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kery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28초

감귤과피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Added with Citrus Mandarin Peel Powder)

  • 이은진;주형욱;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7-39
    • /
    • 2012
  • 본 연구는 현대인들의 건강기능성 식품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감귤과피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식빵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Mixograph를 이용한 mixogram 결과 대조구와 감귤과피 분말을 3% 첨가한 반죽이 제빵적성에 적합하였으며, 반죽의 stickiness는 감귤과피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착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율은 대조구에 비해 감귤과피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반죽과 식빵의 pH는 감귤과피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TPA분석에서 감귤과피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단해졌으며, 부착성은 높아졌고,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은 감소하였다. 감귤과피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crumbScan의 기공의 조밀도가 높아졌고,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은 작아졌다. 기호도 검사 결과에서 속질색, 조직감, 향, 맛에 있어서 M3이 가장 높았으며, 전체적인 기호도 역시 M3이 가장 좋았다. 이상의 결과로 M3이 전체적인 기호도와 맛, 조직감 등에서 가장 좋음을 나타내므로 M3이 감귤과피 분말의 최적 첨가량으로 보아진다.

  • PDF

수도권 윈도우 베이커리 매장근무자와 공장근무자의 위생 교육, 위생 지식과 위생 관리 현황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Sanitary Education, Knowledge and Management Level of Shop Employees and Workplace Employees Working at Window Bakeries in the Metropolitan Area)

  • 황윤경;안혜령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9-177
    • /
    • 2014
  • 본 연구는 수도권 윈도우 베이커리의 매장근무자와 공장근무자의 위생교육, 위생 지식 및 위생관리 수행 수준을 조사하여 윈도우 베이커리 위생관리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윈도우 베이커리 근무자를 매장과 공장 근무자로 분류하여 위생 교육 현황을 파악하였고, 위생 지식수준과 위생 관리 수행 수준을 직급, 근무연한, 위생 교육횟수에 따라 분석하고, 이 결과를 개인위생, 시설 및 작업장 위생, 재료 및 제조 위생으로 나누어 비교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윈도우베이커리 근무자들은 1년에 3회 이하로 위생교육을 받고 있었으며, 위생 관리 수행 수준은 공장근무자가 매장근무자보다 평균이 높았다. 둘째, 위생지식수준의 경우 매장근무자는 재료 및 제조위생에서 대표와 근무기간이 5년 이상인 경우 낮게 나타났으며, 공장근무자는 공장장과 인턴, 근무기간이 5년 이상인 경우 낮았다. 셋째,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경우 매장근무자는 인턴과 근무 1년 미만인 경우 수행수준이 낮았고, 공장근무자는 직급과 근무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위생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 매장근무자는 전반적으로 수행수준이 낮았고, 공장근무자는 재료 및 제조위생에서 수행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 따라서 향후 윈도우 베이커리 매장과 공장 근무자들을 위한 업무에 따른 위생 교육 매뉴얼을 작성하여 지속적인 위생교육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식품접객업소 얼음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및 관리방안 (Monitoring of Microorganism Contamination of Ice for Foods in the Store and Hygienic Management Methods)

  • 장홍근;이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09-314
    • /
    • 2015
  • 전국의 식품접객업소에서 사용되는 얼음 500 품목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지표세균 및 식중독미생물)를 실시하였다. 지역별 수거한 얼음의 일반세균 평균값은 서울지역이 $2.31log_{10}CFU/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라도지역이 $1.83log_{10}CFU/g$으로 가장 낮게 검출되었다. 식중독 관련미생물(S. aureus, L. monocytogenes)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제빙기얼음과 포장판매얼음을 비교한 결과 포장판매얼음의 일반세균 평균값이 $0.45log_{10}CFU/g$ 더 낮게 검출되었다. 접객업소는 베이커리 매장, 디저트 매장, 음료 매장 세 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는데, 디저트를 판매하는 접객업소 얼음의 일반세균 평균값이 $2.37log_{10}CFU/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접객업소에서 사용하는 얼음의 형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제빙기 및 포장판매얼음의 안전한 위생관리를 위해서는 개인위생과 함께 주기적인 얼음제조 설비의 세척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지충이의 이화학적 특성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argassum thunbergii)

  • 최선영;김순영;허종문;신정혜;최한길;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13
    • /
    • 2006
  • 본 연구는 남해안에 서식하고 있는 해조류인 지충이에 대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활용가치를 알아보고자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하고 지충이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비교하고자 POV와 TBARS를 측정하였다. 지충이의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함량은 각각 $15.7{\pm}0.8%$$0.9{\pm}0.4%$였다. 9종의 무기질 중 Ca이 $2,288.0{\pm}2.2mg/100g$으로 높게 검출되었고,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1,071.3{\pm}1.8mg/100g$으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aspartic acid ($645{\pm}1.4mg/100g$) > phenylalanine($470.1{\pm}1.4mg/100g$)의 순이었다. 유리당의 함량은 galactose가 $40.2{\pm}0.5mg/100g$으로 가장 높았고 $FeCl_2$$CuSO_4$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특히 chloroform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산나물류의 식품 화학적 성분과 전자 공여능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Electron-Donating Ability of 4 Korean Wild Sannamuls)

  • 이진하;박애리;최대운;김종대;김진철;안주희;이현용;최면;최근표;신인철;박희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1-116
    • /
    • 2011
  • The composition analysis and electron donating activity of 4 kinds of Korean wild sannamuls[Cacalia firma Komar. (CFK), Aster scaber Thunb. (AST),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LFT), Synurus palmatopinnatifidus (Makino) Kitam., SDN)] were investigated. The Korean edible mountainous vegetable was named a sannamul or chwinamul in Korea, generally. Most of them, the characterization of the each vegetable was reported, individually without comparative research. This study was compar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mineral, dietary fiber and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n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of sannamuls. In the chemical analysis of sannamuls, CFK was shown higher value in ash ($5.4{\pm}0.18%$), crude fat ($2.5 {\pm}0.14%$), carbohydrate ($8.1{\pm}0.21%$), potassium ($475.45{\pm}0.34mg$) and magnesium ($64.70{\pm}0.48mg$) than others. Each mineral of the 3 other samples was a similar value but phosphorus in LFT was contained $62.91{\pm}0.43%$. The compositions of total dietary fiber of the samples were listed CFK LFT SDN AST and the $RC_{50}$ Value on DPPH radicals, LFK CFT AST SDN. These results have susggest that CFK and LFT may be useful for a funtional material to food development.

유자 용매추출물의 전자 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NDMA 생성 억제능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NDMA Formation Effect of Solvent Extracts from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 이수정;최선영;신정혜;서종권;임현철;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7-243
    • /
    • 2005
  • 유자를 과육과 과피로 분리하여 methanol, ether, ethylacetate 및 물로 추출하며 전자 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NDMA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였다. 유자 과육 추출물의 경우 10 mg/ml이상 첨가시 ether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서 $50\%$이상의 전자 공여능을 나타내었다. 과피 메탄올 추출물을 40 mg/ml 첨가시에는 BHA 및 ascorbic acid의 효능과 유사한 수준인 $99.2{\pm}0.37\%$의 전자 공여능이 나타났다. pH 1.2에서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1mg/ml 첨가시 $4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시료량이 증가할수록 상승하였다. 또한 과육보다는 과피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이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자 과육 추출물의 NDMA생성 억제 효과는 메탄을 추출물을 pH 1.2의 반응 용액에 40 mg/ml 첨가시 $31.7{\pm}1.2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H 4.2 및 6.0의 반응 조건에서는 모든 시료 첨가구에서 $20\%$미만의 억제 효과가 있었다.

제분방법 및 수침시간을 달리한 멥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on-waxy Rice Flour Affected by Grinding Methods and Steeping Times)

  • 김래영;김창순;김혁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076-1083
    • /
    • 2009
  • 국내 소규모 쌀 가공 산업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쌀가루의 습식제분방법을 모색하고자 수침시간(3, 6, 9 및 12 hr)을 달리한 세 가지 제분방법에 의해 제조된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사용된 제분방법은 roller mill, pin mill 그리고 roller & pin mills 등 세 가지이다. 모든 제분기에서 수침시간이 증가할수록 미세입도 분포율이 상승하였다. 쌀가루의 미세 정도는 roller mill의 쌀가루가 가장 거칠었고 roller & pin mills는 중간정도, pin mill의 쌀가루가 가장 미세하였다.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은 수침시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pin mill 9, 12시간 수침에서 각각 7.66%와 7.58%로 낮게 나타났다. 수침시간 증가에 따라 L값은 증가하였고, a, b값은 감소하였다. 손상전분은 수침초기 roller mill에서 낮았으나 수침시간이 증가하면서 pin mill이 낮아져 수침 12시간에는 roller mill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roller mill & pin mills는 모든 수침시간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손상전분을 나타내었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수침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미세입도 분포율이 높은 pin mill과 roller & pin mills에서 높았다. 물 결합 능력은 쌀가루가 미세하여질수록 높게 나타났고, 손상전분이 많은 roller & pin mills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용해도와 팽윤력은 수침시간 증가에 따라 사용한 제분기 모두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특히 pin mill에서 용해도와 팽윤력 모두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미세구조 관찰시 수침시간 증가에 따라 pin mill 사용 시 미세한 쌀가루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습식제분과정 중 쌀의 수침시간과 사용한 제분기에 따라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가 많으며, 소규모 산업현장에서 손상전분이 낮은 미세한 쌀가루를 제조하려면 충분한 수침을 통한 pin mill의 사용이 가장 적합하리라 생각된다.

가금 원료사료의 새로운 엽산 분석방법과 어린 육계의 엽산과 메티오닌의 요구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olic Acid and Methionine Requirements for Young Broiler Chicks Including New Analytical Methods for Folic Acid in Poultry Feedstuffs)

  • 류경선;박강희;신원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9-188
    • /
    • 1995
  • In Experiment 1, microbial assays were conducted on 57 feed ingredient samples to determine the content of total folic acid using Lactobacillus casei(ATCC 7469). Folic acid contents of feed samples pretreated with conjugase, ${\alpha}$-amylase, and a mixture of protease(Pronase)were corn, 09${\pm}$1.18($\pi$g${\pm}$SD); fish meal, 23.05${\pm}$1.27; milo, 29.34${\pm}$0.55; bakery meal, 25.80${\pm}$6.93; meat and bone meal, 56.76${\pm}$4.97; wheat middlings, 85.14${\pm}$2.56; and soybean meal, 193.97${\pm}$3.98. Experiments 2 and 3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l folic acid and methionine on the performance of starting broiler chicks for 18 days. Four levels of dietary folic acid(0.24. 0.54,1.14 and 2.34mg/kg) and four levels of dietary methionine(0.45, 0.53,0.61, and 0.69%) were fed in a factorial design. The basal diet was based on corn, isolated soybean protein, meat and bone meal, and fish meal. It contained adequate amounts of all nutrients except methionine and folic acid in both experiments. Increased growth rate was observed in chicks fed th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either folic acid or methionine. Total dietary folic acid and methionine plus cysteine requirements for optimum growth were estimated to be 1.80 mg/kg and 0.89% in Experiment 2, and 1.47 mg/kg and 0.91% in Experiment 3, respectively. There were interactions between dietary folic acid and methionine on weight gain in both experiments. Chicks fed diets containing 2.34 mg folic acid /kg tended to display slow growth rate in both experiments. There was a significant linear feed conversion response to folic acid in Experiment 2, and a significant quadratic feed conversion resuonse to methionine in Experiment 3. There were both linear and quadratic liver folic acid responses to dietary folic acid in both experiments. There was no indication that dietary methionine had any effect on liver folic acid content. The incidence of tibial dyschondroplasia increased with increasing supplemental methionine, but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detected at 5% level.

  • PDF

메밀싹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Buckwheat Sprout)

  • 최승필;이의용;함승시;이득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212-218
    • /
    • 2008
  • 메밀싹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실험 결과, 직접변이원인 MNNG를 처리한 S. typhimurium AT100 균주에 대해 메밀싹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200 ${\mu}g/plate$)이 80.6%로 가장 높은 억제율을 보였으며, 4NQO를 처리한 TA98 및 TA100 두 균주 모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다른 분획보다 높은 85% 이상의 돌연변이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Trp-P-1에서는 TA98과 TA100 두 균주 모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각각 80.9와 85.9%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검토한 실험에서는 A549 와 Colo 205 세포에 1.0mg/ml 농도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처리 시 모두 70.3% 이상의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MCF-7 과 Hep3B 세포의 경우 부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1.0mg/ml)에서 80% 이상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AGS는 1.0mg/ml농도의 에틸아세테에트와 부탄올 분획물에서 90% 이상의 강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레몬그라스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lemon grass powder)

  • 주탁;오한슬;김민주;강성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47-35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레몬그라스 분말 2, 4, 6, 8, 10% 첨가한 스펀지케이크를 제조한 후 반죽 비중, 케이크의 pH, 수분함량, 굽기 손실, 비체적과 높이, 부피지수, 색도, 산화방지능, 기계적 텍스처,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비중은 대조군이 0.46으로 가장 낮았고 레몬그라스 분말 8-10% 첨가군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스펀지케이크의 pH(8.09-7.52)와 수분함량(30.29-24.87%)은 레몬그라스 분말(pH 5.01)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굽기 손실(7.46-8.07%)은 증가하였다. 스펀지케이크의 비체적은 레몬그라스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으며(4.72-4.63 mL/g), 높이(8.00-7.33 cm), 부피지수(10.92-10.13) 그리고 대칭성지수(0.68-0.64)도 낮아졌다. 케이크의 내부 색깔을 보면 L값과 b값은 레몬그라스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였고, a값은 증가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에 대한 산화방지활성은 레몬그라스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기계적 텍스처는 경도, 응집성, 씹힘성이 레몬그라스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고, 탄력성과 회복탄력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한 관능검사에서 색, 맛, 텍스처에서는 각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향은 2%(6.95)와 4%(8.70) 첨가군에서 대조군(5.30)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입안에서의 느낌은 대조군과 2-6% 첨가군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8-10% 첨가군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2%(8.02)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스펀지케이크 제조 시 2%의 레몬그라스 분말 첨가는 스펀지케이크의 제조와 품질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