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uveria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2초

백강균(白殭菌)을 처리(處理)한 소나무림의 낙엽(落葉)과 토양(土壤)에 서식(棲息)하는 무척주동물(無脊柱動物) 군집(群集)에 대한 다변량분석(多變量分析) (Multivariate Analysis on Invertebrate Communities in Litter and Soils of Japanese Red Pine Forests treated by Beauveria bassiana)

  • 권태성;박영석;신상철;이범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5호
    • /
    • pp.593-599
    • /
    • 2001
  • 다변량분석법(주성분분석법, PCA)을 이용하여 무척추동물 군집에 백강균 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였다. 좌표공간내의 군집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군집구조에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을 통계 검정하였다. 백강균 처리는 낙엽과 토양의 무척추동물 군집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파밤나방과 배추좀나방에 대한 곤충병원성 곰팡이 Beauveria bassiana ANU1의 온도와 습도조건에 따른 살충효과 (Insecticidal Effect of an Entomopath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ANU1 to Spodoptera exigua and Plutella xylostella by Differe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 이중복;박영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5-133
    • /
    • 2015
  • 해충방제에 있어서 곤충병원성 곰팡이는 화학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생물학적 방제인자로써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나비목의 파밤나방과 배추좀나방 유충은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주는 주요 해충이지만 다양한 살충제에 대한 높은 저항성으로 인해 효과적인 방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안동에 위치한 파재배지에서 채집한 파밤나방 유충에서 곰팡이 균주를 분리하였고, 이 균주의 형태적 특성과 분자생물학적 특성에 관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Beauveria bassiana와 동일함을 확인하였고, B. bassiana ANU1으로 명명하였다. B. bassiana ANU1의 병원성 조사는 파밤나방과 배추좀나방 2령 유충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파밤나방과 배추좀나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는 각각 $2.7{\times}10^3$$0.9{\times}10^3conidia/ml$이었으며, 반수치사시간은 각각 65.6과 60.8시간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B. bassiana ANU1는 상대습도 50% 조건에서 일정온도 ($20^{\circ}C-30^{\circ}C$)와 $25^{\circ}C$의 온도에서 40%-70%의 습도조건에 노출되었을 때 $10^7conidia/ml$의 농도에서 파밤나방과 배추좀나방 유충을 대상으로 높은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Entomopathogenic Fungi의 ITS 영역에 대한 RFLP 분석 (Genetic Relationship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on Entomopathogenic Fungi by RFLP)

  • 최인영;유영진;최정식;이왕휴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2-117
    • /
    • 2000
  • 야생에 서식하고 있는 번데기 및 성충에 감염된 기주의 자실체로부터 동충하초속균 3속 14균주를 분리하였고, RFLP에 의한 유전정보를 이용하여 ITS 영역에 대한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각 균주의 rDNA ITS I과 II 부위를 primer ITS 1과 ITS 4를 사용하여 PCR에 의해 증폭한 결과 증폭된 산물은 500 bp크기로 잘 보존되어 종간 또는 속간 서로 구분되지 않았다. 따라서 증폭산물을 7종의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밴드상을 관찰한 결과 수집된 Paecilomyces tenuipes 4균주와 Beauveria bassiana 2균주, JB3 균주를 제외한 Cordyceps militaris 6균주는 각각 동일 종으로 분류되었다. 한편 C. scarabaeicola 균주는 7종의 제한효소에서 모두 B. bassiana의 밴드와 일치하여 C. scarabaeicola의 불완전세대는 B. bassiana로 간주되었다. 제한 효소 중에 Paecilomyces속과 Cordyceps 속간 구분에 용이한 제한효소는 CfoI, HpaII이었으며, 그중 CfoI는 Paecilomyces, Cordyceps, Beauveria속간 구분에 용이하였다. UPGMA 분석결과 P. tenuipes, C. militaris, C. scarabaeicola와 B. bassiana, JB4 균주 등 4개의 군으로 그룹화되었으며, 그룹간에는 100% 유의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rDNA-RFLP 분석에서 속간 유연관계는 적었으나 종간 유연관계는 가까운 결과를 얻었다.

  • PDF

유충노랑곰보동충하초(Cordyceps staphylindaecola)의 불완전세대와 자실체 형성 (Asexual Stage and Fruit Formation of Cordyceps staphylinidaecola)

  • 성재모;홍성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
    • /
    • 2003
  • Beauveria속균은 2000년 9월 1일부터 2002년 8월 31일까지 총 151개 표본이 채집되었고 분리된 균주는 25개다. 분리된 균주는 대부분 Beauveria bassiana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춘천시 삼악산에서 채집한 유충노랑곰보 동충하초의 특성은 기주를 균사에 의하여 쌓여있으며 자좌는 기주로부터 하나 내지 4개가 나오며 분생포자도 같이 형성되었다. 밝은 노란색의 자좌는 45 mm 이고 머리는 $17mm{\times}4mm$ 이고 자루 28mm 이지만 경계는 뚜렷하지 않았다. 자낭각은 머리에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고 묻힌형이고 크기는 $530{\sim}550{\times}290{\sim}300{\mu}m$이었고 자낭은 $400{\sim}450{\times}4{\sim}5{\mu}m$이었다. 자낭포자는 실 모양이고 2차 포자로 분열한 후 바로 둥근 2차 포자를 형성하였다. Cordyceps staphyl- indaecola의 불완전 세대는 형태적인 특징인 분생자경은 rachis로 분생포자세포는 정단으로 생장하였으며 작은 목에서부터 원형의 분생포자를 형성하였다. 크기는 $2.6{\sim}3.4{\times}1.2{\sim}1.9{\mu}m$로 Beauveria bassiana로 동정하였다. 균사생육에 가장 적합한 배지는 HM이었고 기본 액체배지로는 HM, MCM 배지에서 우수한 건조 균체량을 나타내었다. 11일간 배양하여 $25^{\circ}C$에서 가장 우수한 생장과 밀도를 나타냈으며 $pH6.5{\sim}pH8.5$까지 배지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현미와 번데기 배지에서 균사가 배지의 표면을 채우는 데 일주일이 걸리며 15일이나 18일이 되면 밝은 균사집합체에서 분생자병속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40일 후에는 분생자병속에 분생포자가 형성되기도 하나 간혹 자낭각이 형성되는 자좌도 있었다. 배양에서 형성된 자실체와 자연에서 채집한 자실체는 형태적으로 비슷하나 인공적으로 머리부분에서 자낭각이 형성하게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토마토재배에 사용하는 농약과 친환경농자재가 곤충 병원성 곰팡이 Beauveria bassiana의 병원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sticide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used in Tomato Cultivation on the Pathogenicity of the Entomopath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 박종호;홍성준;한은정;심창기;이민호;김민정;김정준;김용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57-364
    • /
    • 2012
  • 토마토 재배에 사용되는 농자재를 이용하여 곤충 병원성 곰팡이인 Beauveria bassiana의 병원성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hlorothalonil 등 13종의 살균제 첨가 배지에서는 B. bassiana 균사가 전혀 생장하지 못하였고 chlorothalonil 등 12종의 살균제 첨가 배지에서 균총이 형성되지 않았다. 살충제와 친환경자재를 첨가한 모든 배지에서 균사가 생장하고 포자가 형성되었지만 대부분 배지에서 무처리와 비교했을 때 유의차를 보였다. 온실가루이에 대한 살충력은 B. bassiana 단독처리일 때보다 화학살균제(polyoxin B, mandipropamid)와 친환경농자재(sulfur) 혼합시 떨어졌으며 화학살충제(pyridaben, dinotefuran)와 식물추출물 유래 친환경농자재(pyrethrum) 혼합시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온실에서 살균제인 polyoxin B의 혼합으로 온실가루이에 대한 B. bassiana의 감염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Influence of Systemic Fungicide on the Hematology of Silkworm Bombyx mori L. Infected with Beauveria bassiana

  • Kumar, Virendra;Nataraju, B.;Thiagarajan, T.;Dandin, S.B.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6권1호
    • /
    • pp.11-14
    • /
    • 2003
  • Systemic fungicides viz., Bavistin and Beyleton are reported to have curative effect against the infection of Beauveria bassiana in silkworm Bombyx mori L.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the systemic fungicides on the disease suppression/development, hematolog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percent total hemocyte count, granulocyte and plasmatocyte in silkworm treated with the systemic fungicides. It possibly indicates the influence of systemic fungicide on the hemocyte mediated defense system leading to the higher resistance and suppression of disease development.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이용한 모기 방제 (Mosquito Control Using Entomopathogenic Fungi)

  • 최광식;정희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77-87
    • /
    • 2015
  • 곤충이 곰팡이병에 감염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고, 대부분은 이들에 대해 감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살충제 저항성이 문제가 되면서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이용한 모기 방제에 대한 연구가 더욱 주목을 받고 있고, Beauveria bassiana, Metarhizium anisopliae, Lagenidium giganteum와 같은 병원성 곰팡이를 모기 방제에 사용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 총설에서는 말라리아, 뎅기열, 사상충, 황열병 등을 옮기는 모기들의 방제에 사용되는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정리하고 이들의 활용방안을 논하였다.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Six Species of Entomopathogenic Fungi Isolated from the Silkworm, Bombyx mori

  • Nguyen, Mau Tuan;Nam, Sung Hee;Park, Hyun Ro;Han, Myung S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9권2호
    • /
    • pp.229-234
    • /
    • 2004
  • Six entomopathogenic fungus isolates, Beauveria bassiana J57A, Nomuraea rileyi J125A, Paecilomyces farinosus J3A, Paecilomyces fumosoroseus J50A, Metarhizium anisopliae J88, Aspergilius sp. J64A, causing muscardine disease and aspergillosi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were investigated for their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n PDA culture media within 14 days at $24^{\circ}C$).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differ each other from the features of cultural characteristics (colony elevation, colony color, colony growth rate) 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onidiogenous cell structure, phialides, conidia size and shape). Among cultural characteristics, colony color is the easiest recognizable character between isolat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fungal isolate correspond to the descriptions of current system of classification.

Assessment of Skin Irritation Caused by S-(-)-10,11-Dihydroxyfarnesoic Acid Methyl Ester, a Metabolite of Beauveria bassiana CS1029

  • Kim, Min-A;Lee, Sang-Han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2권3호
    • /
    • pp.145-148
    • /
    • 2014
  • To determine whether S-(-)-10,11-dihydroxyfarnesic acid methyl ester (DHFAME) produced by Beauveria bassiana CS1029 potentially causes acute skin irritation as a cosmetic ingredient, a skin toxicity test was conducted as recommended for compliance with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gulations.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treated with 100 mg/dose of DHFAME according to standard guidelines. No significant skin lesions or inflammation was observed in the DHFAME-treated group. Furthermore, DHFAME did not appear to cause skin irritation, as assessed by clinical observation of the rabbits. Thus, when taken together,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DHFAME is a promising potential cosmetic ingredient that does not irritate the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