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p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12초

In vitro에서 핵산치환인자 BAP이 단백질-분자 샤페론 복합체 해리에 미치는 영향 (A Nucleotide Exchange Factor, BAP, dissociated Protein-Molecular Chaperone Complex in vitro)

  • 이명주;김동은;이태호;정영기;김영희;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09-414
    • /
    • 2006
  • 소포체는 세포막의 합성뿐만 아니라 세포막에 존재하거나 세포외로 분비되어져야 할 단백질을 합성하는 세포내 소기관이다. 소포체에서 단백질이 합성되어질 경우 이황화결합이 형성되고 glycosylation 등의 수식이 일어나며, 이와 동시에 folding과 assembly과정을 거쳐 삼차원적 구조로 성숙이 되는데 이 과정은 folding enzyme과 molecular chaperone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진다. 소포체 내에 존재하는 molecular chaperone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으로 BiP이 있다. BiP의 기능은 N-terminus의 ATPase domain에 의해 조절되고 ATPase domain은 이것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조절인자에 의해 ATPase의 활성이 영향을 받는다. BiP의 핵산치환조절인자로서 발견된 BAP은 ATPase domain에 결합된 ADP를 ATP로 치환하는 것으로 기능이 알려져 있다. 이 BAP의 핵산치환기능이 BiP의 샤페론 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in vitro에서 항체 heavy chain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BAP은 ATP보다 ADP가 결합되어 있는 BiP과 더 잘 결합을 하며, in vitro에서 BiP과 결합하고 있는 unfolded 단백질을 BAP은 BiP으로부터 해리하였다. 또한 소포체내에 존재하는 Hsp70 homologue chaperone인 BiP과 Grp170에 대한 BAP의 결합특이성을 anti-Grp170과 anti-BAP 항체로 co-immunoprecipitation을 하여 확인한 결과 BAP은 Grp170과 결합을 하지 않았다. 따라서 BAP은 ER내에 존재하는 동일한 family group에 속하는 Grp170과 BiP에 대하여 BiP에만 특이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Loss of Nuclear BAP1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High WHO/ISUP Grade in Clear Cell Renal Cell Carcinoma

  • Wi, Young Chan;Moon, Ahrim;Jung, Min Jung;Kim, Yeseul;Bang, Seong Sik;Jang, Kiseok;Paik, Seung Sam;Shin, Su-Jin
    • 대한병리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378-385
    • /
    • 2018
  • Background: BRCA1-associated protein 1 (BAP1) mutations are frequently reported in clear cell renal cell carcinoma (ccRCC);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evaluated the role of these mutations in other renal cell carcinoma (RCC) subtypes. Therefore, we analyzed BAP1 protein expression using immunohistochemistry in several RCC subtypes and assessed its relationship with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Methods: BAP1 expression was immunohistochemically evaluated in tissue microarray blocks constructed from 371 samples of RCC collected from two medical institutions. BAP1 expression was evaluated based on the extent of nuclear staining in tumor cells, and no expression or expression in <10% of tumor cells was defined as negative. Results: Loss of BAP1 expression was observed in ccRCC (56/300, 18.7%), chromophobe RCC (6/26, 23.1%), and clear cell papillary RCC (1/4, 25%), while we failed to detect BAP1 expression loss in papillary RCC, acquired cystic disease-associated RCC, or collecting duct carcinoma. In ccRCC, loss of BAP1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International Society of Urological Pathology (ISUP) grade (p=.002);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loss of BAP1 expression and survival in ccRCC. Loss of BAP1 expression showed no association with prognostic factors in chromophobe RCC. Conclusions: Loss of BAP1 nuclear expression was observed in both ccRCC and chromophobe RCC. In addition, BAP1 expression loss was associated with poor prognostic factors such as high WHO/ISUP grade in ccRCC.

제주(濟州) 자생(自生)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Matsumura)의 기내(器內) 줄기 증식(增殖)을 위한 배양조건(培養條件) 구명(究明) (Study on the Various Conditions of In Vitro Culture for Mass-propagation of Prunus yedoensis Matsumura)

  • 정은주;김찬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2호
    • /
    • pp.184-189
    • /
    • 2001
  • 제주 자생 왕벚나무 동아에서 분화된 줄기를 이용하여 대량증식 하고자 기내배양조건을 구명하였다. 다섯 종류의 배지에서 모두 양호한 생장을 하여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sucrose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는 생장이 매우 저조하였다. BAP와 $GA_3$를 여러 농도로 처리한 결과 BAP 처리구에서 평균 3.5~9.5개의 줄기가 유도되었다. 그러나 BAP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줄기의 길이생장은 저조하였다. $GA_3$ 단독 처리구에서는 줄기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BAP와 혼용처리 하였을 때 BAP 단독 처리구보다 더 많은 줄기가 발생하였으며, 길이 생장도 양호하였다. 그 중 BAP $0.5mg/{\ell}$$GA_3$ $4.0mg/{\ell}$ 조합에서 가장 많은 줄기가 발생하였다. 배양기간이 경과할수록 줄기형성은 많아졌으나 12주간 배양된 줄기는 정단부가 고사하였다. 배양 8주째 양호한 줄기를 다량으로 얻을 수 있었다.

  • PDF

제라늄(Pelargonium graveolense) 캘러스의 재분화 및 peroxidase isozyme 발현패턴 변화 (Plant Regeneration of Geranium (Pelargonium graveolense) Callus and Changes of Peroxidase Isozyme Pattern)

  • 이석현;이미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3호
    • /
    • pp.184-189
    • /
    • 2000
  • 방향성 제라늄(Pelargonium graveolense)의 옆병을 취하여 여러 가지 농도의 식물생장조절제가 포함된 MS배지에서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2 mg/l NAA와 0.5 mg/l BAP가 함유된 MS배지와 2 mg/l 2,4-D와 0.5 mg/l BAP가 함유된 MS배지에서 최대 70% 이상의 캘러스가 유도되었으나, 2,4-D나 NAA 혹은 BAP 단독 처리군에서는 캘러스가 유도되지 않았다. 유도된 캘러스를 0.05 mg/l NAA와 0.5 mg/l BAP가 처리된 MS배지로 옮겼을 때 약 5주 후 캘러스당 최대 14개의 신초가 유도되었고, 이를 호르몬이 포함되지 않은 발근유도 해지로 옮겨서 약 3주간 배양했을 때 최대의 뿌리가 유도되었다. 호르몬 조성에 따른 제라늄 캘러스의 peroxidase(POD)활성변화를 조사했을 때 NAA와 BAP 처리군이 2,4-D와 BAP 처리군보다 전 배양기간동안 높은 POD 비활성을 나타내었다. 호르몬조성에 따른 POD isozyme의 발현양상을 비교해 보면 cathodic POD의 경우는 NAA와 BAP 처리군에서 주로 POD C3가 발현되었으나 2,4-D와 BAP 처리군에서는 주로 POD C1이 발현되었다. Anodic POD의 경우 POD A1, A2와 A3가 이 두 호르몬 처리군에서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발현하였다.

  • PDF

해녀콩 유식물 자엽내 BApNAase의 성질

  • 고석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75-181
    • /
    • 1994
  • 해녀콩(Canavalia lineata) 유식물 자엽에서 N-$\alpha$-benzoyl-DL-arginine p-nitroanilide hydrolase(BApNAase)를 부분정제하여 그 성질을 밝혔다. 부분정제한 BApNAase는 purification fold가 77.5이었고 회수율은 7%이었으며 비활성도는 7.75 unit/mg이었다. BApNAase의 분자량은 200 kD이고 젤라틴분해효소 P3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최적 pH는 9.5이었다. BApNAase의 Vmax와 Km은 각각 15.5 unit/mg와 1.6 mM로 최대반응속도가 동물의 트립신보다 7배 가량 낮은 반면에 N-$\alpha$-benzoyl-DL-arginine p-nitroanilide(BApNA)에 대한 기질 친화성은 4배 가량 높았다. 또한, BApNAse는 1 mM의 phenylmethanesulfonyl fluoride(PMSF)에 의해 90%나 크게 억제된 반면 aprotinin에 의해서는 크게 억제되지 않아 트립신과는 다른 serine proteinase로 판단되었으며, 효소활성은 Ca2+과 Mg2+에 의해 다소 증가하나 Mn2+, Hg2+, Zn2+에 의해 크게 억제되었다.

  • PDF

치환기를 가진 일곱 자리 질소-산소(N4O3)계 리간드 합성과 전이금속(II) 이온 착물의 안정도상수 결정 (Synthesis of Heptadentate Nitrogen-Oxygen Ligands (N4O3) with Substituting Groups and Determination of Stability Constants of Their Transition Metal(II) Complexes)

  • 김선덕;이도협;설종민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541-550
    • /
    • 2010
  • 새로운 일곱 자리 질소-산소($N_4O_3$)계 리간드 N,N'-Bis(2-hydroxybenzyl)-1,3-bis[(2-aminoethyl)amino]-2-propanol(H-BAP 4HCl)를 합성하였다. H-BAP 4HCl의 페놀 수산기의 para위치에 브롬, 염소, 메톡 시기 및 메틸기를 가진 Br-BAP 4HCl, Cl-BAP 4HCl, $CH_3O$-BAP 4HCl 및 $CH_3$-BAP 4HCl 염산염을 합성 하였다. 각 리간드의 화학구조는 C, H, N 원소분석법, $^1H$-NMR 및 $^{13}C$-NMR 분광법, 적외선 분광법 및 질량분석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합성된 $N_4O_3$계 리간드의 전위차 적정 법을 이용하여 계산된 양성자 단계 해리상수는 여섯 단계의 해리상수(${\logK_n}^H$)값을 나타내었고, 각 리간드의 양성자 총괄 해리상수($log{\beta}_p$) 값은 Br-BAP < Cl-BAP < H-BAP < $CH_3O$-BAP < $CH_3$-BAP의 순서로 para Hammett 치환기상수($\sigma_p$) 값의 순서와 역순으로 잘 일치하였다. 각 리간드들과 전이금속(II) 이온들의 착물 안정도상수($logK_{ML}$) 값의 크기순서는 Co(II) < Ni(II) < Cu(II) > Zn(II) > Cd(II) > Pb(II)로 나타났다. 이때 각 리간드들과 전이금속(II) 이온들의 착물 안정도상수 값은 리간드의 총괄 해리상수 값의 크기순서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체아파타이트(Biological Apatite: BAp)의 결정학적 배향성을 지표로 한 골질(bone quality) 해석과 응용

  • 이지욱;박헌국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2-13.2
    • /
    • 2011
  • 뼈의 역학기능을 예측하는 인자(predictive factor) 로서 골밀도(BMD)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최근의 임상결과는, 골밀도 이외의 새로운 뼈의 강도 및 골절리스크를 지배하는 인자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골역학기능에 대한 골밀도 이외의 부가적인 지배인자를 골질(bone quality)이라고 하는데, 다양한 골질관련인자(bone quality-related factor) 중 하나의 지표로서 뼈의 주성분인 생체아파타이트(BAp)의 결정학적 방향성에 주목, 대표적인 경조직 질환을 해석하였다. 파골세포결손에 의해 대리석증을 유발하는 op/op마우스는 골밀도의 변화뿐만 아니라, 골질의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즉, 이와 같은 결과는 파골세포결손에 의한 조골세포의 활성저하의 의해 골질이 저하됨을 시사하는 결과이며, 파골세포 과잉의 의해 골다공증을 유발하는 OPG-KO마우스는 골밀도가 급격히 저하됨과 동시에, BAp배향성도 급격히 낮아졌다. 즉, 골대사회전의 상승에 따른 섬유성골(woven bone)의 형성에 의해 BAp의 결정성장이 억제되며, 그 결과 BAp배향성이 저하된다고 사료된다. 이상,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골 질환조직을 각각의 정상골과 비교함으로써, 골양(BMD)의 변화뿐만 아니라 골질(BAp배향성)의 변화를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는 골질지표로서 BAp배향성이 유효하다는 것을 강하게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 의해 얻어진 견해는 경조직 질환의 병리해명에 적용 가능함과 동시에, 경조직 질환의 진단 응용이나 치료약 개발, 임플란트 개발 등 폭넓은 분야에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BAP1 controls mesenchymal stem cell migration by inhibiting the ERK signaling pathway

  • Seobin Kim;Eun-Woo Lee;Doo-Byoung Oh;Jinho Seo
    • BMB Reports
    • /
    • 제57권5호
    • /
    • pp.250-255
    • /
    • 2024
  • Due to their stem-like characteristics and immunosuppressive properties, Mesenchymal stem cells (MSCs) offer remarkable potential in regenerative medicine. Much effort has been devoted to enhancing the efficacy of MSC therapy by enhancing MSC migration. In this study, we identified deubiquitinase BRCA1-associated protein 1 (BAP1) as an inhibitor of MSC migration. Using deubiquitinase siRNA library screening based on an in vitro wound healing assay, we found that silencing BAP1 significantly augmented MSC migration. Conversely, BAP1 overexpression reduced the migration and invasion capabilities of MSCs. BAP1 depletion in MSCs upregulates ERK phosphorylation, there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the migration factor, osteopontin. Further examination revealed that BAP1 interacts with phosphorylated ERK1/2, deubiquitinating their ubiquitins, and thus attenuating the ERK signaling pathway. Overall, our study highlights the critical role of BAP1 in regulating MSC migration through its deubiquitinase activity, and suggests a novel approach to improve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MSCs in regenerative medicine.

제주(濟州) 자생(自生)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Matsumura) 동아(冬芽)의 채취시기(採取時期)와 배지(培地)의 조건(條件)에 따른 기관유도(器官誘導) (Differentiation of Winter Buds of Prunus yedoensis Matsumura from Jeju Island Depending on the Collection Time and Media Conditions)

  • 정은주;김찬수;이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4호
    • /
    • pp.522-526
    • /
    • 2000
  • 경제적으로 중요한 가치가 있는 제주 자생 왕벚나무를 조직배양을 통하여 대량 증식하고자 동아를 이용할 때 분화 및 생장에 미치는 기내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동아의 채취시가, 배지의 $NH_4NO_3$의 농도, 생장조절물질의 종류(BAP, $GA_3$, IBA) 및 농도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동아의 채취시기는 2월이 적합하였으며 그 중 $1,200mg/{\ell}$ $NH_4NO_3$의 농도에서 잎 전개율이 70%로 가장 높았다. 생장조절물질 처리구 중 BAP $3.0mg/{\ell}$ 첨가 배지에서 채취시기에 관계없이 잎의 전개율이 높았다. 반면 IBA 처리구에서는 전혀 잎이 전개되지 않아 동아의 전개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P 첨가 배지에서 전개된 동아는 줄기로 자라지 못하고 다발 모양을 이루었다. BAP와 함께 $GA_3$를 처리한 결과 $GA_3$의 농도가 BAP보다 높을 때 줄기 선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AP $1.0mg/{\ell}$$GA_3$ $2.0mg/{\ell}$ 혼합 처리구에서 줄기의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 PDF

APPROXIMATION PROPERTIES OF PAIRS OF SUBSPACES

  • Lee, Keun Young
    • 대한수학회보
    • /
    • 제56권3호
    • /
    • pp.563-568
    • /
    • 2019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approximation properties of pairs. For ${\lambda}{\geq}1$, we prove that given a Banach space X and a closed subspace $Z_0$, if the pair ($X,Z_0$) has the ${\lambda}$-bounded approximation property (${\lambda}$-BAP), then for every ideal Z containing $Z_0$, the pair ($Z,Z_0$) has the ${\lambda}$-BAP; further, if Z is a closed subspace of X and the pair (X, Z) has the ${\lambda}$-BAP, then for every separable subspace $Y_0$ of X, there exists a separable closed subspace Y containing $Y_0$ such that the pair ($Y,Y{\cap}Z$) has the ${\lambda}$-BAP. We also prove that if Z is a separable closed subspace of X, then the pair (X, Z) has the ${\lambda}$-BAP if and only if for every separable subspace $Y_0$ of X, there exists a separable closed subspace Y containing $Y_0{\cup}Z$ such that the pair (Y, Z) has the ${\lambda}$-B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