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al Se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35초

Evaluation on Microbial Contamination in Chinese Cabbage Cultivated Soil in Korea

  • Jung, Kyu-Seok;Seo, Seung-Mi;Jeon, Hye-Jin;Kim, So-Ra;Kim, Won-Il;Kim, Se-Ri;Roh, Eun-Jung;Ryu, Jae-Gee;Lee, Seung-D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538-546
    • /
    • 2017
  • The occurrence of various pathogenic microorganisms on farms is a concern if they are able to contaminate fresh produce, which provides entry into the food supply.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prevalence of pathogens in Chinese cabbage cultivated soil in Korea. A total of 57 Chinese cabbage cultivated soils were collected in 4 locations in Korea from February to August 2017. The soils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total aerobic bacteria, Escherichia coli, coliforms,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total aerobic plate counts in soils were in the range of 5.7 to $8.7log\;CFU\;g^{-1}$. The coliforms and E. coli were detected in 39 and 8 out of 57 soil samples, respectively, in the range of 1.1 to $6.3log\;CFU\;g^{-1}$ and 0.7 to $4.0log\;CFU\;g^{-1}$.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and S. aureus were not detected from any samples. Results from these studies may help control the spread of bacterial species such as E. coli and Salmonella spp. through the farm environment.

복합막 기반의 미생물 연료전지 연구에 대한 총설 (Recent Advance in Microbial Fuel Cell based on Composite Membranes)

  • 김세민;라즈쿠마 파텔;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31권2호
    • /
    • pp.120-132
    • /
    • 2021
  • 미생물 연료전지(MFC)는 미생물의 촉매 반응을 이용하여 폐수 등 환경 오염물질을 처리함과 동시에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생물전기화학 장치다. 미생물 연료전지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인 양이온 교환막(PEM)은 미생물 연료 전지의 성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양성자교환막은 Nafion이다. Nafion은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단가가 높고, 생물오염에 취약하며, 생분해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Nafion을 대체하기 위한 새로운 복합막을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꾸준히 이루어졌다. 본 총설에서는 미생물 연료전지 분야에서 최근 개발된 복합막의 특징과 성능을 고찰하며, 특히 양성자교환막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tic factors of early-onset sepsis: a 7.5-year experience in on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Kim, Se Jin;Kim, Ga Eun;Park, Jae Hyun;Lee, Sang Lak;Kim, Chun S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2권1호
    • /
    • pp.36-41
    • /
    • 2019
  • Purpo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tic factors of early-onset sepsis (EO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patient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medical records from January 2010 to June 2017 (7.5 years) of a university hospital NICU. Results: There were 45 cases of EOS (1.2%) in 3,862 infants. The most common pathogen responsible for EOS was group B Streptococcus (GBS), implicated in 10 cases (22.2%), followed by Escherichia coli, implicated in 9 cases (20%). The frequency of gram-positive sepsis was higher in term than in preterm infants, whereas the rate of gram-negative infection was higher in preterm than in term infants (P<0.05). The overall mortality was 37.8% (17 of 45), and 47% of deaths occurred within the first 3 days of infe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gestational age (26.8 weeks vs. 35.1 weeks) and birth weight (957 g vs. 2,520 g) between the death and survival groups. After adjustments based on the difference in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between the 2 groups, gram-negative pathogens (odds ratio [OR], 42; 95% confidence interval [CI], 1.4-1,281.8) and some clinical findings, such as neutropenia (OR, 46; 95% CI, 1.3-1,628.7) and decreased activity (OR, 34; 95% CI, 1.8-633.4),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fatality. Conclusion: The common pathogens found to be responsible for EOS in NICU patients are GBS and E. coli. Gram-negative bacterial infections, decreased activity in the early phase of infection, and neutropenia were associated with poor outcomes.

Korean Red Ginseng enhances pneumococcal △pep27 vaccine efficacy by inhibiting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 Lee, Si-On;Lee, Seungyeop;Kim, Se-Jin;Rhee, Dong-Kw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218-225
    • /
    • 2019
  • Background: Streptococcus pneumoniae, more than 90 serotypes of which exist, is recognized as an etiologic agent of pneumonia, meningitis, and seps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worldwide. Immunization with a pneumococcal pep27 mutant (${{\Delta}}pep27$) has been shown to confer comprehensive, long-term protection against even nontypeable strains. However, ${{\Delta}}pep27$ is effective as a vaccine only after at least three rounds of immunization. Therefore, treatments capable of enhancing the efficiency of ${{\Delta}}pep27$ immunization should be identified without delay. Panax ginseng Mayer has already been shown to have pharmacological and antioxidant effects. Here, the ability of Korean Red Ginseng (KRG) to enhance the efficacy of ${{\Delta}}pep27$ immunization was investigated. Methods: Mice were treated with KRG and immunized with ${{\Delta}}pep27$ before infection with the pathogenic S. pneumoniae strain D39. Total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was measured using lung homogenates, and inducible nitric oxide (NO) synthase and antiapoptotic protein expression was determined by immunoblotting. The phagocytic activity of peritoneal macrophages was also tested after KRG treatment. Results: Compared with the other treatments, KRG significantly increased survival rate after lethal challenge and resulted in faster bacterial clearance via increased phagocytosis. Moreover, KRG enhanced ${{\Delta}}pep27$ vaccine efficacy by inhibiting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reducing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apoptosis signaling and inflammation. Conclusion: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KRG reduces the time required for immunization with the ${{\Delta}}pep27$ vaccine by enhancing its efficacy.

치주질환 환자의 생활양식과 치주 병원균의 연관성에 관한 후향적 연구 (Association of lifestyle with periodontal pathogens on dental patients with periodontitis (retrospective study))

  • 조무열;조세림;박달님;이상이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2-52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lifestyle with the copy number of periodontal pathogens. This retrospective study collected electronic health records of 102 subjects with periodontitis, including reports of bacterial genetic tests and lifestyle questionnaires. The five pathogens were analyzed as follows: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Treponema denticola, Prevotella intermedia, and Fusobacterium nucleatum. The lifestyle questionnaire included age, sex, oral hygiene management, smoking, drinking, exercise, dietary, snacks, water intake, and sleeping time. An independent t-test or ANOVA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opy number of periodontal pathogens according to lifestyle (α=0.05). The copy numbers of P. gingivalis and F. nucleatu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strains. The copy number of T. forsythia in patients who exercised was 54% lower than in those who did not (p=0.009). Other lifestyle factors did not affect the number of bacteria. Exercise habits among the lifestyles showed a association with the number of specific oral bacteria. This result suggests that a lifestyle questionnaire is essential in clinical situation and necessary to prevent and treat the periodontal disease effectively.

Babeisa duncani infection alters gut microbiota profile in hamsters

  • Shangdi Zhang;Jinming Wang;Xiaoyun Li;Yanbo Wang;Yueli Nian;Chongge You;Dekui Zhang;Guiquan Gua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1권1호
    • /
    • pp.42-52
    • /
    • 2023
  • The genus Babesia includes parasites that can induce human and animal babesiosis, which are common in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of the world. The gut microbiota has not been examined in hamsters infected by Babesia duncani. Red blood cells infected with B. duncani were injected into hamsters through intraperitoneal route. To evaluate the changes in gut microbiota, DNAs were extracted from small intestinal contents, acquired from hamsters during disease development. Then, the V4 region of the 16S rRNA gene of bacteria was sequenced using the Illumina sequencing platform. Gut microbiota alternation and composition were assessed according to the sequencing data, which were clustered with >97.0% sequence similarity to create amplicon sequence variants (ASVs). Bacteroidetes and Firmicutes were made up of the major components of the gut microbiota in all samples. The abundance of Bacteroidetes elevated after B. duncani infection than the B. duncani-free group, while Firmicutes and Desulfobacterota declined. Alpha diversity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shown ASVs were substantially decreased in the highest parasitemia group than B. duncani-free and lower parasitemia groups. Potential biomarkers were discovered by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Effect Size (LEfSe) analysis, which demonstrated that several bacterial families (including Muribaculaceae, Desulfovibrionaceae, Oscillospiraceae, Helicobacteraceae, Clostridia UGG014, Desulfovibrionaceae, and Lachnospiraceae) were potential biomarkers in B. duncani-infected hamsters.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B. duncani infectious can modify the gut microbiota of hamsters.

무 유기재배와 관행재배 토양의 화학성과 미생물 군집 비교 (Soil Chemical Property and Microbial Community under Organic and Conventional Radish Farming Systems)

  • 강호준;양성년;송관철;조영윤;김유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9-499
    • /
    • 2019
  • 본 연구는 제주지역 무 주산지에서 재배 방법(유기 vs. 관행)과 토양 종류(화산회토 vs. 비화산회토)에 따른 토양의 화학적 특성, 미생물 활성 그리고 미생물 군집 조성을 분석하고 요인간 연관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전반적으로 유기와 관행의 재배 방식에 따른 토양 화학성은 처리간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토양 미생물체량, 효소 활성, 종 풍부도와 다양성 그리고 미생물 군집 분포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토양 종류에 따른 화학성과 미생물 군집 분포 등 미생물학적 특성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유기재배 토양에서 관행 대비 토양의 세균, 방선균 및 사상균 그리고 미생물체량이 증가하였으며, Org-NA 토양에서 탈수소효소 활성, 종 풍부도(Chao 1) 그리고 종 다양성(Phyrogenetic diversity) 지수가 가장 높았다. 무 재배 토양에 분포하고 있는 주요 세균 문은 Proteobacteria, Acidobacteria, Chloroflexi, Firmicutes 그리고 Actinobacteria 등 5종이었으며 재배 방법 및 토양 종류에 관계없이 Proteobacteria 문이 화산회토에서 25.9%, 비화산회토에서 21.9~24.9%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그리고 대체로 화산회토와 비화산회토 토양 종류별로 유사한 군집 조성을 보였으며, 화산회토에서는 재배 방법별 주요 문의 군집 조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비화산회토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Firmicutes는 Org-NA 토양에서 21.0%, Acidobacteria는 Con-A에서 21.6%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는데 대체로 화산회토와 관행재배 토양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재배 방법 및 토양 종류별 미생물 군집을 대표하는 바이오마커를 찾기 위하여 LEfSe 분석을 실시한 결과, Firmicutes 문의 분포가 비화산회토와 유기재배 토양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토양 화학성 중에서 총유기탄소 함량, 유효인산 그리고 치환성칼륨 함량은 Firmicutes 등 주요 세균 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국내 생산단계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on-farm Produce in Korea)

  • 김원일;곽민규;조아라;류상돈;김세리;류송희;김황용;류재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0-26
    • /
    • 2017
  • 국제적으로 식중독 세균이 오염된 농산물의 신선 섭취에 따른 식중독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생산단계 수박, 참외, 고추, 당근, 상추, 배추, 양배추, 셀러리, 버섯, 보리, 옥수수, 복숭아, 포도를 대상으로 위생지표세균과 식중독 세균의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각 작물별로 3곳 이상의 주산지에서 총 1,820점의 시료를 수집하여 일반호기성세균, 대장균군, B. cereus, S. aureus의 정량적 분석과 E. coli,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의 정성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반호기성세균은 전체 시험대상 농산물에서 0.01~7.18 log CFU/g 범위의 밀도를 나타냈고, 대장균은 총 651점의(35.8%) 시료에서 나타났다. B. cereus는 0.01~2.48 log CFU/g 범위로 총 169점의(9.3) 시료에서 나타났고, S. aureus는 총 14점의(0.7%) 시료에서 0.01~1.69 log CFU/g 범위로 나타났다. 정성적 분석에서 E. coli는 총 101점의(5.5%) 시료에서 양성인 것으로 나타났고,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는 모두 음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내 생산단계 농산물의 전반적인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파악할 수 있고 농산물 중 미생물 기준 설정 등에 대한 과학적 근거로써 미생물위험평가(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의 기초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 동물병원 임상 검체로부터 분리된 호기성 세균과 항생제 감수성 양상 (Isolation of Bacteria from Clinical Specimens in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and Trend of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 Park, Se-won;Seo, Kyung-won;Hwang, Cheol-yong;Youn, Hwa-young;Han, Hong-ryul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14
    • /
    • 2004
  • 항생제 저항성의 증가가 우려되고 있는 현재, 수의 임상에서는 지속적인 항생제 내성의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학 동물병원에 내원한 증례의 임상검체들로부터 분리한 호기성 세균과 그들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2001년 5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에 내원한 개 고양이에서 채취한 임상 검체로부터 총 121주의 호기성 세균이 분리되었는데, 가장 많이 분리된 세균은 Staphylococcus spp. (48주)였으며 이어서 E.coli (26주), Enterococcus spp. (21주) 등의 순으로 빈도수가 높게 분리되었다.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 그람 양성균은 amikacin, amoxacillin/clavulanate, ceftazidime, oxacillin에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그람 음성균은 amikacin과 ceftazidime에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이 중, Staphylococcus spp.는 amikacin, amoxacillin/clavulanate, ceftazidime, oxacillin, cephalothin에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Streptococcus sup.와 E.coli는 amikacin과 ceftazidime에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Enterococcus rpp.와 Klebsiella pneumoniae는 70% 이상의 감수성을 나타내는 항생제가 없었다. 이 외에도 7주의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i가 분리되었으며, 실험에 사용한 모든 항생제에 저항성을 가지는 균주가 E.coli와 Corynebacterium xerosis에서 각각 1주씩 분리되었다. 2000년 (1999년 7월-2000년 9월)과 2002년 (2001년 5월-2002년 10월) 항생제 저항성을 비교했을 때,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의 전체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은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히 Staphylococcus spp.와 E.coli, Klebsiella pneumoniae의 전체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70.05). 이상과 같이 동물 병원 임상 검체에서 원인균의 분리 동정은 항생제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항생제 저항성의 증가를 확인함으로써 이를 치료에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수의 임상에서 항생제 저항성의 변화 양상에 대한 조사는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되리라 사료된다.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제재의 근관 내 사용 시 시간에 따른 E. faecalis에 대한 항균성 평가 (Evaluation of time-dependent antimicrobial effect of sodium dichloroisocyanurate (NaDCC) on Enterococcus faecalis in the root canal)

  • 김혜정;박세희;조경모;김진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2호
    • /
    • pp.121-129
    • /
    • 2007
  •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NaDCC)은 염소 화합물의 일종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NaOCl)과 비교 시 동일한 농도의 용액에서 같은 염소 이온을 가지고 있으며 비슷한 정도의 항균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근관 내 사용 시 시간에 따른 항균성을 평가하고 이를 현재 근관세척제로 사용되고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및 클로르헥시딘 (CHX)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E. faecalis에 대한 세 가지 제재의 최소증식억제 농도 (MIC)를 실험한 결과 NaOCl과 NaDCC에서는 0.125%를 보였고 CHX에서는 0.063%로 나타났다. 근관 내 사용에 대한 실험은 최근에 발거된 128개의 단근치를 사용하였으며 치경부와 치근단 부위를 절단하여 10 mm 길이를 가지는 시편을 만들었다. 시편의 내경은 #3 Gates-Glidden drill을 이용하여 동일하게 하였다. 각각의 치아 시편의 근관 내에 E. faecalis를 접종하고 3일간 배양한 후 40개씩 3개의 군으로 분류하고 대조군으로 8개의 시편을 이용하였다. 실험군 1, 2, 3은 각각 NaDCC, NaOCl, CHX으로 근관세척하였고 대조군은 멸균된 식염수를 이용하였다. 각 군은 다시 12시간, 24시간, 72시간, 7일의 시간에 따라 4개의 하위 군으로 분류하였다.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 멸균된 paper point를 이용하여 근관 내용물을 채취하고 BHI agar plate로 옮겨 배양하였다. 그 후 #4, 5GG drill을 이용하여 근관 내면을 삭제하고 이 때 생겨나는 상아질을 멸균된 증류수가 들어있는 시험관에 넣었다. 이것을 희석하여 BHI agar plate로 옮겨 배양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bacterial CFU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bacterial CFU가 관찰되지 않았고 E. faecalis에 대한 세 가지 제재 모두 비슷한 항균 효과를 보였다. 멸균된 식염수를 이용한 대조군에서는 모두 bacterial CFU가 존재하였다. NaDCC를 근관세척제로 사용할 경우 1주 이내의 시간 동안에는 적절한 항균효과를 유지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조직 용해도를 비롯한 치근단 조직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 등의 평가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