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n By-Products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6초

Biotransformation of Reactive Red 141 by Paenibacillus terrigena KKW2-005 and Examination of Product Toxicity

  • Sompark, Chalermwoot;Singkhonrat, Jirada;Sakkayawong, Niramo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7호
    • /
    • pp.967-977
    • /
    • 2021
  • A total of 37 bacterial isolates were obtained from dye-contaminated soil samples at a textile processing factory in Nakhon Ratchasima Province, Thailand, and the potential of the isolates to decolorize and biotransform azo dye Reactive Red 141 (RR141) was investigated. The most potent bacterium was identified as Paenibacillus terrigena KKW2-005, which showed the ability to decolorize 96.45% of RR141 (50 mg/l) within 20 h under static conditions at pH 8.0 and a broad temperature range of 30-40℃. The biotransformation products were analyzed by using UV-Vis spectrophotometry and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 analysis revealed four metabolites generated from the reductive biodegradation, namely sodium 3-diazenylnaphthalene-1,5-disulfonate (I), sodium naphthalene-2-sufonate (II), 4-chloro-1,3,5-triazin-2-amine (III) and N1-(1,3,5-triazin-2-yl) benzene-1,4-diamine (IV). Decolorization intermediates reduced phytotoxicity as compared with the untreated dye. However, they had phytotoxicity when compared with control, probably due to naphthalene and triazine derivatives. Moreover, genotoxicity testing by high annealing temperature-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technique exhibited different DNA polymorphism bands in seedlings exposed to the metabolites. They compared to the bands found in seedlings subjected to the untreated dye or distilled water. The data from this study provide evidence that the biodegradation of Reactive Red 141 by P. terrigena KKW2-005 was genotoxic to the DNA seedlings.

산사 첨가량을 달리한 산사편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nsapyun with various amounts of Crataegi fructus concentrate)

  • 신수정;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1-190
    • /
    • 2011
  • 산사편 제조에 첨가된 산사농축액은 0, 5, 10, 20, 30%로 농도를 달리하여 정량하였으며, 선행논문 분석과 예비실험을 통하여 녹두전분 9%를 겔화제로 첨가하였다. 산사편의 수분함량과 pH는 산사농축액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당도의 경우 Before/After로 모두 산사 농축액이 증가할수록 당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 중 명도는 산사농축액 0%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 b값은 높아졌다. 산사농축액이 30% 첨가군이 가장 보였다. Texture는 산사농축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과편의 경도, 탄력성, 씹힘성, 검성, 응집성은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부착성의 경우 산사농축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보였다. 정량적 묘사분석 결과 산사농축액이 증가할수록 정도, 과일 냄새, 새콤한 냄새, 한약냄새, 신맛, 단맛, 한약맛, 끈적이는 정도 그리고 후미에서 강하게 평가되었으며, 매끄러운 정도, 투명한 정도, 단단한 정도와 탄력있는 정도는 산사농축액이 진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기호도 검사 결과 냄새, 맛 그리고 전반적인 기호도는 산사 농축액 10% 첨가군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색과 조직감은 산사농축액 20% 첨가군에서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 PDF

Studies on Intake and Serum Concentrations of Fatty Acids in Korean Adolescents

  • Chung, Eun-Jung;Kim, Soo-Jung;Um, Young-Sook;Ahn, Hong-Seok;Lee, Dong-Hwan;Lee, Yang-Cha-Kim
    • Nutritional Sciences
    • /
    • 제1권1호
    • /
    • pp.42-50
    • /
    • 1998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dietary fatty-acid pattern and serum fatty-acid compos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otal, 355 ; male, 182 ; female, 173), who are vulnerable to excessive and unbalanced food intakes such as fatty acids and energy. In serum lipid levels, total Chol (p<0.05) and HDL-Chol (p<0.001) levels of fe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al, students. The average fat intake was 23-26 energy % which falls in with the current recommendation level (15-25%) for adults. Although the average P/M/S ratio of dietary fat was 1.1/1.2/1.0 which approaches the recommended ratio, the average range of $\omega$6/$\omega$3 fatty acid ratio of dietary fat was found to be 12.0-16.5, which is higher than the presently recommended range of 4 -10. Some of the very high values found in this study were partly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range of individual variation of $\omega$6/$\omega$3 ratios was very large. Mean daily intake of Chol was 357-361 mg. The n3 fatty acid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higher in the LFHM (high fish low meat) group than in the LFHM (low fish high meat) group. EPA and DHA intakes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p<0.01) in the HFLM group than in the LFHM group as expected. Dietary total $\omega$3 fatty acids (p<0.05) and EPA (p<0.01) were also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rum AA($\omega$6) levels. Interestingly, energy intakes and dietary SEAs such as 12 : 0 (p<0.05), 14 : 0 (p<0.01) and 16 : 0 (p<0.05)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rum AA ($\omega$6) levels. To lower the $\omega$6/$\omega$3 ratio of dietary fatty acids for children, frequent consumption of $\omega$3 series fatty-acid rich foods such as soy bean, bean products and fish is recommended. Detailed guidelines should be developed in recommending balanced food intake and qualitative fat intake for Korean adolescents taking heterogeneous groups into consideration. In accurately evaluating fatty acid intake,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the fatty acid composition data of all foods consumed in each country.

  • PDF

Bacillus subtilis 분리균 2주 유래 mannanases의 특성 비교 (Isolation of Mannanase-producing Bacteria, Bacillus subtilis WL-6 and WL-11, and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Mannanase)

  • 윤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13-1120
    • /
    • 2016
  •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 된장으로부터 균체외 효소로 mannanase를 생산하는 세균 2주가 분리되었다. 분리균 WL-6과 WL-11은 형태적 특성, 생화학적 성질 및 16S rDNA의 염기서열에 따라 Bacillus subtilis로 확인되었다. 이들 두 균주로부터 각각 mannanase 유전자를 대장균에 클로닝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mannanase 유전자는 362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코드하며 1,086 뉴클레오티드로 동일하게 이루어졌다. WL-6과 WL-11 mannanase (Man6, Man11)의 아미노산 잔기 배열은 서로 8개 잔기가 다르며 GH family 26에 속하는 B. subtilis의 mannanases와 매우 상동성이 높았다. Man6과 Man11의 아미노 말단의 26개 아미노 잔기가 signal peptide로 예측되었다. 재조합 대장균로부터 각각 생산된 Man6과 Man11은 94~95% 정도가 균체내에 존재하였고, mannotriose, mannotetraose, mannopentaose, mannohexaose와 같은 만노올리고당과 locust bean gum을 유사하게 분해하여 주된 반응산물로 mannobiose와 mannotriose를 생성하였다. Man6는 55℃와 pH 6.0, Man11은 60℃와 pH 5.5에서 각각 최대 반응활성을 보였으며, Man11이 Man6에 비해 열안정성이 높았다.

캄보디아 캄풍수푸 지역 20-69세 성인여성의 비만률 및 영양소 섭취조사 (Obesity Rate and Nutrient Intakes of 20- to 69-year-old Women Living in Rural Kampong Spue Province in Cambodia)

  • 김영남;이혜현;강은진;강금지;김건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68-67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dietary nutrient intakes, simple food intake frequencies, and rates of obesity in Cambodian women. A total 186 women, aged 20-69 years, living in Kampong Spue province of Cambodia and having the responsibility to prepare family me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body mass index (BMI) was calculated, and one-day 24-hour recall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In total, 18.8% were underweight, 49.5% were normal weight, 13.4% were overweight, and 18.3% were obese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BMI standard for Asian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ight by obesity level was determined ($p{\geq}0.05$). The mean energy intake was 1571.2 kcal/day and protein intake was 43.6 g/da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tein, niacin, and vitamin C intakes by obesity level (p<0.05). The prevalence of subjects consuming vitamins and minerals less than 75% of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was 73-99%. All Cambodian women consumed rice ${\geq}1time/day$. Approximately 50% of subjects reported ${\geq}1time/day$ intake frequency of bread, cookies, and chips. In total, 35% indicated no intake of beans or bean products. For intake frequencies of carbonated beverages and sports drink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obesity level (p<0.05). These results may be very helpful to prepar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Cambodian women.

농산물과 토양에 대한 퍼클로레이트 함량 평가 및 생물농축계수 산출 (Bioconcentration Factor(BCF) of Perchlorate from Agricultural Products and Soils)

  • 김지영;김민지;이정미;김두호;박기문;김원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4-230
    • /
    • 2013
  • 퍼클로레이트의 인체 노출경로 중 식품섭취로 인한 노출경로가 전체 노출경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식품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태이다. 또한, 국내 오염물질에 대한 국내산 토양으로부터 농산물로의 생물농축계수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미흡한 상태이므로 데이터베이스 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도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퍼클로레이트 계수 산출을 위해 농산물이 재배된 토양을 함께 채취하여 농산물과 토양에 대한 각각의 퍼클로레이트 함량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이용해 생물농축계수 및 위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농산물 각 그룹별 퍼클로레이트의 평균함량이 곡류 2.70, 과일류 1.43, 채소류 $10.32{\mu}g/kg$으로 녹색 채소류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 조사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 값은 기존의 국내 외 연구 결과 값과 비슷한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토양의 경우 곡류 8.38, 과일류 1.01, 채소류 $5.20{\mu}g/kg$의 함량이 조사되었다. 이렇게 얻어진 농산물과 토양의 결과를 이용해 토양에서 농산물로의 퍼클로레이트 생물농축계수를 산출한 결과 깻잎(37.88) > 옥수수(21.51) > 시금치(10.57) > 귤(4.39) > 부추(2.89) > 호박(1.90) 순으로 채소류에서 높은 생물농축계수를 나타냈다. 실제 토양에서는 농산물마다 흡수이행 되는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퍼클로레이트의 전이 매커니즘 규명 등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실제 퍼클로레이트가 함유된 농산물을 섭취하였을 경우 퍼클로레이트에 대한 인체 노출량을 조사한 결과, 곡류, 채소류, 과일류 모두 2세 미만 그리고 3~6세의 영유아 그룹에서 높은 노출량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곡류, 과일류, 채소류 모두 1이하로 안전한 수준이기는 하나 곡류, 과일류, 채소류 대부분이 영유아 그룹에서 높은 노출량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취약계층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구형태에 따른 노인의 식품섭취 빈도 비교 - 2008년 경기북부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A comparison of food frequency for the elderly regarding different family types - Based on Community Health Survey for 2008 -)

  • 신송경;김현자;최보율;이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3호
    • /
    • pp.264-273
    • /
    • 2012
  • This study analyzes the food frequency for the elderly regarding different family types and finds the factors for nutritional risk, offers a basic reference for providing nutritional support for them. The study referred to the dietary behavioral survey data of 3,680 elderly people (1652 male and 2028 female) from 21 regions in the northern Kyeonggi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method of one-to-one interviews and was a part of the Community Health Survey for 2008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We classified family types as a household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 household of elderly people with a spouse, a household of the elderly with unmarried children and a household of the elderly with married children, and as for intakes of foods, the frequencies of taking fruits, vegetables, kimchi, rice with mixed cereals, meat, fish, bean tofu soymilk, milk and dairy products, as well as sweet beverages are calculated on a daily basis and skipped meals are calculated on a weekly basis. Elderly women showed lower income, lower education level, higher unemployment rates, and a higher rate of government healthcare subsidies than elderly men. Elderly women tend to live alone and with their children while elderly men tend to live with their spouse. In both males and females, the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were the least in the elderly living alone, while the elderly with married children ate the most. In both males and females, the household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te significantly less amounts of Kimchi than other family types.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ended to have significantly less meat and fish, especially women. In the case of rice with mixed cereals, the elderly men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men with unmarried children ate significantly less amounts than the elderly men living with a spouse. The elderly men living alone took significantly less milk and dairy products than the elderly men with unmarried children while the elderly women living with a spouse took significantly less milk and dairy products than the elderly women with married children. With regards to the frequency of meal-skipping, the elderly living alone had the highest frequency for skipping meals. From this result, having various foods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Furthermore, the elderly living with unmarried children demonstrated a low quality of dietary life compared to those of married children. Hence, it can be concluded that social support is important in order for the elderly to have a balanced diet.

한국인의 상용식품 중 무기질 함량과 분석방법 비교 연구 2. 칼륨 (A study on the Mineral Contents of Korea Common Foods and Analytical Methods. 2. Potassium)

  • 송범호;황성희;이주돈;김희재;정해랑;문현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7-44
    • /
    • 1992
  • 한국인의 상용식품, 특히 가공식품의 K 함량에 대한 원자흡광분광광도계의 분석결과 다음과 같다. (1) 곡류 중 라면류의 K 함량은 105~180 mg/100g 이고 스프의 K 함량은 500~10000mg/100g 이었다. (2) 과자류의 K 함량은 웨하스가 다소 낮은 40~60 mg/100g이었고 다른 과자는 80~135mg/100g 이었다. (3) 서류, 두류의 K 함량은 원재료보다 가공식품의 K 함량이 작아 가공 중 K 함량이 줄어듦을 볼 수 있고 두류 식품 중 비지의 K 함량이 유난히 높게 나타났다. (4) 채소류의 K 함량은 전반적으로 높아 오이 160~240 mg/100g이었고 , 호박 200~280mg/100g, 느타리 버석 370~375 mg/100g수준으로 나타났다. (5)육류의 K 함량도 비교적 높아 130~475 mg/100g이었고 육가공ㅍ무도 다소 낮았으나 80~260mg/100g이었다. (6) 어류의 K 함량은 100~400mg/100g, 어육연제품이 다소 낮은 100~150mg/100g이었으나 해조류의 K 함량은 말린 것의 경우 대부분이 1000mg/100g을 넘는 높은 함량을 보였다. (7) 우유의 K 함량은 대체로 130~165mg/100g이었고 프리마가 다소 높아 570~980mg/100g이었다. (8) 음료류 중 탄산음료의 K 함량야은 매우 낮았으나 커피의 K 함량은 매우 높아 2400~2600mg/100g이었다. (9) 당류 중 껌, 설탕, 캔디의 K함량은 매우 낮았고 쵸코릿이 다소 높은 395~440mg/100g이었다. (10) 조미료류의 K 함량은 종류별로 차이가 커서 식용유의 K 함량은 매우 낮고 후추가루는 1200~1300mg/100g으로 높았다. (11) 모든 식ㅍ무군에서 분석방법간 K 함량의 차이는 유의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혈당 강하 요구르트 개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Yogurt Decreasing Blood Glucose)

  • 조영훈;신현정;장치훈;남명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57-262
    • /
    • 2006
  • 혈당 강하 요구르트의 개발을 위해 Streptococcu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acidophilus145, bifido-bacterium infantis 혼합균주에 사균인 FK-23 유산구균, 피니톨, 식이섬유, 백강낭콩 추출 분말, 에리스리톨, 바나바 추출물 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한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정상인과 혈당치가 높은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간이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1. 정상인의 식후 혈당치는 일반 요구르트를 섭취했을 때보다 혈당 강하 요구르트 음용 시 더 낮게 측정되었으여 임상대상자 대부분에서 동일한 현상이 나타났다. 2. 혈당치가 높은 당뇨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식후 혈당치변화 및 음용기간 중 혈당치 변화를 확인한 결과 혈당 강하요구르트를 음용하기 전보다 음용 후 혈당치가 식후 30분, 식후 60분, 식후 120분 각각 19 mg/dL, 30 mg/dL, 31 mg/dL 감소하였다. 또한, 혈당 증가 억제율도 임상대상자의 80%가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3. 30일간 혈당 강하 요구르트를 음용한 후 식후 혈당치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음용전보다 음용 후 120분 경과 때, 혈당치가 59 mg/dL 감소하였으며 음용기간이 증가할수록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Bacillus amyloliquefaciens 분리균의 Mannanase 생산성과 효소특성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Mannanase by a Bacillus amyloliquefaciens Isolate)

  • 윤기홍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58-163
    • /
    • 2014
  • 된장으로부터 mannanase 생산균으로 산성 배지에서 분리된 YB-1402는 그람양성 간균으로 포자를 형성하며, 16S rDNA 염기서열과 생화학적 성질이 Bacillus amyloliquefaciens와 가장 높은 유사도를 보였다. 분리균 YB-1402는 konjac을 3% 첨가한 LB 액체배지에서 약 150 U/ml의 최대 mannanase 생산성을 보였다. 분리균의 배양상등액을 사용하여 SDS-PAGE 활성염색을 실시한 결과 분자량이 약 38 kDa로 추정되는 한 종류의 mannanase만이 관찰되었으며, $55^{\circ}C$와 pH 5.5 반응조건에서 mannanase의 최대활성을 보였다. 특히 mannanase는 pH 3.0-10의 범위에서 1시간 방치하였을 때 실활되지 않은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Locust bean gum과 mannooligosaccharides를 mannanase로 분해하였을 때 mannose, mannobiose와 mannotriose가 최종 분해산물로 관찰되었으며 mannotriose 이상의 중합도를 갖는 mannooligosaccharides를 분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