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ekdu mountain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3초

백두대간 절토 비탈면의 생태복원녹화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lope Ecologic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Models of the Baekdu-Mountain Range)

  • 김남춘;남언정;신경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2-84
    • /
    • 2008
  • Since enactment of the Baekdu-Mountain Range protection law in Dec. 31st 2003, great interest arose in recovery of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e Baekdu-Mountain Range. Since the Baekdu-Mountain Range has formed boundaries between different regions and it is the mountain that crosses our country from East to West, there are so many roads that penetrate this area. Slopes made by the construction of roads have poor foundation for the growth of vegetation and it takes a long period to restore only with natural restoration force. For this reason, various methods of revegetation to restore the damages are implemented but until now, revegetation of domestic soil cutting slopes are mainly covered by foreign import grasses to stabilize and cover grounds early. As we depended upon foreign import grasses for slopes revegetation, the landscape did not match in harmony with surrounding vegetation and therefore, we could see that these foreign grasses are withered in 2~3 years after the revegetation works and slopes become barren again. However, currently, there are no applicable standards for designs of green hill, desirable revegetation methods for the hill areas, roads and recovery models.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tatus of revegetation plants and revegetation methods for the hill areas of the Baekdu-Mountain Range (azimuth, degree of tilt, and tilted places). Based on this, we attempted to find the desirable recovery models for the hill areas of the Baekdu-Mountain Range.

GIS기법을 이용한 백두산 화산재해 종합평가 연구 (A Study on Integrated Assessment of Baekdu Mountain Volcanic Aisaster risk Based on GIS)

  • ;최윤수;남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77-87
    • /
    • 2014
  • 2014년 에콰도르의 툰구라와 화산폭발, 2010년 아이슬란드 에이야프야틀라이외쿠틀 화산폭발 등과 같이 최근 화산활동으로 인한 재해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폭발 위험성이 높은 활화산 중 하나인 백두산을 대상으로 객관적 관측자료와 과학적인 방법에 근거하여 재해위험지역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로 중국학자 Liu Ruoxin의 연구에 근거하여 1215(${\pm}15$)년 백두산 화산 대폭발 화산재해 데이터를 참조하여 백두산지역의 지진관측자료와 화산지역 형태변화 관측자료, 화산지역 유체지구화학관측자료, 사회경제 통계데이터를 이용해 재해유발요소, 잠재적인 재해유발환경, 피해대상의 취약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토대로 대상지역에 대한 백두산화산재해위험등급분포도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 백두산화산재해위험등급을 4단계로 체계화하였다. 분석결과 백두산화산재해위험등급은 중심부에서 주변으로 갈수록 점차 등급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1,2급 위험지역은 화산폭발 시 위험도와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고위험지역으로, 3,4급 위험 지역은 화산재해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강도의 화산재해요소의 작용하에서는 연구지역의 서쪽지역이 받는 위험성이 동쪽지역보다 높은데 이는 비교적 낮은 잠재적인 재해유발환경의 안정성과 높은 피해대상 취약성에 의해 결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고지도에 표현된 백두산 동류 수계 (Baekdu Mountain's East Flowing Streams on the Old Map of Korea)

  • 문상명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59-28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지도에 표현된 쟁점이 되는 백두산 동류 하천인 토문강 분계강 두만강 하천 유로의 분석을 통해 고지도에 나타난 북방영역 인식, 토문강 두만강의 1강설과 2강설, 분계강의 의미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이다. 백두산 영역권과 만주를 포함하고 있는 한국의 고지도 248점 가운데 백두산이 그려져 있지 않은 지도를 제외한 160점의 고지도를 유형화하여 연구의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고지도에서 백두산 북동부 유로는 다양하게 나타나며, 토문강과 두만강 2강설은 대체로 확대된 북방영역 인식을 표출하고, 1강설을 나타내는 지도 중에는 분계강을 속평강과 같은 강으로 표현하여 확대된 북방영역 인식을 표출하기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1강설의 지도가운데 분계강의 의미가 현재 지명의 해란하인 경우, 지도에는 확대된 영토인식이 나타나지 않고 현재 한반도와 중국의 국경선과 일치되는 국경인식이 나타난다. 고지도에서 분계강은 첫째, 속평강과 같은 강으로 확대된 영토인식이 나타나며 둘째, 토문강과 같은 강으로 토문강의 하류이다. 셋째, 현재 지명의 해란하를 표현하고 넷째, 단순히 분계를 나타내는 강을 의미한다.

  • PDF

자연재해의 경제적 영향평가 연구방법론과 백두산화산재해에의 적용 가능성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Economic Impact Assessment of Natural Disasters and Its Applicability for the Baekdu Mountain Volcanic Disaster)

  • 강주화;유순영;윤성민
    • 자원환경지질
    • /
    • 제47권2호
    • /
    • pp.133-146
    • /
    • 2014
  • 자연재해의 경제적 영향평가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화산재해의 영향평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다. 국내의 경우, 화산 폭발에 대한 국가적, 사회적 관심 부족으로 화산재해 영향평가에 대한 학계 연구도 매우 부족하다. 이러한 연구실정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자연재해의 경제적 영향평가 연구방법론을 조사하고 향후 예상되는 백두산 화산재해에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재해 및 화산재해에 대해 조사한 결과, 아시아지역에서 자연재해 피해규모가 가장 컸고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의 경제적 피해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근 30년 사이에 화산분화가 매우 빈번했던 일본에서 화산재해로 인한 피해연구가 활발했던 반면, 화산분화가 드문 한국과 중국에서는 화산재해의 경제적 영향에 대한 연구가 매우 희소하다. 셋째,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 유형 및 복합 피해구조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그 중에서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경제적 간접피해를 추정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들을 비교 검토해 보았다. 각 방법론을 백두산 화산재해에 적용하는 경우, 모형 고유의 특징 때문에 피해규모가 과대 추정되거나 혹은 과소 추정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계산된 피해결과는 사후적인 비교 검토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화산재해에 관한 학술적 연구를 백두산 화산폭발의 경제적 영향 평가 연구의 출발점으로 활용할 수도 있겠지만, 미국에서 사용되는 Hazus나 뉴질랜드에서 사용되는 RiskScape와 같은 컴퓨터 SW를 활용하거나 개발하여 백두산 화산재해의 경제적 영향을 예측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타크린으로 유발한 간 세포 독성에 대한 백두산 식물 추출물의 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Plants Extracts from Baekdu Mountain on Tacrine-induced Cytotoxicity in HepG2 Cells)

  • 이동성;정길생;안인파;리빈;변에리사;윤권하;김윤철
    • 생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8-73
    • /
    • 2008
  • The present study represents the screening of the protective effects of herbal methanolic extracts from Baekdu mountain against tacrine-induced cytotoxicity in HepG2 cells. Tacrine is an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and used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However, administration of tacrine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results in a reversible hepatotoxicity in 30-50% of patients, consequently limiting clinical use. Therefore, studies for natural products with protective effect on the tacrine-induced hepatotoxicity would be valuable as providing potential therapeutic use. 109 plant sources were collected in Baekdu mountain, and extracted with methanol. These extracts had been screened the protective effects against tacrine-induced cytotoxicity in HepG2 cells at the 100 and 300 ${\mu}g/ml$. Of these, ten methanolic extracts, roots of Ampelosis japonica, aerial parts of Berberis amurensis, aerial parts of Sedum aizoon, aerial parts of Lespedeza tomentosa, aerial parts of Lespedeza juncea, aerial parts of Hypenricum ascyron, stem barks of Syringa reticulata, fruits of Gleditsia japonica, aerial parts of Chamaenerion angustifolium, branches of Ginkgo biloba, showed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s against tacrine-induced cytotoxicity in HepG2 cells.

백두대간에 인접한 석회석 광산의 식생복구 연구(1) - 종자파종에 의한 옥계 광산복구 시험시공 - (A Study of Rehabilitation for Limestone Quarry Near Baekdu Daegan Mountain System(1) -In Case Study for Hydroseeding Experiment on Okke Quarry-)

  • 김경훈;주백;김학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5-66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seeding methods for quarry rehabilitation.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for rehabilitation of quarry with seed mixing types (woody type and herbaceous type) and forest topsoil. Seeds and seeding materials were applied to the quarry slope using hydroseeding measur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limestone quarry (Lafarge Halla Cement Inc.) near Baekdu Daegan Mountain System at Okke, Kanwon-do. The experimental seedbed was set in 2007 and field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rom 2007 to 2010. As the result of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early-phase pattern for surveyed species to establish was affected by the soil mixture types. The mixture type of herbaceous seeds resulted in the higher plant coverage than the woody seeds. The application of forest topsoil showed a potential increase the plant diversity, but it was affected by mixing seeds. Naturally-emerged species as Alnus hirsuta, Quercus mongolica will be useful for rehabilitation at the quarry and damaged slopes.

백두산 화산재해대응시스템 개발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T-Based Response System Development for Mt. Baekdu Volcanic Disaster)

  • 김태훈;윤준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23
    • /
    • 2014
  • 우리나라는 그간 화산 재해로부터 안전한 지역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 백두산의 화산 분화 전조현상 들이 자주 보고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반도의 화산 분화를 경고하는 화산 전문가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백두산 화산 재해 대응 시스템의 개발방안을 기술하고 있다. 첫 번째로 소방방재청의 방재업무 체계와 관련 시스템을 분석한다. 두 번째로, 방재업무체계를 기반으로 화산 재해 대응 업무 프로세스를 도출한다. 세 번째로, 관련 재난 대응 시스템을 참고하여 화산재해 대응시스템의 시스템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필요 공간정보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화산재해 대응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파일럿 시스템을 개발한다. 제안된 화산재해 대응시스템이 실제로 소방방재청에 탑재되기까지는 추가적인 검증 및 시스템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완성된 화산재해 대응 시스템은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의 화산재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간정보기반 화산재해대응시스템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Plan of Volcanic Disaster Response System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 김태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357-7363
    • /
    • 2014
  • 우리나라는 화산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지대로 알려져 있으나, 과거 1,000년 전에 백두산에서 큰 분화를 한 사례가 있으며 최근 화산분화의 전조현상들이 자주 보고되고 있어, 이에 대한 경고를 하는 화산전문가들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화산재해 발생시 공간정보 및 과학모델링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화산재해대응시스템을 개발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세부적으로 언급하면 첫 번째로 사용자업무 및 관련시스템을 분석하여 화산재해 대응업무 프로세스를 도출하고, 두 번째로 이를 기반으로 화산재해대응시스템 설계 및 개발을 수행하며, 세 번째로 도출된 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활용 및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화산재해대응시스템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남아시아에 지역에 발생할 화산재해 피해를 최소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II) - 준산악형 구간을 대상으로 - (Establishing the Managerial Boundary of the Baekdu-daegan(II) - In the Case of Semi-mountainous District -)

  • 권태호;최송현;유기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2-74
    • /
    • 2004
  • 백두대간은 국토의 근간이자 중요한 생태축이다. 그러나 최근 백두대간 지역을 대상으로 한 각종 개발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보전 전략 수립과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는 백두대간 지역을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관리구역 설정을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접근 방법은 백두대간의 적절한 관리범위 설정을 위해 수계 및 유역을 바탕으로 인간 간섭의 영향정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수치지도, Landsat TM 영상 등이 사용되었다. 준산악지형의 특성을 갖는 남덕유산~소사고개 구간을 대상으로 유역확장방식을 사용하여 유역차수에 따른 경작지, 도시, 나지, 수계, 산림 등의 토지이용상태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유역확장방식은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기법으로 효율적이었으며, 관리범위는 마루금을 중심으로 무주(8차)와 거창(5차) 방향이 상이하게 설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