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droom lighting environment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치유환경을 위한 광선반 부착방법에 따른 노인요양시설 침실 내 자연채광 유입 환경 연구 - 기상데이터 기반 동적 자연채광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 (A study on Daylighting inducement within bedroom of Elderly care facility by light shelf attaching method for Therapeutic environment - By Dynamic Daylight Simulation Using Weather Data -)

  • 조주영;이기호;윤영일;이효원
    • KIEAE Journal
    • /
    • 제11권6호
    • /
    • pp.71-79
    • /
    • 2011
  • There are high recognitions on the importance of comforts in Elderly living environment, but the circumstance is that studies on seniors facility space itself are approached only in planning level, and studies on lighting environment which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omfort in the indoor environment of seniors where they actually spend the majority of their time are not that active.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duce cozy bedroom environment to which existing elderly care facility can be improved by using light shelf the lighting system with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rve both as building sun visor and lighting window simultaneously in order to analyze the interior environment of bedroom space of elderly care facility the indoor space where the aged spend the majority of their life and examine the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xisting building lighting system through remodeling and renovation. In this study, lighting performance analysis was done in a way that the windows of the bedroom unit in existing facility were set in southbound direction based on two standard types and were put under initial simulation with the use of Autodesk Revit 2011, and after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onverted to Green Building Studio gbXML file to be used in ECOTECT, Daylight Autonomy a dynamic simulation and static natural lighting simulation the existing method of calculating daylight factors were deduced through Ecotect Analysis 2011. In conclusion, exiting standard model was found in such a condition that the daylight factors for both type A and type B were above 5% the proper standard value, and required improvement. In case light shelf the natural lighting system was attached, the daylight factor was improved to proper standard value for type A, and also was improved above existing facility for type B.

Cas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Bedroom Environment in Korean Nursing Homes

  • Kim, Dae-Nyun;Yoon, Young-Sun;Moon, Jae-Ho;Byun, Hea-Ryung;Chung, Mi-Ryum;Hong, Min-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8권2호
    • /
    • pp.29-4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e bedroom environment of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in Korea. Field case research was performed using a structured checklist and measurements, from Oct. 28th to Dec. 2nd, 2006.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cognitive efficiency, privacy, safety, supportiveness and amenity. Based o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nationwid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we choose 43 facilities in which Seoul and six megalopolis areas that had answered our questionnaire in 2006. We then narrowed the list to 14 facilities, balanced them in terms of regional population. The contents of investigation consisted of eight categories: tha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bedrooms (including number of residents per room, using a bed or floor mat, the size and shape of the chamber, space for wheelchair turning, signage), door of bedroom (including door, doorknob, door sill/level difference), windows in the bedroom(including type of window, window sill height, window treatment, window safety device/shape, view/daylight), furniture (including personal furniture and lock), finishes (material, character and color of wall, floor, ceiling), lighting (including types of lighting, night lighting, switch), bathroom in the bedroom (including signage, door size/type, doorknob shape, height of the washbowl, size of toilet bowl, handrail, finishes), and other facilities (including outlet and handrails).

서울시 및 수도권 거주자의 침실환경과 침실 사용자그룹 세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leep Environment in Bedroom and Segmentation of Sleeper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 김비나;전정윤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37-44
    • /
    • 2009
  • Sleep has big influence on our life, for example productivity, character formation of babies, mortality and the people who suffered from sleep problem are also diverse. Therefore, indoor environmental supports for good sleep, might be different with the situation and need of respective pers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investigate the current bedroom condition, sleep problem, and life pattern of Korean. 2) to classify Korean into several groups and explain their characteristics relevant to sleep, in order to understand Korean's need for good sleep. The questionnaire was sent out to Seoul and its environs in Jan.$\sim$Feb. 2008, and total of 70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e research on the bedroom condition was conducted around perceived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cooling and heating strategy, clo value during sleep, bedding type, lighting, sharing bedroom. People are divided into 6 groups by 8 factors, and 5 groups could be seen that they need some management for good sleep because of their sleep problem.

고령자주택의 조명환경 실태조사 (Actual Conditions on the Illumination Environment of the Elderly House)

  • 안옥희;최미향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9-1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주택의 조명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고령자만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 50가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가 느끼는 주택조명의 밝기는 거실과 부엌은 보통정도이며, 침실과 화장실은 조금 어두운 것으로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주택조명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대체로 보통이상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둘째, 고령자주택의 조명환경 문제점은 밝기와 관리라고 생각하며, 조명환경 개조 시 밝기와 설비의 노후를 고려하였으며, 개조 시 밝기에 가장 중점을 두기를 원하였다. 셋째, 조명의 사용방법은 침실과 화장실은 전반조명만의 사용이 압도적이며, 부엌은 전반조명과 국부조명의 병용이 압도적이다. 거실은 전반조명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전반조명과 국부조명을 병용하는 경우도 약 4할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광원의 사용을 보면, 침실과 거실에서는 주로 형광등을 사용하며, 부엌과 화장실에서는 국부조명의 광원으로 백열등을 사용하였다. 넷째, 침실의 평균조도는 104.17[lx], 평균균 제도는 60.22[%]이며, 거실의 평균조도는 116.15[lx], 평균균제도는 51.48[%]이며, 부엌의 싱크대 평균조도는 236.40[lx], 식탁의 평균조도는 160.73[lx], 화장실의 세면대의 평균조도는 109.81[lx], 변기의 평균조도는 74.33[lx]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기준보다 어둡다.

서울과 상해 소형아파트의 평면구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mall-Sized Apartment Plan Composition in Seoul and Shanghai)

  • 박수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73-180
    • /
    • 2014
  • Dwelling connotes characteristics like social and cultural and technical climatic conditions, lifestyles and demands of regions, and especially, apartment, as one of dwelling types, shows various aspects of modern society.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 centering on large cities, apartments have been established as universal housing forms in Seoul and Shanghai. The deepening of economic development in cities has increased small households consisting of one or two persons by affecting the population and household structure, and they've become information consumer groups. This has also influenced the size of apartment and increased the demand for small-sized housing. If the floor area is small, it is possible to use space widely according to the plan composition, so there is a need for floor planning to understand natural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and residents.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plan compositions of small-sized apartments which have been parceled out for the recent three years in Seoul and Shanghai.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using cultures and users in the two countries depending on natural environments, living habits and spatial functions by analyzing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of public spaces like living room, dining room and kitchen, and private spaces like bedroom which have absolute effects on room arrangement and traffic lin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al environments, in Seoul, two-sided open cross-ventilation structure where is favorable to lighting and ventilation, occupied the biggest proportion of public space, while in Shanghai, most public spaces had lighting and ventilation structures through windows in each room. In Seoul, 3R type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of private space(87.7%), and privacy was maintained and space scale was adjusted using spaces with diverse functions such as bathroom in the couple bedroom, dress room and powder room and variable walls. But 2R type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of private space(60.2%) in Shanghai, and they emphasized private space and privacy of each room depending on major living habits. In conclusion, this study for comparing and analyzing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of small-sized apartment plan compositions in Seoul and Shanghai will provide proper guidelines for small-sized apartments to be built in Seoul and Shanghai in the future, if strong points and weak points of plan compositions in the two countries will be additionally analyzed and remedied.

야간 조명 하 안대와 소등의 수면에 대한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the Effects between Eye-Mask and Light-Off Conditions on Psychiatric Patient Sleep)

  • 신주용;임경옥;조성남;장소영;차승민;한송이;김무진
    • 수면정신생리
    • /
    • 제28권1호
    • /
    • pp.27-33
    • /
    • 2021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침실에서 야간 조명이 강제적으로 사용되는 교정기관 내 정신과적 입원 환자들에게 상업용 활동 추적기와 수면일지를 통해 안대 착용과 완전 소등이 수면 상태에 주는 효과들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방 법 : 본 연구는 3일 연속 밤 동안 수행되었다. 국립법무병원에 입원된 29명의 정신질환자들에게 무작위 연구 번호가 배정되었으며, 첫 날에는 야간 조명 환경에서 평소처럼 취침했다. 29명 연구대상자들은 다른 날에는 야간 조명환경에서 안대를 착용한 채 취침하였으며, 또 다른 날에는 완전 소등 환경에서 안대 없이 취침하였다. 29명 연구대상자들은 상업용 활동 추적기를 착용하면서 취침하도록 요청되었으며, 다음 날 아침 수면일지를 작성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이러한 둘째 밤과 셋째 밤의 침실 조도 환경 변화를 무작위로 겪도록 배정되었다. 결 과 : 조명 하 수면 환경과 안대 착용 수면 환경 비교 시, 안대 착용 수면 환경에서 수면 후 각성 시간이 짧았고, 수면 만족도가 높았다(각각, Z = 3.66, p < 0.017 ; Z = 2.69, p < 0.017). 또한, 조명 하 수면 조건과 소등 하 수면 조건 비교 시, 소등 하 수면 조건에서 수면 후 각성 시간이 짧았고, 수면 효율, 수면 만족도가 높았다(각각, 31.14분 대 15.00분, Z = 2.40, p < 0.017 ; 79.40% 대 88.10%, Z = 3.02, p < 0.017 ; 2.97점 대 4.10점, Z = 3.88, p < 0.017). 그러나 안대 착용 수면과 소등 하 수면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 정신질환자나 교정기관의 수용자에게 수면을 개선시키기 위해 완전 소등 또는 환경 개선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안대 착용을 권장하는 것이 주관적인 수면의 질과 만족도를 높이는데 유용한 방법이 될 수도 있겠다.

방재안전 자연광 LED 조명을 이용한 생활안전 개선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the Life-safety Implementation using the Natural Light LED Lamp in the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 이태식;석금철;소유섭;최병식;김재권;조원철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53-62
    • /
    • 2016
  • 본 연구는 방재안전 자연광 LED 조명을 이용하여 환경을 개선하여, 생활안전 분야에서 자살, 감염병, 안전사고, 교통사고, 범죄, 화재, 자연재해 등에서 발생하는 사망자를 줄이고, 칼라조명의 유연성을 활용하여, 건강과 환경과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LED 조명사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조사된 내용으로는, 2016년 11월 3주간, 서울 북부지역에 거주하는 우울증 증세의 주민 10명(평균 거주기간 28.7년, 연령 67.5세)을 대상으로, 본인의 요청에 의하여 가정침실 혹은 거실에 방재안전 자연광 LED 조명을 설치하여 사용 후 조사한 바, 신체적, 정신적 안정감을 회복하는 기능에 대한 기대감은 88%로 높게 나타났고, 이와 동일하게 1주와 3주 후의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 대한 비교조사를 하여 본 결과, 1주차에는 84%에서 3주차 이후에는 90%로 우울증 해소효과가 높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울증 환자의견을 종합하면, 잠도 잘자고 불안한 마음이 없어졌고, 안정감이 생기고, 숙면을 취할 때가 많아 졌으며, 너무 좋다 등의 효과를 보였다고 하였다. 방재안전 환경조명은, 자살자를 감소시키고, 감염병으로부터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며, 부주의로 인한 추락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주며, 교통사고 발생빈도가 높은 지점에 설치하여 대형차량의 안전운전을 향상시키고, 지역사회의 안전을 위한 안전귀가길의 안전기능을 향상시키고, 화재로 인한 소방관의 정신적 불안 증세를 완화시켜 주며, 자연재해로 인한 장기간 상황실 근무시 의사결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환경조성 등에 크게 개선하여, 시민을 덜 죽고, 덜 다치고, 안전한 지역사회 건설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라이프스타일 기반 다학제적 청년층 1인 가구의 주거 환경 선호 및 요구 분석 (A Study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eference and Needs of the Multi-academic Young Single Family Based on Life Style)

  • 임준형;최인영;박혜경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7권1호
    • /
    • pp.249-260
    • /
    • 2019
  • 최근 우리나라 1인가구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2035년에 들어서는 34.6%로 증가할 것이라 예측되며 이들 중, 우리나라 높은 주택가격으로 인하여 청년층 1인가구는 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청년 주거지원을 확대실시하여, 공공지원 임대주택과 민간 청년임대주택, 청년 기숙사 공급 등 다양한 정부정책을 펼쳐 나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 연령대와 라이프스타일이 다른 청년층 1인가구의 정확한 주거요구를 파악하여 향후 보급될 청년 주택 계획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청년층 1인가구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청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주거선호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청년층 1인가구의 주거환경 선호 및 요구에 대한 조사도구를 구성하였다. 셋째, 청년층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을 바탕으로 한 공간사용특성과 평면구성 선호 및 요구, 실내디자인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8년 12월에서 2019년 1월 초까지 학생과 직장인을 포함한 20세에서 39세 사이의 청년층 1인 가구 150명을 대상으로 SNS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간사용특성을 살펴본 결과, 작은 면적인 청년 1인 주거에서 침실과 거실이 기본적 기능 외 다양한 생활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계획시 이에 대한 추가적 고려가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2) 평면구성 선호 및 요구를 살펴본 결과, 별도의 침실과 거실 공간 확보를 요구하며,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거실공간에 대한 확장요구와 침실공간의 드레스룸 등의 수납 추가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실내디자인 선호를 살펴본 결과, 모던스타일과 대표적 컬러인 무채색계열 색채를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주거공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감재료를 선호하며, 조명은 간접조명 및 벽면을 이용한 은은한 조명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년층 내에서도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른 학생과 직장인의 차별적 실내디자인 선호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향후 실제 공공임대주택의 사례분석과 사용자 범위확대를 통하여 실질적인 주거환경니즈와 계획방안 제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