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ekdudaegan Mountains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7초

백두대간 강원도 4개 권역의 관속식물상 - 오대산, 대관령~석병산, 청옥산~덕항산, 금대봉~태백산 권역을 중심으로- (Vascular Plants of 4 Sections in Gangwon-do, Baekdudaegan Mountains - Focused on Mt. Odaesan section, Daegwallyeong~Mt. Seokbyeongsan section, Mt. Cheongoksan~Mt. Deokhangsan section and Geumdaebong~Mt. Taebaeksan section -)

  • 오현경;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3-6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vascular plants in the Baekdudaegan Mountain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future ecosystem conservation measure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699 taxa including 98 families, 338 genera, 598 species, 4 subspecies, 80 varieties, and 17 forms. There were 427 taxa in A-section, 451 taxa in B-section, 361 taxa in C-section, and 455 taxa in D-section. The rare plants were 37 taxa including 2 taxa of the CR, EN, and DD each, 12 taxa of the VU, and 19 taxa of the LC.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30 taxa including Salix koriyanagi Kimura, 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 Carex okamotoi Ohwi, and so forth. The northern plants were 41 taxa including Equisetum hyemale L., Anemone reflexa Steph. et Willd.,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Miq.,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3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L.) Holub, Coreopsis lanceolata L., Poa pratensis L.,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Rumex acetocella L., Ambrosia artemisiifolia L., and Aster pilosus Willd.

백두대간에 인접한 석회석 광산의 식생복구 연구 (2) - 묘목식재 방법에 의한 옥계 광산복구 시험시공 사례 - (A Study of Rehabilitation for Limestone Quarry near the Baekdudaegan Mountains (2) - In Case Study for Planting Seedlings Experiment on Okke Quarry -)

  • 김경훈;김학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7-125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planting seedlings for quarry rehabilitation.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for rehabilitation of quarry with planting seedlings and seeding types. Planting seedlings were categorized as target species, accompanied species and pioneer speci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limestone quarry (Lafarge Halla Cement Inc.) near the Baekdudaegan Mountains at Okke, Kangwon-do. The experimental planting bed was set in 2007 and field monitoring was carried out from 2007 to 2011. As the result of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early-phase pattern for surveyed species to establish was affected by the planting and seeding types. As years after planting and seeding, the percent of plant coverage also increased up to 90%. The methods of mixed planting and seeding were good for species diversity, but the growing of seedlings were affected by seeding plants. Accompanied species and pioneer species were superior to target species during first 2 years, but target species has gained predominance during last 2 years. The quality maintenance should be carried out annually to attain the goal of rehabilitation.

백두대간 지리산 천왕봉-덕유산 향적봉의 식물상 (Vascular Plants of Mountain Ridge from Cheonwangbong-Hyangjeokbong Section in the Baekdudaegan)

  • 임동옥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9-386
    • /
    • 2003
  • 남한지 역 백두대간에 분포하는 식물상은 5강 126과 541속 1,248종 3아종 204변종 22품종 총 1,477종류로 확인되었다. 지리산, 백운산 및 천왕봉 지역은 개비자나무, 생강나무, 비목나무. 백동백, 대팻집나무. 나도밤나무, 합다리나무 및 노각나무 등이 분포하여 남부아구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해발 1,000m이상인 곳에서는 고산식물이 많이 분포하였으며, 덕유산과 지리산의 경우 거제수나무, 사스래나무, 난티나무, 나도바람꽃, 피나물, 금강제비꽃, 산앵도나무, 처녀치마, 금강애기나리, 앉은부채 및 개불알꽃 등 중부아구 식물이 많이 확인된다 따라서 북방계식물은 백두대간의 능선을 따라 남하하고, 남방계식물은 북상하면서 낮은 해발고도 지역에 분포하는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백두대간 인지도 조사를 통한 전통적 지리체계인식 확산을 위한 교육정책제안 연구 (A Study for Education Policy Suggestions through the Survey of Baekdudaegan Awareness)

  • 김차권;정태열;강기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8-45
    • /
    • 2018
  • 산과 물을 하나의 유기체로 인식한 우리나라의 전통적 지리체계인 백두대간은 산자분수령을 원리로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 중 남한에는 1대간 9정맥이 있으며, 본 연구는 남한의 백두대간 이용객을 대상으로 대면 설문하여 2,519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전통적 지리체계를 '알고 있다'는 응답률은 5.1%로 매우 낮았으며, 백두대간을 '알고 있다'는 응답률은 39%, 정맥을 '알고 있다'는 응답률은 11.8%에 불과하였다. 백두대간의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고 있다'라고 판단한 응답률은 60%를 상회하여 비교적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백두대간의 홍보에 대한 방법은 교과과정에 편입하여 교육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는 초등학교때부터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현행 교육부의 교육과정에 대한 고시에는 전통적인 지리체계에 대한 교육의 내용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을 기반으로 교육부의 교과과정에 전통적 지리체계에 대한 교육과정을 정식으로 편성하여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이는 우리 국토와 환경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확립과 자연환경보전에 대한 기초적인 자질을 심어줄 것이다.

Study on the Assessment of Closed Trails at National Parks in the Baekdudaegan Mountains, South Korea

  • Kim, In-Kyu;Lee, Joon-Woo;Cho, Woo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1-28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habitat status of wild birds at closed-trails and the control group of opened-trails in the national park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After evaluating each area based on this, it's aimed at being utilized as basic data for future national park management and opening of trails. Upon field investigations and analyzing existing literary material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a total of 76 bird species living around the trails. Among them, it was confirmed that 60 species can breeding and 10 species are protected by law. Upon assessing the scores of each area according to the evaluation standards of this study, Area I had 7 scores, area II had 13 scores, area III had 5 scores, and area IV had 16 scores, showing that the control group open-trail area IV between Jeongryeongchi and Seongsamjae had the highest score, and that area III of Wolyeongdae~Chotdaebong~Daeyasan~Miljae~Wolyeongdae had the lowest score. Evaluation of closed-trail according to wild bird species (Avifauna) was attempted in this study, but there were more bird species living in open-trails, while also having higher evaluation scores. Therefore, if opening trail is needed in the future due to excessive desires of visitors or inevitable social demands, it is judged that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mammals highly affected by people should be evaluated to open up the sector with the lowest score. Also, it is judged that through methods such as reservation systems, the number of visitors should be controlled or night-time hikes should be prohibited so that nocturnal wildlife can freely use the trails.

Chemotaxonomic Significance of Oregonin in Alnus japonica Native to Baekdudaegan Mountain Range in Korea

  • Hyeondu Jang;Sunmin Park;Seong Gyeom Kim;Seung Bin Bae;Hee Jeong Min;Chan Ok Lee;Hee Kyu Kim;Jin-Kyu Kim;Sun Eun Cho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40권1호
    • /
    • pp.53-63
    • /
    • 2024
  • Alnus japonica is indigenous to korea and usually grows in wet lowlands and damp regions in the mountains. Oregonin, is known as a representative compound of the diarylheptanoid mainly found in Alnus species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In this experiment, we conducted a study on the presence of orogonin in the native Alnus japonica from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in Korea. We collected a total of 30 samples from Chuncheon, Yangyang, and Jeongseon and conducted experiments. In the HPLC analysis, we confirmed that oregonin was detected in all samples. After the quantitative analysis, samples with the highest content from each region were selected and LC-MS/MS experiments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 same molecular weight as oregonin, 477.2 m/z, was confirmed in all samples.

백두대간 보호지역 침엽수림의 식생분류, 종다양성 및 구조적 특성 (Vegetation Classification, Species Diversity,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niferous Forest i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Korea)

  • 조현제;김준수;조준희;오승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516-529
    • /
    • 2021
  • 백두대간 보호지역 침엽수림은 기후변화, 식생천이, 인간간섭 등 다양한 교란 요인으로 토지 본래의 식생 조성과 구조의 변화가 커서 생태적 안정성과 더불어 경관적 다양성과 특이성이 점차 저하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백두대간 보호지역 침엽수림의 전면적이고 종합적인 보전 방안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2016년에서 2020년까지 5년간 수행된 산림청 백두대간 자원실태변화조사에서 수집된 총 755개 임분의 식생정보를 바탕으로 정량적인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정량적인 이원지표종분석 방법(TWINSPAN)을 병용하여 종조성적 식생유형을 구분하고 그 종다양성과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백두대간 보호지역 침엽수림의 식생유형은 2개 군락군, 4개 군락, 7개 아군락, 그리고 14개 변군락의 식생단위 체계 하에 총 15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침엽수림 구성종의 100 m2당 평균 총피도와 출현종수는 각각 232%, 21종 그리고 종다양도와 종우점도 지수는 각각 평균 1.907, 0.222로 나타났다.

조선시대의 '동해'에 대한 지리인식과 문학적 형상 (Geographical Cognition and the literary Geography Figuration of the 'Dong Hae' in Joseon Dynasty)

  • 이승수;오일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41-456
    • /
    • 2010
  • 동해(東海)는 애초 방위에 따라 붙인 명칭이었지만, 오랜 세월의 역사적 연고를 온축한 고유명사이기도 하다. 동해는 자연의 지리공간인 동시에, 숱한 역사적 사연과 문화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역사문화의 공간이기도 하다. 이 글은 동해의 역사 문화적 사연 중, 동해에 대한 선인들의 지리 인식을 검토하고, 나아가 문학작품에 그려진 여러 형상을 살펴본 것이다. 조선의 지식인들은 큰 차원에서 세계의 지리를 파악했고, 그 구도 속에서 국토의 지리와 지세를 인식했다. 이에 따르면 백두산은 천하의 조종(祖宗)이 되는 두 산 중 하나로 요동별관과 한반도와 일본의 지리를 통어한다. 고래로 역사지리가들은 백두산과 백두대간을 거론하며 동해를 짝 지워 언급하였다. 백두대간과 동해는 짝이 되면서 크기와 너비, 높이와 깊이, 그리고 위엄과 도량을 함께 갖춘 온전한 국토지리의 표상이 된다. 동해의 다채로운 문학적 형상을 네 범주로 나누어 다루었다. 우리문학에서 동해는 첫째, 이 땅에 살았던 사람들의 의기를 거칠고 드세게 확충시켜 주었다. 둘째, 세상과 삶의 이치를 사유하고 통찰하게 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셋째, 백두대간에서의 동해 조망은 국보 인식을 새롭게 해주었다. 넷째, 어촌민들의 고단한 삶이 펼쳐지고, 각종 풍속이나 교역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삶의 현장이었다.

  • PDF

Sparganium glomeratum (Typhaceae): A new record from South Korea

  • GIL, Hee-Young;LEE, Kang-Hyup;HA, Young-Ho;JANG, Chang-Seok;KIM, Dong-Kap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74-379
    • /
    • 2019
  • In this study, we report a new record of the clustered bur-reed Sparganium glomeratum (Laest. ex Beurl.) Beurl., from Yongneup Moor of Daeamsan Mt. in Gangwon-do, Korea. This species is distributed in the cool temperate and circumboreal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As we recorded this species in a high-altitude wetland, we named it "Du-me-heuk-sam-neung" after the Korean word that translates to "Sparganium found in deep mountains." We provide description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hotographs, and detailed illustrations of S. glomeratum, as well as a key to allied taxa in Korea.

백두대간(깃대배기봉~청화산)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Baekdudaegan Mountains (Gitdaebaegibong~Mt. Cheonghwasan))

  • 오현경;유주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백두대간 중 깃대배기봉부터 청화산까지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우리나라 산림생태계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있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구간의 식물상은 103과 379속 623종 4아종 121변종 23품종 등 771분류군이며, A구간은 377분류군, B구간은 395분류군, C구간은 278분류군, D구간은 325분류군, E구간은 534분류군, F구간은 406분류군이다. 희귀식물은 모데미풀, 도깨비부채, 꽃창포, 천마 등 32분류군이며, 멸종위기종(CR)은 1분류군, 위기종(EN)은 1분류군, 취약종(VU)은 11분류군, 약관심종(LC)은 18분류군, 자료부족종(DD)은 1분류군이다. 한국특산식물은 무늬족도리풀, 요강나물, 노랑갈퀴, 노각나무, 지리대사초, 두메꿩의밥 등 26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43분류군이며, 이 중 V등급은 3분류군, IV등급은 12분류군, III등급은 41분류군, II등급은 42분류군, I등급은 45분류군이다.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가죽나무, 붉은서나물, 개망초, 왕포아풀 등 41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식물은 애기수영, 가시박,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등 4분류군이다.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43분류군이며, 특산식물계는 14분류군, 남방계 식물은 2분류군, 북방계 식물은 27분류군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