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terature of Korean Verse, Sijo and Taoist Hermit

시조문학과 신선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This study observed what roles and identity the Taoist Hermits have when they appear in Korean Verse, SiJo, which was preoccupied by the illustrious-officials in Choseon Dynasty. This study has found that languages of Taoist Hermit frequently appear in SiJo, through the historical study documents focusing on only the mountain wizards in terma of the genre, SiJo. Of those terms used by Taoist Hermit, most prominent was 'JeokSongJa', which was expressed as that sought by the illustrious-officials-they were using the sentence, 'I will follow JeokSongJa' to the extent that it is an idiom. This suggests that the illustrious officials in ChoSeon Dynasty meant if one was going to be entitled to become a Taoist Hermit, he should seek 'JeokSongJa' first. We can see those illustrious officials were using the words with a ideological tone, affected by then 'JangRyang' or 'BeomRyo' who were devoting themselves to finding 'JeokSongJa' with a belief that they could become a Taoist Hermit and live forever, which had been handed down as a legend or a myth. Meanwhile, Li Po is a profile who can not considered, separately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Li Po recited poems, as a great poet and a hard drinker, who were incited in SiJo of those illustrious officials as a intimate person. In contrast, among those who were accepted as a negative profile, were a Chinese Emperor JinSi and HanMuje. These two emperors, who were looking for a herb of eternal youth and Mt. BongRae, figures who had lost their positions in the real political circle. In addition, they couldn't make their dreams to get perennial youth and long life come true, which stimulated the illustrious officials of that time to recite those poems indicating there is no ideal Utopia so it's better be satisfied with the reality living up to the realistic idea of Confucianism. In this sense, those two emperors are negative. There are also women Taoist Hermits present in SiJo, including MaGo nymphs, SeoWangMo, MuSanShinNyo, and Hang-A. MaGo nymphs were grandmothers who superintend the longevity, often incited as a beautiful woman; SeoWangMo was a Toast Hermit who had an elixir of life; MuSanShinNyo is a beautiful woman who was representing the attachment of cloud friendship; and Hang-A is expressed as a goddess who betrayed her husband and as a result staying lonely in the moon palace. These women goddesses were characterized by their beautiful appearances, generous and delicate personalities. widely incited in romantic poems.

사대부들의 전유물인 시조에서 신선은 어떤 역할과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시조에서 선어들이 빈도수가 많음을 기존의 연구사를 통해 밝혔고 시조라는 장르를 통해서는 신선에만 집중하였다. 그중 적송자가 많이 등장하는데 적송자는 사대부들이 좇아가는 적송자로 표현하고 있어 '적송자를 좇으리'가 관용어구처럼 쓰이고 있다. 이것은 적송자를 좇아야만 비로소 신선 대열에 낄 수 있다는 등식처럼 되어버린 결과다. 중국의 장량이나 범려도 부귀영화를 다 버리고 적송자를 찾아 신선이 되어 영원 불사했다는 역사적 사건이 변모되어 전설로 신화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시조를 즐기는 사대부들도 마치 장량이나 범려처럼 자신들도 적송자를 좇겠다는 관념어적인 어투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가하면 이태백은 한국문학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인물이다. 태백은 시선이며 주선으로 시조 문학에서는 비상 모티브를 가진 신선 또는 상천 모티브로 쓰이는 주선으로 노래 부르고 있어 풍류를 즐기는 사대부들에게 친근하게 인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부정적으로 쓰이고 있는 신선으로는 진시황과 한무제를 들 수 있다. 두 황제는 불로초를 찾고 봉래산을 찾은 인물로 현실정치에서는 실각한 인물이다. 뿐만 아니라 불로장생을 원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한 인물이어서 사대부들은 그런면에서 이상적인 이상향은 없다는 다분히 현실적으로 다가가 유교사상에 입각해 현실에 만족하며 살자는 자족형으로 시조를 부르고 있었다. 따라서 두 황제의 역할은 부정적 이미지다. 시조에서 여선들도 등장하는데 그중 마고선녀, 서왕모, 무산신녀, 항아가 있다. 마고 선녀는 장수를 관장하는 할머니로 때로는 미녀로 쓰이고 있으며 서왕모는 불사약을 가지고 있는 신선으로 무산신녀는 운우의 정을 대변하는 미녀로 항아는 남편을 배반하고 외롭게 월궁에서 지내는 신녀로 표출되고 있다. 이들 선녀의 특징은 미녀이며 자상하고 섬세하며 애정시에 두루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