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초

지역사회 경증치매노인의 행동심리증상과 가족의 부양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in Local Communities and Care-giving Stress and Self-efficacy of Family Members)

  • 임동영;장현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51-662
    • /
    • 2019
  • 본 연구는 경증치매노인의 행동심리증상과 가족의 부양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를 이용하였다. 경증치매노인의 행동심리증상에 대한 가족의 부양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대해 알아본 결과, 치매노인의 행동심리증상과 가족의 부양스트레스는 양의 상관관계 (r=.655, p<.001),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은 음의 상관관계(r=-.334, p<.001)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증치매노인의 행동심리증상에 대한 적절한 대처법 개발을 통해 지역사회 경증치매노인 가족의 부양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태도, 치매행동심리증상 부담감, 간호전문직관이 치매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mentia Attitude, Burden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 in Dementia(BPSD),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Dementia Nursing Performance among Long-term Care Hospitals Nurses)

  • 강다해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301-309
    • /
    • 2020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태도, 치매행동심리증상 부담감, 간호전문직관의 관계를 파악하고, 치매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요양병원 간호사 161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4일부터 12월 13일까지 시행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하였다. 치매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치매태도(β=.280, p=.001), 간호전문직관(β=.237, p=.006), 치매행동심리증상 부담감(β=-.175, p=.012), 치매교육경험(β=.166, p=.014)이었다. 따라서 요양병원간호사의 치매간호수행도 향상을 위해서는 긍정적인 치매태도와 간호전문직관의 확립, 치매행동심리증상 부담감 감소를 위해 다양한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치매교육의 적용이 필요하다.

치매환자의 행동심리증상에 비약물적 중재가 미치는 효과 - 메타분석 (The Effect of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s 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 A Meta-Analysis)

  • 권미화;이재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40-550
    • /
    • 2017
  • 본 연구는 치매환자의 행동심리증상에 미치는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고, 중재 별로 주요하게 작용된 증상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국 내외 검색엔진을 이용하였으며, 2000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출판된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를 제시한 사전-사후실험연구 가운데 실험군과 대조군이 있는 무작위통제실험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선정된 23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 연구 전체의 효과크기는 -0.33으로 "보통"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세부적인 비약물적 중재 별 효과크기는 작업치료가 -0.26로 "보통"의 효과크기, 다감각자극이 -0.65로 "보통이상"의 효과크기로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증명되었다(p<.05). 중재 별로 주요하게 작용된 행동심리증상으로는 가정기반 프로그램에서는 주로 공격성, 기억력과 관련된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회상치료와 작업치료는 대체적으로 무감정, 다감각자극과 음악치료는 불안이나 초조행동에 주요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가 치매환자의 행동심리증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중재 별로 주요하게 작용된 증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추후 임상에서 치매환자를 위한 비약물적 중재 시, 각 환자의 행동심리증상에 적합한 중재를 선택하여 접근하는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에서 행동심리증상과 호모시스테인과의 연관 (Correlation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and Homocysteine in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s Type)

  • 이지민;임우영;김현;이강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22권1호
    • /
    • pp.23-30
    • /
    • 2014
  • 연구목적 호모시스테인은 인지기능의 손상과 다양한 정신과 증상들과 연관되어 있다. 본 연구는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치매의 행동심리증상 사이에 연관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방법 DSM-IV에 의해 알쯔하이머형 치매로 진단된 환자 41명의 혈중 호모시스테인, 엽산, 비타민 $B_{12}$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병력청취, 신체검사와 간이정신상태기능검사(MMSE), 전반적 퇴화척도(GDS), 임상치매 평가척도(CDR), 한국형 신경정신행동검사(K-NPI)를 수행하였다. 결과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NPI 총 점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고 망상, 초조/공격성, 우울/불쾌, 들뜸/흥분과 같은 여러 하위항목과도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MMSE, GDS, CDR 점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치매의 행동심리증상과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이와 연관된 병태생리학적 기전을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 PDF

행동심리증상을 보이는 치매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 유형 (Types of Empathy among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 김근면;이옥균;이정란;강옥희;정영화;장수정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6-32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ubjective perception structures and types of empathy among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using Q-methodology. Methods: Thirty-eight Q-samples (statements) were deriv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0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and nursing homes. The Q-sorting was conducted in rank order (the responses obtained by each of the 30 nurses working at 3 long-term care hospitals and 4 nursing homes) into a normal distribution grid (from -4 to +4). The types of empathy among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the PC-QUANL program. Results: Five types of empathy accounting for 48.5% of the total variance were categorized as follows: (1) taking the patients' personality into consideration while helping, (2) interacting closely and emotionally, (3) supporting the patient as a companion, (4) performing the duty in a defensive manner, and (5) resolving patients' problems by focusing on their needs.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various types of empathy in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BPS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and educative programs to enhance empathy competency and deal with burnout based on the type of empathy.

알츠하이머형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 인지기능 및 행동심리증상과 내측두엽 위축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nd Temporal Lobe Atrophy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 정재윤;이강준;김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7권2호
    • /
    • pp.155-163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알츠하이머형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 내측두엽 위축 정도의 차이에 따른 중증도, 신경인지기능 및 행동심리증상을 비교하는 것이다. 방 법 본 연구는 단면 연구로서, 알츠하이머형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받은 1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내측두엽 위축은 표준화된 시각 기반 척도(Scheltens scales)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대상군은 두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중증도는 임상치매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와 전반적 퇴화 척도(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로 평가되었으며 신경인지기능은 한국어판 간이 블레스드 검사(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 blessed test, SBT-K), 한국형 CERAD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CERAD-K), 행동심리증상은 한국형 신경정신행동검사(The Korean version of the Neuropsychiatric Inventory, K-NPI)로 평가되었다. 내측두엽 위축의 정도에 따른 중증도와 신경인지기능 및 행동심리증상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시행하였다. 결 과 내측두엽 위축의 중증도가 높은 군은 낮은 군에 비하여 CDR, SBT-K, 그리고 CERAD-K의 하부항목 중 네가지 항목에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p<0.05). 결 론 내측두엽 위축과 중증도 및 신경인지기능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행동심리증상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내측두엽 위축의 평가는 인지장애의 진단과 치료에 잠재적 이점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행동심리증상과 뇌구조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치매(痴呆)의 한열허실(寒熱虛實) 변증(辨證)을 위한 지표 문항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Preliminary Research for Development of Instrument for Cold-Heat & Deficiency-Excess Pattern Identification of Dementia)

  • 허은정;강형원;전원경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53-562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cold-heat and deficiency-excess pattern identification for dementia, as well as for standard Korean medicine diagnosis and treatment. Five experts comprised of 4 neuropsychiatrists of Korean medicine and 1 statistician to develop cold-heat and deficiency-excess pattern identification for dementia. We searched studies about pattern identification and selected 507 articles using Oasis search terms provided by the KIOM. As a result, 10 pattern identification research study were recruited. Moreover, we analyze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s for dementia that evaluate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and cognitive function using experts conferences and we selected neuropsychological instruments using pattern identification. Six cold patterns, six heat patterns, ten deficiency patterns, and four excess pattern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cold-heat and deficiency-excess pattern identification of dementia. We selected the Caregiver-Administered Neuropsychiatric Inventory and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s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s of dementia, which examine behavioral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 suspectively. We formed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Korean medicine pattern identification an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s for dementia. We developed and suggested a forecast module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dementia. But, it is necessary to perform additional clinical trials to verify its validity and accuracy.

아로마요법이 치매행동심리증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romatherapy 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 최승완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069-108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시설 입소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치매행동심리증상에 대한 아로마요법의 효과를 연구하여 치매노인과 부양자에게 양질의 삶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주고, 노인요양시설 등에서 치매노인을 위한 노인요양프로그램의 적용근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 사후설계로 진행되었고 연구대상은 시설입소 치매노인으로 의사소통이나 의사표시가 가능한 15명이다. 본 연구의 실험은 라벤더, 카모마일과 그레이프푸룻을 혼합하여 연구조원들이 아로마 손마사지법과 흡입법을 각각 1일 1회씩 총 15일간 3주 동안 제공하였다. 연구결과는 치매행동심리증상에 대한 아로마요법 후의 전체적 변화가 사전의 측정치는 1.47점, 사후1의 측정치는 1.09점, 사후2의 측정치는 1.01점, 사후3의 측정치는 0.71점으로 실험시기에 따른 변화가 유의미한 차이(F=11.501, p<0.001)가 있었고, 실험시기의 차이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 결과는 대화 또는 태도에서 근심, 걱정, 두려움, 공포의 기분, 우울한 기분, 눈에 띄게 수선스러운 동작, 눈에 띄게 저조한 행동, 수면장애 및 야간배회 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로마요법을 치매노인에게 적용하여 양질의 삶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주고, 노인요양시설에서 치매노인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하면 치매노인의 심신의 건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이상행동심리증상(BPSD)에 대한 한약과 양약의 병용 효과에 대한 연구: 체계적 문헌 고찰 (A Study on the Combination Effect of Herbal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on BPSD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 Systematic Review)

  • 김만기;장석주;홍민호;김근우;구병수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01-314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clinical evidence to support the use of herbal medicine combined with western medicine for BPSD. Methods: Studies were identified by searching CNKI,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SCIENCEON, RISS, KMbase, KISS, OASIS. Literature searches of Chinese, English, and Korean databases were performed. Two authors independently extracted the data and evaluated the quality of each study. Results: The literature search identified 203 articles. Of these, 7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The risk of bias in most studies was unclear. The most frequently used diagnostic tools were the NINCDS-ADRDA and DSM-IV. The most commonly used results indicator was NPI. In 6 of the 7 papers, combination treatment (herbal & Western medicin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single treatment (Western medicine alone) for BPSD. No significant adverse events were reported. Conclusions: Herbal medicine in combination with Western medicine is more effective for treating BPSD than Western medicine alone. However, the quality of the studies used in this study was uncertain and the sample size was too small.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more high-quality clinical trial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icacy of combination treatment.

COVID-19 감염 후 알츠하이머 치매증상의 악화에 대한 억간산 가미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Worsening Alzheimer's Disease Symptoms after COVID-19 Infection That Were Treated with Yigan-san-gami)

  • 이효정;권선우;권이재;손정민;박충현;이지윤;이정은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9-158
    • /
    • 2024
  • Introduction: In this case report, we describe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Yigan-san-gami in improving symptoms in a patient with worsening Alzheimer's dementia after COVID-19 infection. Case presentation: Symptoms of dementia worsened in a patient with Alzheimer's disease after COVID-19 infection. Western medicines were added following neurological consultation. However, there was no medicinal effect.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Yigan-san-gami) three times a day. We used daily charts,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2 (K-MMSE-2),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and Short Version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 to assess the patient's symptoms. Cognitive decline an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improved following the treatment with Yigan-san-gami.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Yigan-san-gami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symptoms of Alzheimer's disease that worsen after COVID-19 inf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