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al blight disease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7초

환상박피와 비가림 시설을 이용한 참다래 꽃썩음병의 경종적 방제 (Cultural Control of Bacterial Blossom Blight Using Trunk Girdling and Rainproof Installation over Kiwifruit Trees)

  • 신종섭;박종규;김경희;정재성;허재선;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304-309
    • /
    • 2004
  • 참다래 과수원에서 환상박피와 비가림시설은 꽃썩음병을 효과적으로 경감시켜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참다래 개화기 약 45일 전인 4월 10일경에 참다래 주간부위에 20${\sim}$30 mm 폭으로 환상박피를 하면 꽃썩음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었는데, 주간부위의 환상박피 높이는 방제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비닐을 이용한 비가림시설은 파풍망시설보다 비가림방식에 관계없이 꽃썩음병 예방에 효과적이었다. 참다래 개화기 약 75일 전인 3월 10일경에 부분비닐피복식 비가림시설을 하면 참다래 꽃썩음병의 발생을 거의 완벽하게 방제할 수 있었다. 환상박피와 부분비닐피복식 비가림시설은 참다래 과수원에서 환경친화적인 꽃썩음병 방제방법으로 실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확 후 제주 당근 재배 토양에서 Xanthomonas hortorum pv. carotae 분리 (Detection of Xanthomonas hortorum pv. carotae in Jeju Island Soils after Carrot Harvest)

  • 김미진;강현수;신용호;전용철
    • 식물병연구
    • /
    • 제29권4호
    • /
    • pp.433-439
    • /
    • 2023
  • 당근 세균잎마름병은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병에 속한다. 지난 10년 전 국내에서 처음 발견됨으로써 당근 생산에 큰 위협이 되는 병으로 간주되었다. 원인균으로 Xathomonas hortorum pv. carotae (Xhc)이며 본 연구는 제주도 당근재배지 토양에서 이 병원균을 분리 동정하고자 수행하였다. 분리한 세균 중 인공배지에서 균총의 형태가 당근 세균잎마름병균과 유사한 세균균총을 분리하여 선발하였다. 또한 이들 선발된 세균들을 대상으로 DNA 염기 서열과 NCBI 자료를 통해 몇몇 분리 세균이 Xhc으로 동정되었다. 게다가 이들 세균을 당근 잎에 접종하였더니 당근 세균잎마름병의 전형적인 병징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제주도 토양내 Xhc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하고 앞으로의 당근 세균잎마름병 방제 수단을 강구하는 데 매우 필요한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고 본다.

참다래 꽃썩음병 예방약제 최적 살포 체계 (Optimum Spray Program of Preventive Bactericides for the Control of Bacterial Blossom Blight of Kiwifruit)

  • 신종섭;박종규;김경희;정재성;허재선;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297-303
    • /
    • 2004
  • 참다래 꽃썩음병은 주로 항생제 살포에 의해 방제되고있다. 스트랩토마이신황산염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 농용신 쿠퍼 수화제와 옥쏘리닉에시드 수화제가 15개의 후보약제들 대상으로 한 실내시험 및 포장시험을 통하여 참다래 꽃썩음병 예방약제로 선발되었다. 참다래 꽃썩음병 방제를 위하여 스트랩토마이신황산염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와 농용신 쿠퍼 수화제의 살포적기는 개화기이고, 여러 가지 살포시기별 다양한 약제살포 조합 중에서 참다래 꽃썩음병 방제를 위한 스트랩토마이신황산염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와 농용신 쿠퍼 수화제의 최적 살포 회수는 참다래 개화기인 5월 초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로 판명되었다.

Expression of hpa1 Gene Encoding a Bacterial Harpin Protein in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Enhances Disease Resistance to Both Fungal and Bacterial Pathogens in Rice and Arabidopsis

  • Choi, Min-Seon;Heu, Sunggi;Paek, Nam-Chon;Koh, Hee-Jong;Lee, Jung-Sook;Oh, Chang-Si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8권4호
    • /
    • pp.364-372
    • /
    • 2012
  •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causing bacterial leaf blight disease in rice produces and secretes Hpa1 protein that belongs to harpin protein family. Previously it was reported that Hpa1 induced defense responses when it was produced in tobacco. In this study, we expressed hpa1 gene in rice and Arabidop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Hpa1 expression on disease resistance to both fungal and bacterial pathogens. Expression of hpa1 gene in rice enhanced disease resistance to both X. oryzae pv. oryzae and Magnaporthe grisea. Interestingly, individual transgenic rice plants could be divided into four groups, depending on responses to both pathogens. hpa1 expression in Arabidopsis also enhanced disease resistance to both Botrytis cineria and 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To examine genes that are up-regulated in the transgenic rice plants after inoculation with X. oryzae pv. oryzae, known defense-related genes were assessed, and also microarray analysis with the Rice 5 K DNA chip was performed. Interestingly, expression of OsACS1 gene, which was found as the gene that showed the highest induction, was induced earlier and stronger than that in the wild type pl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pa1 expression in the diverse plant species, including monocot and dicot, can enhance disease resistance to both fungal and bacterial plant pathogens.

Microbiome Analysis Revealed Acholeplasma as a Possible Factor Influencing the Susceptibility to Bacterial Leaf Blight Disease of Two Domestic Rice Cultivars in Vietnam

  • Thu Thi Hieu Nguyen;Cristina Bez;Iris Bertani;Minh Hong Nguyen;Thao Kim Nu Nguyen;Vittorio Venturi;Hang Thuy Dinh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40권2호
    • /
    • pp.225-232
    • /
    • 2024
  • The microbiomes of two important rice cultivars in Vietnam which differ by their susceptibility to the bacterial leaf blight (BLB) disease were analyzed through 16S rRNA amplicon technology. A higher number of operational taxonomic units and alpha-diversity indices were shown in the BLB-resistant LA cultivar than in the BLB-susceptible TB cultivar. The BLB pathogen Xanthomonas was scantly found (0.003%) in the LA cultivar, whereas was in a significantly higher ratio in the TB cultivar (1.82%), reflecting the susceptibility to BLB of these cultivars. Of special interest was the genus Acholeplasma presented in the BLB-resistant LA cultivar at a high relative abundance (22.32%), however, was minor in the BLB-sensitive TB cultivar (0.09%), raising a question about its roles in controlling the Xanthomonas low in the LA cultivar. It is proposed that Acholeplasma once entered the host plant would hamper other phytopathogens, i.e. Xanthomonas, by yet unknown mechanisms, of which the triggering of the host plants to produce secondary metabolites against pathogens could be a testable hypothesis.

기내 검정법을 이용한 국내 과수 화상병 방제제 선발 (In Vitro Screening of Antibacterial Agents for Suppression of Fire Blight Disease in Korea)

  • 이민수;이인경;김삼규;오창식;박덕환
    • 식물병연구
    • /
    • 제24권1호
    • /
    • pp.41-51
    • /
    • 2018
  • 국내 과수 화상병은 2015년 사과 및 배에서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적절한 방제제는 등록되어 있지 않다. 다만 농촌진흥청은 무름병과 세균점무늬병 등 다른 식물세균병해에 등록되어 있는 살세균제들을 직권등록 시켜놓은 상태이다. 그러나 직권등록이란, 약효는 보증하지 않으면서 약해만을 보증하는 제도로, 국내에서 과수 화상병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적절한 방제제를 선발하는 것이 요구되어지기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직권등록 국내 과수 화상병 방제제 중, 각각 4종의 농용항생제와 구리 합성 화학물 그리고 생물학적 방제제 2종에 대한 기내 검정법을 통하여 국내 과수 화상병원세균 억제 및 병징확산 억제효과를 검증하였다. Kasugamycin, Oxytetracycline 및 streptomycin의 항생제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oxolinic acid는 꽃에서의 억제효과는 우수하였지만 신초 및 미성숙과 기내검정에서는 다소 효과가 감소하였다. 4종의 구리 합성 화학물은 항생제만큼의 억제효과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사용가능한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2종의 생물적 방제제는 처리시기 등을고려할 경우, 친환경 재배지에서는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국내 과수 화상병원세균은 선발 방제제 중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들을 가지고 있지 않고,화분매개충에 대한 영향도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과나무에서 가지검은마름병 억제를 위한 효율적 가지치기 (Controlling by Effective Pruning of Twigs Showing Black Shoot Blight Disease Symptoms in Apple Trees)

  • 한규석;유지강;이한별;오창식;예미지;이종호;박덕환
    • 식물병연구
    • /
    • 제22권4호
    • /
    • pp.269-275
    • /
    • 2016
  • E. pyrifoliae에 의한 과수 가지검은마름병은 국내에서 1995년 최초 발생이래 2016년까지 꾸준히 발생하여 과수농가에 피해를 주고 있는 세균병해이다. 가지검은마름병 발생 농가의 폐원조치 및 공적방제로 인한 경제적 피해 감소를 위하여, 병징이 관찰되는 이병조직 및 건전조직 내의 병원 세균을 검출하여 효율적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지검은마름병원세균의 검출은 genomic DNA 추출과정을 생략한 순수 균총만을 이용하는 colony-PCR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ERIC 지역에서 제작된 가지검은마름병원세균 특이 프라이머 EpSPF/EpSPR 프라이머쌍을 선발하였다. 특이 프라이머를 활용한 colony-PCR 방법으로 2014-2015년 4-10월까지 사과나무 생육기간 동안 가지검은마름병 발생상황을 모니터링한 결과, $25^{\circ}C$ 일 평균 온도 기간인 5월 중순부터 7월 초순까지 발병이 가장 빈번하였다. 발병가지 내 병원세균의 존재유무 검정 결과 병징 부위와 이로부터 20 cm 내 건전조직에서만 병원세균이 지속적으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이미 발생한 가지검은마름병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이병조직과 건전조직 경계 부위로부터 20 cm 이상에서 가지치기를 하는 것이 매우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남지방에 있어서 시비수준이 벼 품종별 백엽고병 감수성과 수량 및 미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Levels of Fertilizer on the Susceptibility to Bacterial Leaf Blight, Yield and Quality of Grains in Nineteen Rice Cultivars in Jeonnam Region)

  • 차광홍;김영신;김홍신;이돈길;김만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6-221
    • /
    • 1982
  • 시험은 흰빛잎마름병의 품종별 감수성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시비량을 보비재배와 다비재배로 구분하여 전남지역에서 수행 되었다. 흰빛잎마름병은 발생은 다비조건에서 심했으며 심한 발병은 수도 품종들의 등숙에 영향을 주어 수량 감수를 초래하였고 청미율은 품질을 저하 시켰다. 또한 조생계품종에서는 지엽과 차엽이 발병되었지만 중, 만생계품종에서는 지, 차, 삼엽이 발병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보비조건에서 보다 다비조건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이 병에 대한 저항성품종은 태백벼, 백운찰벼, 팔공벼, 밀양 42호이었고 밀양 30호, 금강벼, 낙동벼, 진주벼는 감수성이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시비 수준간에 같은 경향이었다.

  • PDF

Root-Dipping Application of Antagonistic Rhizobacteria for the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of Pepper Under Field Conditions

  • Sang, Mee-Kyung;Oh, Ji-Yeon;Kim, Ki-De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109-112
    • /
    • 2007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acy of a root-dipping application of antagonistic bacterial strains for the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of pepper caused by P. capcisi, and to evaluate their plant growth-promoting effects in the field in 2005 and 2006. The candidate antagonistic rhizobacterial strains CCR04, CCR80, GSE09, ISE13, and ISE14 were treated by dipping plant roots with bacterial suspensions prior to transplanting. The candidate rhizobacterial strains CCR04, CCR80, GSE09, and ISE14 significantly (P=0.05) reduced the disease incidence and the area under the disease progress curves when compared to buffer-treated controls in at least a year test. The metalaxy l(fungicide-treated control) resulted in one of the lowest disease incidences among the treatments in both years. Moreover, the strains CCR04, CCR80, GSE09, and ISE13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the fruit weights and/or numbers of peppers in at least a year test compared to the buffer-treated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agonistic rhizobacterial strains CCR04, CCR80, and GSE09 could be efficient biocontrol agents by controlling Phytophthora blight of pepper and promoting the plant growth when treated with root-dipping at transplanting.

벼 아소미노리 교배조합 품종의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Resistance of Varieties Bred by Crossing with Asominori to Bacterial Leaf Blight)

  • 심재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8-134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on the resistance of varieties bred by crossing with Asominori to bacterial leaf blight. Nakdongbyeo and Dongjinbyeo which were susceptible to HB 9011, 8 resistant varieties including Ilmibyeo derived from Asominori and Asominori, Hwangok, 13 varieties including Chukoku 45 which were resistance to HB 9011, HB 9022 and HB 9033 were used to screen their res ponce depending on the various screening methods such as the true resistance, the secondary infection resistance and the disease common field test method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13 varieties tested, 11 varieties including llmibyeo showed tme resistance to HB 9011. Less than 1.0cm of disease lesion were developed on these varieties. Disease lesion was not developed on most of the Asominori lines including Daechongbyeo against IIB9011 and 1lmibyeo was also resistance to HB 9011, on this variety disease lesion area rate was 1.2%, and 7 varieties including Hwajinbyeo showed field resistance to HB 9022. Disease lesion area rate were 19.6% on Nakdongbyeo. 15.6% on Dongjinbyeo, from 3.0% to 2.4% on Asominori lines, and 0.5% on the Asominori when screened at disease common area. Disease was not developed on Keumnambyeo.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ces were found between the results from the test methods of the true resistance, the field resistance ancl the field resistance at disease common field tests on Asominori lines, but in some cases, even the varieties on which disease lesions developed, showed field resistance to HB 9022 and HB 903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