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l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8초

조리방법에 따른 허브의 향 성분 변화 (Flavor Changes of Herbs according to Cooking Methods)

  • 천덕상;이현자;강근옥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8-4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생 허브 4종류, 즉 로즈마리, 바질, 애플민트 및 마조람과 이들을 튀기고, 끓이고, 굽고, 마이크로웨이브 등의 가열 방법으로 조리하였을 때의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로즈마리에서 18가지의 향기 성분을 분리하였는데 이 중 ${\alpha}$-pinene(소나무향) 함량이 37.4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상쾌한 단맛의 1,8-cineol이 23.34% 였다. 바질에서는 1,8-cineol의 함량(32.9%)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꽃향기를 내는 3-hexen-1-ol이 20.6%를 차지하였다. 조리 방법에 따라서는 끓였을 때 가장 향기 성분의 소실이 적었고 튀기는 조리 방법에서는 약 10% 내외 정도의 향만 잔존하였다. 애플민트에서는 trans-${\beta}-ocimene(16.66%),\;{\beta}-pinene(12.99%)$ 등이 많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다른 허브에 비해 가열에 의한 손실량이 가장 많았는데 튀길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 소실되었다. 그리고 총 21가지 향이 분리된 마조람에서는 sabinene 함량이 18.8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gamma}-terpenene(15.61%)$ 이었으며 가열 조건에 따라서는 다른 허브에 비해 향의 잔존량이 가장 많아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볼 때 시료 허브 중 로즈마리와 마조람이 다른 시료에 비해 가열 조리시 열에 더 안정적이며, 가열 조리 방법에 있어서는 허브를 굽거나 끓일 때 향의 잔존률이 더 높았고 튀겼을 때는 거의 대부분의 향이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몇 가지 허브의 셀레늄 함유량 및 셀레늄 처리가 정유 함량에 미치는 영향 (Status of Selenium Contents and Effect of Selenium Treatment on Essential Oil Contents in Several Korean Herbs)

  • 이문정;이긍표;박권우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3호
    • /
    • pp.384-388
    • /
    • 2001
  • 한국의 세 지역에서 수확한 20가지 허브들의 셀레늄 함량을 분석한 결과, 많은 허브류들에서 셀레늄을 검출할 수 없었다. 안젤리카($138.4{\mu}g\;Se{\cdot}kg^{-1}$ FW), 카라웨이($167.8{\mu}g\;Se{\cdot}kg^{-1}$ FW), 카모밀(($116.6{\mu}g\;Se{\cdot}kg^{-1}$ FW), 마죠람(158.7 and $132.6{\mu}g\;Se{\cdot}kg^{-1}$ FW), 그리고 오레가노($62.5{\mu}g\;Se{\cdot}kg^{-1}$ FW)는 다른 작물들에 비해 높은 Se을 함유하고 있었다. 식물체 내 Se 함량은 종, 품종 그리고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양액 내 Se을 첨가하여 식물체 간 Se 흡수 경향을 조사하였다. Se은 수확 4주 전 배양액 내에 sodium selenate($Na_2SeO_4$) 형태로 각각 2, 4, 6, and $8mg{\cdot}L^{-1}$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Field-mint의 경우가 가장 많은 Se를 흡수하였고 외관상 Se의 독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허브의 정유 함량도 Se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Basil과 balm은 Se 처리효과가 컸으며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2-3배나 정유 함량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정유 함량이 배양액 내 Se농도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았다.

  • PDF

초사(楚辭)에 나타난 식물 소재의 활용 및 향유 방식 - 굴원(屈原)의 시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Utility and Appreciation of the Plants in "Poetry of the South" - Focusing on Qu-Yuan's Poetry -)

  • 윈쟈옌;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0-60
    • /
    • 2014
  • 본 연구는 초사에 수록된 굴원의 시 속에 등장하는 식물을 대상으로 B.C. 340부터 B.C. 277 사이의 식물 활용 형태, 향유방식 등을 상징적인 구사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사에는 총 80분류군(taxa), 56종의 식물이 등장하는데, 기원전에 이미 이런 식물들이 존재했고 생활 속에서 향유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정원에서 쓰이는 식물은 향수란, 바질, 적작약, 큰까치수영, 구릿대, 백목련, 국화, 창포, 지치, 자목련 등이 있고, 장식용으로 쓰이는 식물은 천궁, 구릿대, 등골나무, 연꽃, 마디풀, 바질, 여라, 금채석곡, 두형 등이 있으며, 선물용으로는 고량강과 삼이 있고, 제사용으로는 바질, 향수란, 파초가 있었다. 셋째, 식물 향유 방식의 고찰을 통해 미각적으로 향유하는 식물은 백목란, 국화, 목서, 바질, 화초, 천궁 등이 있고, 촉각적으로 향유하는 식물은 백목련, 마미송, 백목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식물의 상징적 구사의 고찰을 통해 고결한 품격을 상징하는 식물은 화초, 구릿대, 향수란, 바질, 창포가 있고, 악인을 상징하는 식물은 남가새, 조개풀, 야애, 우미호, 도꼬마리였다. 초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전국시대에 주로 사용된 식물 소재와 각 식물의 활용 및 향유 형태를 알 수 있었다. 또한 몇몇 식물은 현재에도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Su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on of Ocimum Sanctum Extracts and their Fractions

  • Geetha, S.;Kedlaya, R.;Vasudevan, D.M.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9권4호
    • /
    • pp.223-225
    • /
    • 2003
  • Ocimum sanctum, the Indian holy basil has significant abilities to scavenge highly reactive free radicals. Shade dried leaf powder of plant has extracted with water and alcohol, fractionated with different solvents. Both extracts and their fractions were found to be good scavengers of Su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on of these compared with ascorbic acid, a known antioxidant.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efficacy of herbal oils and extracts in disinfection of gutta percha cones before obturation

  • Makade, Chetana S.;Shenoi, Pratima R.;Morey, Elakshi;Paralikar, Ameya V.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2권4호
    • /
    • pp.264-272
    • /
    • 2017
  • Objectives: Literature has shown that micro-organisms contaminate gutta percha (GP) during storage and manipulation. Till date herbal extracts are not explored as an alternative medicament for pre-operative chairside disinfection of GP cones.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efficacy of lemon grass oil (LG), basil oil (BO), and obicure tea extract (OT) in disinfecting GP cones before obturation. Materials and Methods: Agar diffusion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efficacy of LG, BO, OT, and sodium hypochlorite (control) against common contaminants, namely, Enterococcus faecalis, Staphylococcus aureus, and Candida albicans. One hundred and twenty GP cones were contaminated and cut into 2. First half was placed in the broth and incubated; whereas the second was treated with herbal extracts for 1 minute and then incubated for 24 hours in the broth. Any inhibition in bacterial growth was noted with presence/absence of turbidity.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d ${\chi}^2$ test were us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herbal extracts to decontaminate GP. Results: LG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zones ($29.9{\pm}6.9mm$) for all tested organisms, followed by OT extract ($16.3{\pm}1.8mm$), sodium hypochlorite ($16.0{\pm}1.6mm$), and BO ($14.5{\pm}5.3mm$).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LG and other herbal extracts (p < 0.05). Conclusions: All extracts proved to be potential rapid chairside disinfectants of GP cones with LG showing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Crust topping 양등심 스테이크 관능적 품질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ensory Quality Features of Lamb Fillet Steaks with Crust Topping)

  • 서민석;유승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5-306
    • /
    • 2011
  • 본 연구는 4 종류{Mustard, herb & garlic, nuts, mushroom)의 crust를 제조하여 양등심 스테이크 위에 topping, 조리를 완성한 다음 관능검사를 실시 우수 시료를 선별하는 예비 실험을 하였다. 선별된 시료들을 1. Blank, 2. EC1(MU3), 3. EC2(HG2), 4. EC3(NC2), 5. EC4(MC3)로 명명한 다음, 다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어떠한 재료로 만든 crust가 가장 우수한 선호도를 가졌는지를 찾았다. 종속변수를 종합해 보면 crust를 topping한 4종류 시료가 대조군 Blank 보다 매우 우수한 수치를 나타내어 양등심 스테이크 요리에 crust가 곁들여지는 방법이 매우 효과적임을 말해준다. 그 중에서도 parsley 8g, rosemary 3g, basil 4g, olive oil 50g을 기본 함량으로 하여 빵가루 70% (115.5g)와 마늘 찹 30%(49.5.)를 함께 mixed 하여 제조 한 HG2의 시료가 최우수 crust로 평가 되었다.

  • PDF

건축가 A. 딕슨의 초기작품에 나타난 예술과 공예운동의 특성 (Early Architecture of A. Dixon and Art and Craft Quality)

  • 황보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63-268
    • /
    • 2019
  • 이 논문은 영국 건축가 A. 딕슨의 초기 건축작품에 나타나는 건축적 특징을 파악하고 그의 건축언어로 이해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하여 예술과 공예운동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근거로 삼고자 했다. 딕슨은 많은 건축작품을 남기지는 않았지만 예술과 공예건축의 중요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으며, 현재에도 큰 존재감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은 딕슨의 초기작품에 대한 연구가 행해지지 않은 점에 주목하고 딕슨이 설계한 버밍검 길드 홀, 성 앤드류 교회 그리고 성 바질 교회를 대상으로 문헌연구와 현장조사를 거쳐 그의 건축에 나타나는 특징을 규명하고자 했다. 버밍검 길드 홀 설계로 대표되는 그의 작품은 지역의 역사성과 전통성을 중시하는 예술과 공예운동의 속성을 그대로 드러내주고 있으며, 건물의 조형성은 물론 사용되는 재료와 적용된 기술 모두 건축물이 세워지는 지역의 역사와 전통을 따르고자 시도했다. 로마네스크 양식의 차용을 통해 저소득 근로자 주거지에 세워지는 교회에 절제되고 섬세한 디자인을 적용하고 소박한 조형미를 통하여 교회건축의 본질을 표현하고자 한 딕슨의 노력은 주목받을 가치가 있다.

In Vitro Flowering Response of Ocimum basilicum L.

  • Sudhakaran, S.;Sivasankari, V.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179-181
    • /
    • 2002
  • Nodal explants of Ocimum basilicum L. (Sweet basil, Lamiaceae), showed shoot proliferation after 7-10 days on MS media containing 1.5 mg/L kinetin. In vitro flowering was achieved from 90% of the shootlets which were sub cultured on a half strength MS media fortified with 5 mg/L BAP and 1 mg/L IAA. Cytokini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CA_3$and NAA resulted in shoot proliferation only. For rooting the plantlets were subcultured on MS basal medium supplemented with 3 mg/L NAA and rootlets emerged after 10 days of incubation. The survival percentage of transplanted plantlets was 70%.

향에 대한 자율신경계 반응 및 선호도 - 청년층과 노년층의 연령차 비교- (Autonomic Nervous Responses and Preference about Odors -Comparison of Differences Between the Young and the Eldery)

  • 오혜영;민병찬;이선영;남경돈;강인형;성은정;김철중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7-12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향에 대한 생리적 반응과 선호도가 노년층과 청년층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20대 및 60대 피험자에게 100%의 Basil oil, Jasmin oil, Lavender oil, Lemon il, Ylangylang oil을 제시하여 자율신경계의 반응인 심전도의 RR간격과 GSR을 측정ㆍ분석하였으며, 선호도 평가를 하여 자율신경계의 반응과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20대는 Lemon 향에서 RR 간격 및 GSR의 반응이 안정되게 나타났으며, 선호도 평가에서도 Lemon 을 가장 선호도가 높게 평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60대는 Lavender에서 RR 간격이 증가하고 GSR이 감소하여 안정된 반응을 보였고, Lavender에 대한 선호도 또한 높게 평가하여 60대는 다른 향보다 Lavender를 좋은 향으로 평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