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ikseolgi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백설기의 저장성 연구 (Storage Stability of Baikseolgi)

  • 여경목;장문정;김명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218-222
    • /
    • 1999
  • 자당지방산에스테르(SE), 이소말토올리고당(IO) 또는 글리세린(GL)을 첨가한 백설기를 7일간 저장한 후 저장온도, 수분함량 및 첨가물의 농도에 따른 백설기의 텍스쳐에 미치는 영향을 경도, 응집성 및 씹힘성의 관점에서 반응표면 분석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SE첨가 백설기 경도는 20, 50 및 $80^{\circ}C$의 저장온도에서 등고선 값은 각각 $1500{\sim}3200,\;500{\sim}1300$$100{\sim}400\;g_f$로 저장온도가 올라감에 따라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20^{\circ}C$$50^{\circ}C$의 저장에서는 수분함량과 SE농도 증가에 따라서 경도는 감소하였으나 $80^{\circ}C$의 고온저장에서는 수분함량 증가나 SE첨가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IO나 GL첨가 백설기의 경도는 일반적으로 저장온도가 높아질수록 수분함량 및 첨가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를 나타내었다. 백설기의 경도에 미치는 영향은 저장온도, 수분함량, 첨가물농도 순이었으며 저장온도 조절이 백설기의 저장성 향상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응집성 측면에서 SE 또는 GL첨가 백설기는 저장온도가 $20^{\circ}C$에서 $50^{\circ}C$로 높아짐에 따라서 응집성 증가를 보였으나 $50^{\circ}C$$80^{\circ}C$의 저장온도간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또한, 수분함량이 40%부근에서 높은 응집성을 나타내었으며 GL첨가 백설기는 농도가 0.5%부근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저장온도, 첨가물 농도 및 수분함량 순으로 백설기의 응집성에 영향을 미쳤다. 씹힘성은 첨가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저장온도가 높아질수록, 수분함량과 첨가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씹힘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저장온도, 수분함량, 첨가물 농도 순이었다.

  • PDF

첨가물, 저장온도 및 저장시간에 따른 백설기의 텍스쳐 특성 (Effect of Additive, Storage Temperature and Time on the Texture Properties of Baikseolgi)

  • 김명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6호
    • /
    • pp.437-441
    • /
    • 1998
  • 자당지방산에스테르(SE)또는 글리세린(GL)의 첨가와 저장온도(0, 20및 $70^{\circ}C)$에 따른 저장 중$(0{\sim}6$일) 백설기의 텍스쳐에 미치는 영향을 경도, 응집성, 씹힘성 및 물성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대조구의 경도는 저온$(0^{\circ}C)$과 실온$(20^{\circ}C)$의 경우 저장 초기에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나 고온$(70^{\circ}C)$에서는 완만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6일 저장 후 $0^{\circ}C$에 비하여 $20^{\circ}C$에서 경도 값이 약간 낮게 나타난 반면 $70^{\circ}C$에서는 $0^{\circ}C$ 경도의 약 10.9% 수준으로 나타났다.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GL의 첨가가 SE보다 경도 감소에 효과적이었으며 $70^{\circ}C$에서 6일간 저장 후 대조구, SE 또는 GL 첨가 백설기의 경도는 각각 336, 216 및 $174\;g_f$로 나타났다. 백설기의 응집성은 $0^{\circ}C$ 보다 $70^{\circ}C$에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GL 첨가, SE 첨가, 대조구 순으로 작아졌고 저장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감소를 보였다. 저장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백설기의 씹힘성 증가는 경도의 증가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응력완화곡선을 통한 백설기의 물성학적인 성질의 변화로는 저장온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초기 순간응력과 평형응력이 줄어들었으며 점성부분의 영향은 커지고 탄성부분의 영향은 작아졌다.

  • PDF

Bacterial Cellulose 첨가 백설기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ikseolgi Added with the Bacterial Cellulose)

  • 장세영;김옥미;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55-45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BC를 백설기에 첨가하여 저장 중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bacterial cellulose 0.09%이상 첨가한 백설기가 무첨가구에 비해 저장동안 노화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hardness를 측정한 결과 BC첨가를 첨가한 구간들에서 hardness가 낮게 나타나 노화억제효과가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거의 모든 평가항목에서 시료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BC를 첨가한 백설기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Baikseolgi Made with Kugija (Lycium chinense Mill.) Powder

  • Kim, Hye-Ran;Lee, Jun-H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4호
    • /
    • pp.328-332
    • /
    • 2006
  • Baikseolgi was made with Kugija powder with the intention to take advantage of its functional properties. Appropriate amount of Kugija powder (0$\sim$8%) was mixed with rice flour, sugar, salt, and water and then, steamed for predetermined time and thei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were measured. pH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addition of Kugija (p<0.05). The addition of Kugija powde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moisture content (p>0.05) although it appeared to decrease with the higher amount of Kugija. Lightness (L-valu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addition of Kugija (p<0.05), indicating that the color of Baikseolgi became dark as also indicated by the visual observation. Redness (a-value) and yellowness (b-value), on the other hand,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Kugija increased in the sample (p<0.05). Both hardness and firmnes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addition of Kugija (p<0.05). Eight percentage Kugija Baikseolgi was significantly stronger in Kugija flavor (7.9), chewiness (6.1), sweetness (5.0), and yellowness (8.2) attributes than other samples, whereas contr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outhfeel (6.0) and hardness (6.0) attributes than others (p<0.05). Finally, consumer test indicated that 4% Kugija sample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appearance (8.13) and overall acceptability (8.07) attributes.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Baikseolgi Incorporated with Strawberry Powders

  • Lee, Jun Ho;Kim, Ji-Hye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3호
    • /
    • pp.271-276
    • /
    • 2010
  • Strawberry powder was incorporated into Baikseolgi by substituting the non-glutinous rice flour in the range of 0-8%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non-glutinous rice flour and the effects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pH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higher amount of strawberry powder in the formulation whereas titratable acidity showed a reverse trend (p<0.05). Moisture content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ing amount of strawberry. Lightness ($L^{*}$-valu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higher strawberry powder concentration, indicating that the color of Baikseolgi became dark as also indicated by the visual observation. Redness ($a^{*}$-value) and yellowness ($b^{*}$-value), on the other hand,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substitution of strawberry powders up to 8% (p<0.05). Increases in strawberry powder concentration up to 8% in the Baikseolgi formul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tensities of sensory color, flavor, and taste attributes; on the other hand, the intensities of sensory moistness and chewines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Results from the consumer test revealed that control received the highest acceptability scores in all attributes but 4% sample also obtained the competitive scores. Finall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several very highly significant linear correlation between the means used to access physicochemical, sensory properties, and consumer preferences.

석류 농축액을 첨가한 백설기의 품질 특성 (Selected Physicochemical and Consumer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Baikseolgi with Pomegranate Concentrate)

  • 최지은;이준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60-164
    • /
    • 2015
  • 석류 농축액의 첨가량을 0~6.6%로 달리하여 백설기를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품질, 항산화 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비교하였다. pH는 6.35~5.61 범위로 석류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수분함량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한편 명도($L^*$)는 농축액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지만 (P<0.05) 적색도($a^*$)와 황색도($b^*$)는 석류 농축액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경도는 0.18~0.34 kgf로 대조군과 1.6%, 3.3~5% 첨가군 내에서 유의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P>0.05)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전자공여능과 ABTS radical 소거능 활성은 석류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소비자 검사 결과 농축액을 첨가한 백설기가 그렇지 않은 시료에 비해 대체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으나 전반적인 소비자 기호도와 석류 농축액의 건강기능성 효과 등을 고려하면 최적 첨가 농도는 1.6%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쌀의 돌연변이 억제활성에 미치는 가공처리의 영향 (Effect of Processing on the Antimutagenicity of Rice)

  • 김인호;전향숙;하태열;문태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44-949
    • /
    • 1995
  • 쌀을 cooking, steaming, parching 등의 가공처리 형태로서 밥, 백설기, 미싯가루를 제조하여 methanol로 추출한 후 돌연변이 억제활성의 유지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로 조사하고 SOS Chromotest로 확인하였다. S. typhimurium reversion assay에 대하여 직접변이원 4NQO로 유도한 frameshift type 돌연변이의 경우 $46%{\sim}10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억제활성이 투여농도에 비례하였다. Base substitution type 돌연변이의 경우는 각 가공물의 용매 추출물에서 억제활성이 미약하거나 서의 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간접변이원의 경우는 직접변이원과 비교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Trp-p-1으로 유도된 frameshift type 돌연변이의 경우 $75{\sim}100%$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FB_1$으로 유도된 base substitution type 돌연변이의 경우는 $66{\sim}87%$의 활성을 보여 직접변이원보다 억제활성이 높았다. SOS chromotest에 대하여는 4NQO로 유도된 돌연변이의 경우 억제활성이 없었으며 Trp-p-2로 유도된 돌연변이의 경우는 19-67%의 억제활성으로 S. typhimurium reversion assay와 같은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쌀의 항변이원성 물질은 rice-cooking, steaming, parching 등의 가공처리에 의해 억제활성이 소실되지 않아 가공 안정성이 있는 물질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