는 동시에 어떤 사람을 "나"로 지시하기 위해 만족시켜야할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데에서 발생한다.

  • PDF

실험 저널쓰기에서 나타난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실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boutvScientific Experiment in Experimental Journal Writings)

  • 이윤정;임성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8-209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실험 저널쓰기에서 나타난 예비 과학교사의 실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탐구기반 물리실험 수업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에게 매 주제의 실험 수행마다 실험 과정과 수행에 대한 결과 및 논의와 더불어 실험 수행 후 실험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는 실험 저널을 작성하도록 하고, 이들이 작성한 실험 저널에 포함된 진술문을 분석하여 실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지식, 과정, 지향, 태도 등 4개의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지식 차원에는 반성적 사고는 실험을 통해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점검하거나 실험 후에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내용과 실험 후 새롭게 알게 된 내용에 대한 반추가 포함되었으며, 과정 차원에는 전반적인 실험 저널쓰기에서 나타난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실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 분석 207실험 과정에 대한 점검과 구체적인 실험 수행에 대한 반성이 드러났다. 지향 차원에서는 실험 수업을 통하여 얻게 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교육에 대한 견해가 포함되었으며, 태도 차원에서는 실험 수업에 대한 흥미와 동기, 실험수업에 대한 가치 인식이 포함되었다. 수행한 실험주제에 따라 반성적 사고의 유형별 빈도는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으나, 공통적으로 이러한 반성적 사고에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자신의 앎과 학습과정에 대한 초인지, 과학과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과학과 실험에 대한 정의적 특성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자신이 수행한 실험에 대해서 형식적인 절차에 따른 '과학적' 글쓰기뿐만 아니라 자유로운 형태로 '자신의' 글쓰기를 하게 하는 실험 저널쓰기는 과학학습 맥락에서 반성적 사고가 드러날 수 있는 매개이자 반성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활동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신중신탈놀이 연구 (Sinjungsin Mask Play Study)

  • 윤동환
    • 공연문화연구
    • /
    • 제40호
    • /
    • pp.163-192
    • /
    • 2020
  • 땅설법의 하나인 신중신탈놀이는 '성주신 일대기'와 관련이 있다. 신중신탈놀이는 성주신이 귀양을 가면서 만난 민속신들에 관한 이야기를 가면극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성주신일대기를 탈놀이의 형태로 진행하며, 설법을 주도하는 스님은 해설과 주요 배역을 맡는다. 다수의 신도들은 여러 배역과 악사의 역할을 한다. 신중신탈놀이에서는 많은 민속신앙이 소개되고, 흥미유발을 위한 소리, 재담 등이 포함되어있다. 신중신탈놀이는 기존 탈놀이와 마찬가지로 단어의 나열과 반복을 통한 연행 방식을 사용한다. 문장이나 구절의 반복은 관중들에게 문맥의 의미를 예지하거나 줄거리의 전개양상을 선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반복은 장면의 상황을 강조하고 율동감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탈놀이는 서민층의 전유물이었기 때문에, 탈놀이꾼들이 민요에서 흔히 사용되는 반복방식을 대사에 활용한다. 그로인해 관중에게 친숙감을 주고, 관중의 취향에 부응하는 것이다. 신중신탈놀이는 대중의 포교를 위해 민중의 연희방식을 차용하였다. 단어 또는 문장이나 구절의 반복, 단어나 문장의 대구, 기존 가요의 차용, 공식적 표현단위 등 전통연희의 극적 형식을 계승하고 있다. 또한 반복적 연행단락을 통하여 신자들이 직간접적으로 쉽게 익히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신중신탈놀이는 신앙공동체를 중심으로 전승되었고, 불법을 확산하기 위한 민중교화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불교가 민속신앙을 수용하는 과정을 탈놀이를 통해 외연화하고,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신도의 경우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화엄경의 신앙체계를 체득하게 된다. 땅설법 중 하나인 신중신탈놀이는 대중교화나 포교뿐만 아니라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또한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시조문학과 신선 (Literature of Korean Verse, Sijo and Taoist Hermit)

  • 김명희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30집
    • /
    • pp.21-52
    • /
    • 2009
  • 사대부들의 전유물인 시조에서 신선은 어떤 역할과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시조에서 선어들이 빈도수가 많음을 기존의 연구사를 통해 밝혔고 시조라는 장르를 통해서는 신선에만 집중하였다. 그중 적송자가 많이 등장하는데 적송자는 사대부들이 좇아가는 적송자로 표현하고 있어 '적송자를 좇으리'가 관용어구처럼 쓰이고 있다. 이것은 적송자를 좇아야만 비로소 신선 대열에 낄 수 있다는 등식처럼 되어버린 결과다. 중국의 장량이나 범려도 부귀영화를 다 버리고 적송자를 찾아 신선이 되어 영원 불사했다는 역사적 사건이 변모되어 전설로 신화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시조를 즐기는 사대부들도 마치 장량이나 범려처럼 자신들도 적송자를 좇겠다는 관념어적인 어투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가하면 이태백은 한국문학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인물이다. 태백은 시선이며 주선으로 시조 문학에서는 비상 모티브를 가진 신선 또는 상천 모티브로 쓰이는 주선으로 노래 부르고 있어 풍류를 즐기는 사대부들에게 친근하게 인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부정적으로 쓰이고 있는 신선으로는 진시황과 한무제를 들 수 있다. 두 황제는 불로초를 찾고 봉래산을 찾은 인물로 현실정치에서는 실각한 인물이다. 뿐만 아니라 불로장생을 원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한 인물이어서 사대부들은 그런면에서 이상적인 이상향은 없다는 다분히 현실적으로 다가가 유교사상에 입각해 현실에 만족하며 살자는 자족형으로 시조를 부르고 있었다. 따라서 두 황제의 역할은 부정적 이미지다. 시조에서 여선들도 등장하는데 그중 마고선녀, 서왕모, 무산신녀, 항아가 있다. 마고 선녀는 장수를 관장하는 할머니로 때로는 미녀로 쓰이고 있으며 서왕모는 불사약을 가지고 있는 신선으로 무산신녀는 운우의 정을 대변하는 미녀로 항아는 남편을 배반하고 외롭게 월궁에서 지내는 신녀로 표출되고 있다. 이들 선녀의 특징은 미녀이며 자상하고 섬세하며 애정시에 두루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