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x inhibitor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7초

인진(茵蔯)의 에탄올 추출물이 담도암 세포주 SNU-1196의 apoptosis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apoptotic Effect of Artemisiae Capillaris Herba Extracted with Ethanol on Biliary Tract Cancer Cell Line, SNU-1196)

  • 이경욱;우홍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87-598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pro-apoptotic effect of Artemisiae capillaris herba extracted with ethanol on biliary tract cancer cells. Materials and Methods : The biliary tract cancer cell line SNU-1196 was used in this study. Cell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rtemisiae capillaris herba for 24, 48 and 72 hours. After the treatment, cell viability, apoptosis, caspase activities and the mRNA expressions of the Bcl-2, Bax, P53, and P21 were measured by using MTT assay, cell cycle analysis, apoptosis assay, and RT-PCR. The cell cycle analysis was done by flow cytometry and apoptosis assay by cell death detection ELISA kit. Results : Artemisiae capillaris herba inhibited proliferation of SNU-1196 in long-time culture group with dose-dependent manner. All cells treated with Artemisiae capillaris herba showed increased apoptosis with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Exposure of SNU-1196 to Artemisiae capillaris herba induced caspase-3 activation. However, apeoptosis was blocked when SNU-1196 was treated together with the pan-caspase inhibitor Z-VAD-FMK and the caspase-3 inhibitor Z-DEVE-FMK. After the treatment of Artemisiae capillaris herba, the mRNA expressions of caspase -3, -8, -9, p53, and p21 was increased in all cells. Artemisiae capillaris herba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Bcl-2 and an increase in Bax mRNA level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rtemisiae capillaris herba would be beneficial in the treatment of biliary tract cancer.

Artemisia capillaris Thunb. inhibits cell growth and induces apoptosis in human hepatic stellate cell line LX2

  • Kim, Young-Il;Lee, Jang-Hoon;Park, Seung-Won;Choi, In-Hwa;Friedman, Scott L.;Woo, Hong-Jung;Kim, Young-Chul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10권4호
    • /
    • pp.254-262
    • /
    • 2010
  • Artemisia capillaris (A. capillaries) is known to play roles in many cellular events, such as cell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 We investigated the antifibrogenic efficacy of A. capillaris in the immortalized human hepatic stellate cell line LX2. Cell proliferation was determined by the MTT assay. Cell cycle was analyzed by the flow cytometry. Apoptotic cells were measured using a cell death detection ELISA. Caspase activity was detected by a colorimetric assay. The mRNA level of Bcl-2 and Bax mRNA were measured by real-time PCR. MEK and ERK protein were detected by Western blot analysis. We provide evidence that A. capillaris induces cell cycle arrest, apoptosis, and potently inhibits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 A. capillaris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of LX2 cells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increased the apoptosis fraction at cell cycle analysis with an accompanying DNA fragmentation, and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Bcl-2 mRNA levels and an increase in Bax expression. Exposure of LX2 cells to A. capillaris induced caspase-3 activation, but co-treatment of A. capillaris with the pan-caspase inhibitor Z-VAD-FMK, and the caspase-3 inhibitor Z-DEVE-FMK, blocked apoptosis. A. capillaris down-regulated Mcl-1 protein levels and inhibited phosphorylation of MEK/ERK, suggesting that it mediates cell death in LX2 cells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Mcl-1 protein via a MEK/ERK-independent pathway.

$H_2O_2$에 의한 배양심근세포고사에 미치는 사물탕의 방어효과 (Protective Effects of Samul-tang on ${H_2O_2}-induced$ Cell Apoptosis in Cultured Cardiomyoblast Cells)

  • 박종운;한상혁;김도환;문병순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8-68
    • /
    • 200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mechanisms of Samul-tang (SMT) on $H_2O_2$-induced toxicity in H9c2 cardiomyoblast cells. Methods : The cultured cells were pretreated with SMT and exposed to $H_2O_2$. The cell damage was assessed by using MTT assay. Also, we used Hoechst staining, Western blotting analysis. Results : SMT significantly reduced both $H_2O_2$-induced cell death and chromatin fragmentation. The decrease of Bcl2 expression by $H_2O_2$ was inhibited by SMT. In addition, the increase of Bax expression was also inhibited by SMT. In particular, Fas expression, which is generally recognized as cell death inducing signal by Fas/FasL interaction, was markedly decreased by $H_2O_2$ in a time-dependent manner, whereas this decrease was completely prevented by SMT. The cotreatment of SMT and $H_2O_2$ in H9c2 cells also induced the phosphorylation of ERK in a time-dependent manner. Moreover, PD098059, a specific inhibitor of ERKl/2, attenu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SMT on $H_2O_2$-induced toxicity in H9c2 cardiomyoblast cells. Furthermore, the protective effect of SMT was significantly blocked by treatment of SB203580, a specific inhibitor of p38. Conclusions :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water extract of SMT against oxidative damages may be mediated by the modulation of Bel2 and Bax expression via the regulation of ERK and p38 signaling pathway.

  • PDF

Tabebuia avellanedae에서 유래된 ${\beta}>-lapachone$의 인체폐암세포 apoptosis 유발에 관한 연구 (Growth Inhibition of Human Lung Carcinoma Cells by ${\beta}>-lapachone$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 최병태;이용태;최영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22-728
    • /
    • 2005
  • The DNA topoismerase I inhibitor ${\beta}-lapachone$, the product of a lapacho tree (Tabebuia avellanedae) from South America, activates a novel apoptotic response in a number of cell lines. In the present report,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eta}-lapachone$ on the growth of human lung in human non-small-cell-lung-cancer A549 cells. Upon treatment with ${\beta}-lapachone$, a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cell viability and cell proliferation was observed as measured by hemocytometer counts and MTT assay. The ${\beta}-lapachone-treated$ cells developed many of the hallmark features of apoptosis, including membrane shrinking, condensation of chromatin and DNA fragmentation. These apoptotic effects of ${\beta}-lapachone$ in A549 cells were associated with a marked induction of pro-apoptotic Bax expression, however the levels of anti-apoptotic Bcl-2 expression were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ccordingly, elevated amount of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p21 expression accompanied by up-regulation of tumor suppressor p53 was observed. By RT-PCR analyses, decrease in gene expression level of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and telomeric repeat binding factor were also observed. Thu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eta}-lapachone$ may be a potential anti-cancer therapeutics for the control of human lung cancer cell model.

Impact of imatinib administration on the mouse ovarian follicle count and levels of intra-ovarian proteins related to follicular quality

  • Kim, Se Jeong;Kim, Tae Eun;Jee, Byung Chul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9권2호
    • /
    • pp.93-100
    • /
    • 2022
  • Objective: The impact of imatinib, a tyrosine kinase inhibitor, on ovarian follicles and several proteins related to follicular function and apoptosis was investigated in mice. Methods: Saline, cyclophosphamide (Cp; 50 or 75 mg/kg), or imatinib (7.5 or 15 mg/kg) was injected once intraperitoneally into female B6D2F1 mice (18 mice in each group). In multiple ovarian sections, the number of various types of follicles and the proportion of good-quality (G1) follicles were counted. The levels of six proteins (anti-Müllerian hormone [AMH], BCL-xL, BAX, acid sphingomyelinase [A-SMase], caspase-3, and α-smooth muscle actin [α-SMA]) within the whole ovaries were quantified using Western blots. Results: Compared to the saline group, a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primordial follicle count was observed in the group treated with imatinib 7.5 and 15 mg/kg, as well as in the group treated with Cp 75 mg/kg. Administration of Cp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portion of G1 primordial follicles, but administration of imatinib did not. No differences in the AMH, anti-apoptotic BCLX-L, pro-apoptotic BAX, and A-SMase levels in the ovarian tissues were observed among the five groups. However, caspase-3 and α-SMA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matinib and Cp groups than in the saline group. Conclusion: The administration of imatinib to mice significantly reduced the primordial follicle count and increased the protein levels of caspase-3 and α-SMA. Our findings suggest that imatinib potentially exerts ovarian toxicity via apoptotic processes, similarly to Cp.

Naringenin에 의한 인체혈구암세포의 apoptosis 유발에 미치는 pro-apoptotic Bcl-2의 영향 (Effect of Proapoptotic Bcl-2 on Naringenin-induced Apoptosis in Human Leukemia U937 Cells)

  • 박철;;최태현;홍수현;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9호
    • /
    • pp.1118-1125
    • /
    • 2013
  • 감귤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naringenin은 항암화학요법제로서 중요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나 항암활성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혈구암세포인 U937 세포에서 naringenin이 유발하는 항암효과 및 항암기전을 조사하였다. Naringenin 처리에 의한 U937 세포의 증식억제는 apoptosis 유발과 연관성이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caspases 활성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pan-caspase inhibitor인 z-VAD-fmk의 선처리에 의하여 U937 세포에서 naringenin이 유발하는 apoptosis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caspases가 apoptosis 유발의 중요한 조절자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U937 세포에 naringenin을 처리하였을 경우 pro-apoptotic Bcl-2 및 anti-apoptotic Bax의 발현에는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Bcl-2가 과발현된 U937/Bcl-2 세포에서 naringenin에 의한 apoptosis가 억제되었다. 하지만 small-molecule Bcl-2 inhibitor인 HA14-1 및 naringenin을 같이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XIAP 발현감소, Bid 단편화 및 caspase-3 활성화를 통하여 다시 apoptosis가 유발되었다. 따라서 HA14-1 및 naringenin에 의한 apoptosis 상승효과는 death receptor-mediated apoptosis pathway를 경유한다는 것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Resveratrol에 의한 A549 인체 폐암세포의 증식억제 및 apoptosis 유발에 관한 연구 (Induction of Cdk inhibitor p21 and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by resveratrol in human lung carcinoma A549 cells.)

  • 김영애;임선영;이숙희;박건영;이원호;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800-808
    • /
    • 2004
  • Resveratrol은 포도와 같은 식물에서 각종 감염균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물질인 phytoalexin의 일종으로 강력한 항산화작용, 암예방 효과 및 항암 작용을 포함한 각종 약리작용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어져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esveratrol의 항암작용 기전해석을 위하여 A549 인체폐암세포의 종식에 미치는 resverakol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A549 세포의 생존율은 resveratrol의 처리시간 증가에 따라 강력하게 억제되었으며, 이는 암세포의 다양한 형태변형을 동반한 세포주기 C2/M arrest 및 염색질 응축 현상을 동반한 apoptosis 유발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Resveratrol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발은 Bcl-2의 발현변화 없이 Bcl-$X_L$의 발현 감소에 따른 상대적인 Bax의 발현 증가와 Sp-1, PCNA 및 $\beta$-catenin 등과 같은 단백질의 분해 현상과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resveratrol에 의한 A549세포 의 증식억제는 Cdk inhibitor p21의 발현 증가에 따른 Cdks 의 kinase 활성 저하 및 COX-2의 선택적 저해에 따른 PGE2 생성 저하와 관련이 있었다.

매실(Prunus mume) 메탄올 분획물의 처리에 따른 인체 전립선암세포 LNCaP의 apoptosis 유도 효과 (Induction of Apoptosis by Treatment of Human Prostate Cancer LNCaP Cells with Methanol Fractions from Prunus mume)

  • 김휘곤;김정호;허지안;원영선;서권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21-32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매실 메탄올 추출물(maesil methanol fraction, MMF)을 제조하여 인체 전립선암세포 LNCaP, RC-58T 및 PC-3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인체 전립선암세포인 PC-3 및 RC-58T와 비교해보았을 때, LNCaP은 MMF의 처리에 따른 증식억제 효과에 가장 민감했다. LNCaP의 형태학적 관찰과 apoptotic body 형성을 관찰해보았으며, MMF의 처리로 인한 형태의 변화, 핵 손상 및 응축을 확인했다. MMF의 처리로 인한 인체 전립선암세포 LNCaP에서 성장억제 효과가 내인성 apoptosis 경로와 관련 있는지 확인한 결과, pro-apoptotic 단백질인 Bax, caspase-3, caspase-9, PARP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anti-apoptotic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MMF와 AIF inhibitor인 N-phenylmalemide (N-PM)의 병용처리군에 비해 MMF 단독처리군의 증식억제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AIF 및 Endo G의 발현 증가를 통해 외인성 apoptosis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PI3K inhibitor인 LY294002와 MMF의 병용처리군에 비해 MMF 단독처리군의 증식억제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PI3K, p-Akt, p-mTOR의 발현 감소를 통해 PI3K/Akt/mTOR 신호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인체 전립선암세포 LNCaP에서 MMF의 증식억제 효과는 천연물 유래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K562 백혈병 세포주에서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에 미치는 PTK Inhibitors의 영향 (Radiation-induced Apoptosis is Differentially Modulated by PTK Inhibitors in K562 Cells)

  • 이형식;문창우;허원주;정수진;정민호;이정현;임영진;박헌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51-58
    • /
    • 2000
  • 목적 :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에 내성을 가진 세포로 알려진 KS62 세포를 대상으로, PTK inhibitors인 herbimycin A와 genistein을 이용한 방사선에 의한 apoptosls의 내성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6 MV 체외 X-선 방사선 치료기를 이용하여 200$\~$300 cGy/min의 선량률로 10 Gy의 X-선을 세포에 균일하게 조사하였다. Apoptosis의 관찰은 래arose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DNA frgmentation의 지표인 ladder를 관찰하였고, TUNEL 염색을 이용하여 정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Western blot 방법으로 apoptosls 관련 유전 단백인 bel-2, bel-X$_L$ 및 bax들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방사선 조사 및 약물 처치 후의 세포 주기 분석은 flow cytometry로 분석하였다. 결과 : Agarose gel electrophoresis 실험에서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K562 세포와 방사선을 10 Gy 조사한 세포를 48시간에 걸쳐 12시간 간격으로 관찰하였을 때 DNA fragmentation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genistein을 투여한 세포들에서도 동일한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지만, 방사선 조사 후 herbimycin A를 투여한 세포들에서는 48 시간째 확연한 DNA fragmentation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TUNEL assay에서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방사선만조사한 세포들과 방사선과 genistein 투여 후 48시간째 관찰한 세포들에서는 10$\%$, 미만의 apoptosis 양성 세포의 빈도를 관찰할 수 있었지만, 방사선 조사 후 herbimycin A를 투여한 세포들에서는 30$\~$35$\%$ 빈도로 apoptosis 양성 세포들이 관찰되었다. Western blot analysis에서 bcl-2의 경우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았던 대조군에 비하여 전체적인 발현은 증가되었지만 방사선 및 약제간의 발현의 차이는 없었다. 그 외 bcl-X$_{L}$과 bax는 대조군에 비해 방사선 및 약제간의 발현의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KS62 세포에 방사선을 10 Gy 조사하였을 때 나타나는 세포 주기의 변화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형적인 G2/M block의 소견을 보였다. 이러한 소견은 genistein을 투여했을 경우에는 특별한 변화를 보이지 않지만, herbimycin A를 투여했을 경우에는 12시간째부터 G2/M block이 소실되면서 세포가 세포 주기를 재 순환하는 양상을 보였고, 48시간째 관찰한 소견에서는 G2/M block이 거의 소실된 양상을 띠었다. 이러한 소견을 토대로 apoptosis 유도와의 상호 연관성을 유추할 수 있었다. 결론 : herbimycin A는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가 억제된 K562 세포에서 apoptosis를 유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도 기전에 apoptosis 관련 유전 단백들인 bcl-2, bcl-X$_{L}$ 및 bax와 관련된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세포 주기의 분석에서 G2/M block의 해소와 apoptosis 유도와의 연관성을 유추할 때, 세포 주기 관련 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방사선에 의한 apoptosis의 내성의 극복 및 방사선에 의한 세포의 감수성 조절 약제로서의 역할에 이바지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선택적 COX-2 억제제 NS 398과 EGF 수용체 차단제 AG 1478의 복합투여가 HeLa 세포주의 방사선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The Modulation of Radiosensitivity by Combined Treatment of Selective COX-2 Inhibitor, NS 398 and EGF Receptor Blocker AG 1478 in HeLa Cell Line)

  • 윤선민;오영기;김주헌;박미자;성인옥;강기문;채규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51-60
    • /
    • 2005
  • 목적 : 분자 표적의 선택적 억제가 방사선 세포 살상 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선택적 COX-2 억제제와 EGF 수용체 차단제를 HeLa 세포주에 처리한 후 방사선 효과의 상승작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궁경부암 세포주인 HeLa세포에서 EGF 수용체 차단제 AG 1478, 선택적 COX-2 억제제 NS 398과 방사선을 복합 투여하여 세포성장 억제 분석(cell graph inhibition assay)과 세포사멸 분석(apoptosis assay)을 시행하였고, 방사선 감수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세포생존 분석(clonogenic survival assay)을 시행하였다. 방사선 감수성 인자로는 2 Gy에서의 세포생존분획($SF_2$)과 linear-quadratic model을 이용한 dose enhancement ratio (DER)를 사용하였다. 방사선 감수성에 대한 작용기전 분석을 위해 flow cytometry로 세포주기 분석(cell cycle analysls)을 시행하였고, western blot 분석을 통하여 bcl-2와 bax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 : HeLa세포에 NS 398과 AG 1478을 방사선과 함께 복합 투여한 실험 군에서 세포사멸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8.49\%$ vs. $22.70\%$). 세포주기 분석 결과, 방사선과 복합 약물 처리군에서 $G_0/G_l$ 세포주기 정체와 5 세포 분획 소실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화는 72시간 이후까지 지속되었다 세포생존 분석 결과로는 방사선과 AG 1478군에서 $SF_{2}0.68{\pm}0.07$, DER 1.12를 보인 반면, 방사선과 복합약물처리군에서는 $SF_{2}0.12{\pm}0.01,\;DER\;3.00$으로 나타났다. Western blot분석에서는 방사선과 복합약물처리군에서 bcl-2와 bax 단백질 발현이 모두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 신호전달 체계를 억제하는 분자 표적 약제인 선택적 COX-2 억제제와 EGF 수용체 차단제를 방사선과 복합투여함으로써 HeLa세포의 방사선 감수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