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havioral Information

검색결과 1,417건 처리시간 0.027초

디지털 맞춤형 광고에서 비식별개인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와의 갈등에 관한 연구: 국내외 현황과 제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flict between the Use of Personally non-Identifiable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Digital Behavioral Advertising: Focusing on the Domestic and Foreign Status and System)

  • 최민욱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71-79
    • /
    • 2021
  • 본 연구는 빅데이터 산업과 디지털 광고 산업의 발전을 위한 비식별개인정보의 활용이라는 측면과 개인정보 보호 측면 사이의 갈등 관점에서 조망해보았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논문, 법조문, 행정 규정, 최근 언론 기사 등 문헌연구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 주제 관련 국내외 현황과 제도 자료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디지털 맞춤형 광고에서의 비식별개인정보 보호 관련 주요 쟁점으로 '광고표현의 자유와 개인 인격권과의 상충', '식별 불가능한 정보의 개인정보화; '정보의 불균형'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와 관련 디지털 맞춤형 광고에서의 비식별개인정보 보호 방안으로 '광고표현의 자유와 개인 인격권과의 조화' '고지와 동의 절차의 개선', '개인정보통제권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디지털 맞춤형 광고에서 비식별개인정보가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비식별개인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향후에는 본 연구 주제 관련 사례와 판례 중심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전자상거래 연구에서 인지된 가치, 위험 및 행위의도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Risk and Behavioral Intention on E-commerce)

  • 남수태;김도관;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5-168
    • /
    • 2014
  • 메타분석은 여러 실증연구의 정량적인 결과를 통합과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조망할 기회를 제공하는 통계적 통합 방법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과 지식정보사회의 융합은 정치, 경제 및 다양한 분야에 빠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자상거래 연구에서 인지된 가치, 인지된 위험과 행위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을 문헌연구와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우리나라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중 인지된 가치, 위험 및 행위의도의 인과관계가 설정된 총 25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 인지된 가치와 행위의도 간 경로의 효과 크기는 0.508이었다. 또한, 인지된 위험과 행위의도 간 경로의 효과 크기는 -0.251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선행연구와 비교분석을 통해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 PDF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정보기술의 행위의도에 관한 메타분석: 우리나라 학회지에 게재된 관련연구 중심으로 (A Meta-Analysi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for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cusing on the Related Research in Korea)

  • 남수태;김도관;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3-236
    • /
    • 2013
  • 메타분석은 여러 실증연구의 정량적인 결과를 통합과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조망할 기회를 제공하는 통계적 통합 방법이다. 계획된 행동이론은 여러 가지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계속 연구되고 있다. 최근 정보시스템과 정보통신 분야가 가장 큰 이슈이다. 이러한 시점에 계획된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정보기술에 대한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들을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이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중 계획된 행동이론의 인과관계를 설정한 총 31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 행위에 대한 태도에서 행동의도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571로 보였으며, 주관적 규범에서 행동의도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381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된 행위통제에서 행동의도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458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의도에서 행동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421을 보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 비교분석을 통해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 PDF

패션 소비자의 CSR 동기 지각이 진실성, 신뢰,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CSR 지속성과 정보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erceived CSR Motives of Fashion Consumer on Sincerity, Trust, and Behavioral Intention -Focus on the Effects of CSR Timing and Information Source-)

  • 안수경;류은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5호
    • /
    • pp.57-72
    • /
    • 2021
  • With the growing importance of CSR, more fashion brands have actively engaged in CSR activities, and consumers' perception of their motives has become a critical issu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perceived CSR motives on fashion consumers' perceived sincerity, trust, and behavioral intentions. In addition, the effect of 'CSR timing' and 'information source' on these variables was examined. In a 2×2 between- subjects design with scenarios, 515 adult consumers responded to an online survey questionnaire. The study identified three CSR motives: value-driven motive, instrumental motive, and strategic motive. The SEM results showed that the value-driven and instrumental motives influenced trust and behavioral intentions. In particular, perceived sincerity mediates value-driven motive and trust. A comparison of latent means revealed the effect of CSR timing on value-driven and strategic motives, trust, sincerity, and behavioral intentions. This study provides an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perception of CSR motives and their reactions, and the importance of CSR timing.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to Use Online Learning Systems from Student's Perspective: An Extended TAM Model

  • 양이;김민용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4호
    • /
    • pp.95-11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employe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o understand students' acceptance of online learning systems.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ehavioral intention of South Korean major university students to use online learning systems for educational purposes in the period when their university life had largely returned to the state it was in before the COVID-19 pandemic.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four external factors: self-efficacy, personal innovativeness, perceived enjoyment, and system quality, on two TAM construct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Additionally, this study explored how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affect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online learning systems. We conducted an online-based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then subjected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to test the study's hypotheses and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ous constructs. Findings The findings reveal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significantly influence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s to use online learning systems. Furthermore, factors of self-efficacy, perceived enjoyment, and system quality positively affect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Notably, personal innovativeness impacts ease of use but not perceived usefulness.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processed foods consumption behavior

  • Seo, Sunhee;Kim, Og Yeon;Shim, Soonm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3호
    • /
    • pp.327-335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level of information affected intention,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SUBJECTS/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survey in diverse community centers and shopping malls in Seoul, which yielded N = 209 datasets. To compare processed foods consumption behavior, we divided samples into two groups based on level of information about food additives (whether respondents felt that information on food additives was sufficient or not). We analyzed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food additives and toward purchasing processed food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behavioral intentions to processed foods between sufficient information group and lack information group. RESULTS: The results confirmed that more than 78% of respondents thought information on food additives was insufficient. However, the group who felt information was sufficient had more positive attitudes about consuming processed foods and behavioral intentions than the group who thought information was inadequate. This study found people who consider that they have sufficient information on food additives tend to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processed foods and intention to consume processed food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increasing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on the appropriate use of processed foods. Designing useful nutrition education requires a good understanding of factors which influence on processed foods consumption.

셀 수준의 진화 프레임워크를 통한 인공개체의 행동로직 진화 (Evolution of Behavioral Logic of Artificial Individuals Using Cell-level Evolution Framework)

  • 정보선;정성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22-2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셀 수준의 진화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인공개체의 행동로직을 진화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셀 수준의 진화 프레임을 구현하였으며 이 프레임 상에서 인공개체가 먹이를 먹기 위해 행동로직을 진화하는 것을 살펴보았다. 인공개체의 행동로직 진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행동결정 로직 프레임을 제안하여 적용하였다. 테스트결과 인공개체가 빠른 세대 내에 먹이를 잘 먹는 로직으로 진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여러 번의 실험을 통하여 대부분의 실험에서 거의 동일한 행동양식을 보이는 것으로 진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진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알고리즘이나 하드웨어의 진화와는 다른 방법으로서 기본적으로 접근 방법에 차이점이 있다. 이런 결과로 보았을 때 본 논문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가 셀 수준의 진화를 관찰해볼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홈퍼니싱 브랜드 소비자들의 쇼핑가치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체험마케팅 요소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Home Furnishing Brand Consumers' Shopping Values on Behavioral Intentions of Home Furnishing Brand Products -Exploring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Experiential Marketing Components-)

  • 정혜정;오경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539-555
    • /
    • 2020
  •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ual constructs of shopping values and experiential marketing components of home furnishing brands as well as their impact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oward home furnishing goods. The mediating roles of experiential marketing were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A survey was performed on female shoppers between the ages of 20 and 50 who have visited and shopped at home furnishing brand stor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to analyze the sub-dimension of shopping values (Social, Differential, Utilitarian, Aesthetic, Entertaining, and Sustainable) and experiential marketing components (Sense, Emotion, Coordination information, and Customer services) showed factorial structures. 2) Aesthetic, Differential,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s on behavioral intentions of home furnishing brand products; in addition, Sense, Emotion, and Coordination information components of experiential marke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of home furnishing brand products. 3) The Emotion and Sense components of experiential marketing had important medic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opping values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home furnishing brand products. This study highlighted that shopping values and experiential marketing components should be promoted among consumers to increase behavioral intentions of home furnishing brand products.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the Digital Exhibition: A Case study on

  • Rhee, Boa;Kim, Shin Hyo;Shin, Soo M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1-28
    • /
    • 2016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Perceived Usefulness(PU) and Perceived Ease of Use(PEOU)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 and how viewing experiences and knowledge of motion graphics have an impact on attitude toward using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Both usability for learning and usability for appreciation in terms of PU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immers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On the other hand, PEOU has an influence on degree of exhibition satisfaction and immersion, and onto behavioral intention to use with the exception of intention to revisiting . Unlike PU or PEOU, previous viewing experiences do not have correlation with attitude toward using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Only previous knowledge of motion graphics has a correlation with degree of satisfaction and immers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As the influence on PU and PEOU's attitude toward using and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has been verified, our findings show that two variables of TAM enable the prediction of user's technology acceptance on digital exhibitions and as a result prove the suitability for TAM as an evaluation model for digital exhibition of remediating the originals. This study offers a fresh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motion graphic effects which influence attitude toward using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from the perspective of curating methodology.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통한 실내 거주자의 일상생활 행동 모형 정립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Resident's Behavioral Model in Daily Living based on a Wireless Sensor Network)

  • 조승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29-138
    • /
    • 2009
  • 고령화 사회를 넘어 고령사회를 눈앞에 두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노인 문제는 더욱 심각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집 또는 복지/요양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거주자들의 일상생활 행동 모형을 정립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건 발생을 중심으로 하는 일상 행동 모형 $W_{ip}(n)$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행동 모형을 기반으로 조도/온도 센서로 구성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시스템에서 거주자들의 일상 행동 양상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거주자의 일상생활이 정규적인 범위에 있는지 벗어나 있는지 구분하고자 시도하였다. 제안된 일상 행동 모형이 미래에 집이나 사회복지 시설의 거주자들을 효과적으로 보살피는데 매우 잘 적용될 것임을 실험 결과들이 알려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