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A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인 채식 남성에서 비타민 D 수용체 유전자의 TaqI 다형성의 분포 및 종골의 골밀도와의 관련성 (The Distribution of TaqI RFLP in the Vitamin D Receptor Gene in Korean Vegetarian Men and its Association with Calcaneal Bone Mineral Density)

  • 강병용;김소연;이상진;김현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1권1호
    • /
    • pp.27-34
    • /
    • 2006
  • Numerous studies reported the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genetic polymorphisms in the vitamin D receptor (VDR) gene and various bone phenotypes such as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bone quality, although conflicting results were produc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 TaqI RFLP in the VDR gene and calcaneal BMD in Korean vegetarian men, and its interaction with nutrition status as an environmental factor. BUA (broadband ultrasound attenuation), SOS (sound of speed) and stiffness index of the calcaneus were measured using an ultrasound bone densitometer in 266 Korean men (age: $mean{\pm}SD;\;50.9{\pm}12.0$ year), and a TaqI RFLP in the VDR gene analysed by PCR-RFLP method. In total subjects, the distribution of TT, Tt and tt genotypes occurred with frequencies of 90.8%, 8.8% and 0.4%,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this polymorphism and osteopenia-osteoporosis or several bone phenotypes in our subjects irrespectively of nutrition status (P>0.05).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a TaqI RFLP in the vitamin D receptor gene does not contribute to the susceptibility to the calcaneal BMD in Korean men.

Overweight Relation to Liver Fluke Infection among Rural Participants from 4 Districts of Nakhon Ratchasima Province, Thailand

  • Kaewpitoon, Soraya J;Rujirakul, Ratana;Wakkuwattapong, Parichart;Matrakool, Likit;Tongtawee, Taweesak;Panpimanmas, Sukij;Kujapun, Jirawoot;Norkaew, Jun;Photipim, Mali;Ponphimai, Sukanya;Chavengkun, Wassugree;Kompor, Pontip;Padchasuwan, Natnapa;Sawaspol, Sudaporn;Phandee, Mattika Chaimeerang;Phandee, Wichan;Phanurak, Wassana;Kaewpitoon, Natthawu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5호
    • /
    • pp.2565-2571
    • /
    • 2016
  •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among 730 participants from 4 rural districts of Nakhon Ratchasima province, Thailand, with a reported high incidence of liver fluke infection.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and evaluate the nutritional status in relation to Opisthorchis viverrini infection. Participants were purposive selected from Chum Phuang, Mueang Yang, Bua Yai, and Kaeng Sanam Nang districts. Stool samples were prepared by Kato Katz technique and then assessed by microscopy. Anthropometr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from weight and height. Descriptive statistics and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tritional status and O. viverrini infection. Of 1.64% infected with O. viverrini the highest proportions were found in age groups ${\geq}61$ and 41-50 years old, Mueang Yang district. The majorities of participants had normal weight (32.2%), followed by class II obesity (28.1 %), class I obesity (21.8%), underweight (10.3%), and class III obesity (8.63%). Nutritional status with class II obesity (rS=0.639, p<0.01) and class I obesity (rS=0.582, p<0.05), had moderately statistical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 viverrini infection. Meanwhile, normal weight (rS=0.437, p<0.05) and class III obesity (rS=0.384, p<0.05) demonstrated lower statistical significance. These findings raise the possibility that infection with O. viverrini may contribute to fat deposition and thereby have long-term consequences on human healt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better understand whether O. viverrini contributes directly to fat deposition and possible mechanisms.

Surveillance of Populations at Risk of Cholangiocarcinoma Development in Rural Communities of Thailand Using the Korat-CCA Verbal Screening Test

  • Kaewpitoon, Soraya J;Rujirakul, Ratana;Loyd, Ryan A;Panpimanmas, Sukij;Matrakool, Likit;Tongtawee, Taweesak;Kompor, Porntip;Norkaew, Jun;Chavengkun, Wasugree;Wakkhuwattapong, Parichart;Kujapun, Jirawoot;Ponphimai, Sukanya;Phatisena, Tanida;Eaksunti, Thawatchai;Polsripradist, Poowadol;Joosiri, Apinya;Sukkasam, Inchat;Padchasuwan, Natnapa;Kaewpitoon, Natthawu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4호
    • /
    • pp.2205-2209
    • /
    • 2016
  • Cholangiocarcinoma (CCA) is a serious problem in Thailand, particularly in the northeastern region. Active surveillance in rural communities with an appropriat low-cost screening tool is required to facilitate early detec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pulation at risk of CCA in Bua Yai district, Nakhon Ratchasima province, Northeastern Thailand using the Korat-CCA verbal screening test (KCVST) during June to October 2015. Reliability of KCVST demonstrated a Cronbach alpha coefficient=0.75 Stepwise-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alcohol consumption was important for CCA screened, followed by agriculture and pesticide use, under-cooked cyprinoid fish consumption, praziquantel use, naïve northeastern people, opisthorchiasis, family relatives with CCA, and cholangitis or cholecystitis or gallstones, respectively. Population at risk for CCA was classified to low risk (63.4%), moderate risk (33.7%), and high risk (1.32%) for CCA. When CCA was screened using ultrasonography, 4 of 32 high risk participants had an abnormal biliary tract with dilated bile ducts. This study indicates that KCVST is a potential useful too which decrease the cost of large scale CCA screening.

지속가능교통 평가를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론의 지자체 적용 및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for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for Local Government`s Sustainable Transport)

  • 유병용;배상훈;한상용;김건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5-65
    • /
    • 2011
  • 본 연구는 교통부문의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론 별 비교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배출량 산정 방법론은 UN IPCC에서 제시하였으며 유류판매량을 기본으로 한 하향식 방식(Tier1,2)과 이동원의 속도 및 교통량 자료를 활용한 상향식 방식(Tier 3)이 있다. 방법론에 따른 결과 분석을 위하여 분석 대상지역을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은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수행한 지자체별 지속가능교통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지속가능성 1등급 지역 중 하나인 과천시와 7등급 지역인 안성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Tier 1 방법론을 통해 도출된 온실가스 배출량($CO_2$ 기준)은과천시의 경우 74,813ton/yr, 안성시는 584,125ton/yr로 나타났다. Tier 3 방법론 적용 결과 과천시 91,462ton/yr, 안성시 163,801ton/yr로 나타나 과천시의 경우 Tier 1 방법론보다 22.3% 과대추정 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반면, 안성시의 경우 Tier 3 방법론을 적용하였을 때 온실가스 배출량이 3.5배가량 줄어드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론에 따라 지속가능교통 지수에 의한 지자체별 등급이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린이 성장판 영상화를 위한 초음파와 X-선 방식의 비교 평가 (Comparison Between Ultrasonic and X-ray Methods for Imaging the Children′s Growth Plate)

  • 김상후;김형준;한은옥;한승무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51-55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진단 방법의 정확성이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규명되지 않고 있는 어린이의 성장 발육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성장 진단 방법은 X-ray 영상을 이용한 각 관절 부위의 성장판의 개폐 분석이다. 그러나 X-ray 방식은 성장 진단에서 요구되는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측정을 하지 못함과 동시에 방사선 노출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성장판 개폐 분석 대체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종골의 초음파 광역 감쇄 영상을 이용한 프로파일 분석 및 성장판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7세~16세의 어린이 269명에 대해서 X-ray를 이용하여 무릎, 손가락, 종골에서의 성장판 영상을 얻었다. 또한 초음파 방식을 이용하여 종골의 성장판 영상을 얻었다. 각 관절에서의 성장판 개폐 유무 시기는 각 개인별로 측정 방법에 따라 조금의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일치하였다. 또한. X-ray방식과 초음파 방식에 의한 성장판 영상을 비교한 결과 상호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성장판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도입된 초음파 프로파일 분석 알고리즘은 기존의 X-ray 영상 방식에 의한 성장판의 측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중부 지역 여대생에서 음식섭취빈도조사지를 이용한 나트륨 섭취량 평가 및 나트륨 섭취와 골밀도와의 관련성 조사 (Evaluation of Sodium Intake and Relationship between Sodium Intake and the Bone Mineral Dens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 배윤정;연지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25-636
    • /
    • 2011
  • 본 연구는 여대생 248명을 대상으로 음식섭취빈도조사지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과 골밀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정상군 20.15세, 골감소군 20.04세였으며,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평균 신장과 체중은 정상군 161.14 cm, 54.99 kg, 골감소군은 161.02 cm, 52.20 kg으로 나타나, 골감소군에서 체중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량은 정상군 20.90 kg/$m^2$, 26.09%, 골감소군은 20.08 kg/$m^2$, 24.27%으로 체질량지수와 체지방이 골감소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종골의 골격 상태 측정 결과에서 BUA, SOS, QUI는 정상군 118.44 dB/MHz, SOS 1,578.12 m/s, QUI 124.59%, 골감소군은 99.24 dB/MHz, SOS 1534.50 m/s, QUI 98.83%로 골감소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섭취빈도지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3,176.51 mg)은 식사 기록법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1,898.62 mg)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상군 3,598.60 mg, 골감소군 3,748.25 mg으로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나트륨 섭취의 주요 급원식품으로 정상군은 배추김치(10.13%), 라면(5.05%), 된장찌개(3.27%), 김치찌개(3.23%), 멸치볶음(2.48%) 순으로나타났으며, 골감소군은 배추김치(12.78%), 라면(6.04%), 김치찌개(2.94%), 된장찌개(2.62%), 자반고등어(2.34%) 순으로 나트륨 섭취량이 많게 나타났다. 음식군별 나트륨 섭취에 기여하는 음식군별 결과를 살펴보면, 정상군은 김치류(16.91%), 면류 및 만두류(16.34%), 찌개 및 탕류(13.88%), 주반찬(육류, 난류, 콩류, 11.73%), 어패류(11.02%) 순으로 나타났으며, 골감소군은 김치류(20.51%), 면류 및 만두류(17.03%), 찌개 및 탕류(12.98%), 어패류(10.76%), 주반찬(육류, 난류, 콩류, 10.63%) 순으로 나타났다. 두 군 모두에서 김치류, 면류 및 만두류, 찌개 및 탕류, 주반찬(육류, 난류, 콩류), 어패류로부터 전체 나트륨 섭취의 70% 정도를 공급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각 식품군의 나트륨 섭취량과 골밀도와의 상관 관계 분석결과, 면류 및 만두류(r=-0.0276, p=0.0426)와 나물 및 생채류(r=-0.0587, p=0.0015)와 골밀도간의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각 식품군의 섭취빈도와 골밀도와의 상관관계 결과, 면류 및 만두류(r=-0.0344, p=0.0116), 찌개 및 탕류(r=-0.0376, p=0.0008), 김치류(r=-0.0421, p=0.0482), 어패류(r=-0.0160, p=0.0362), 나물 및 생채류(r=-0.0503, p= 0.0064), 양념류(r=-0.0407, p=0.0347) 등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나트륨 섭취 상태와 골밀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나트륨 섭취량에 따라 4분 위수로 대상자를 나누어 비교한 결과, 정상군의 T-score는 Q1 군 0.90 g/$cm^2$, Q2군 1.03 g/$cm^2$, Q3군 0.91 g/$cm^2$, Q4군 0.98 g/$cm^2$으로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골감소군은 Q1군 -1.48 g/$cm^2$, Q2군 -1.61 g/$cm^2$, Q3군 -1.59 g/$cm^2$, Q4군 -1.71 g/$cm^2$으로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여대생의 주요 나트륨 급원 식품인 배추김치, 김치찌개, 된장찌개 이외의 라면, 멸치볶음, 스낵 과자의 식품으로부터 나트륨 섭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트륨 총 섭취량과 골밀도는 상관성이 없었고 나트륨 섭취 기여도가 높은 식품의 섭취빈도가 높은 경우 나트륨 섭취도 높았는데, 이는 골밀도에 따른 군간 나트륨 섭취가 유사하여 나트륨 섭취가 골밀도에 미치는 효과가 미약하게 나타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골밀도에 관련성이 있는 골대사 지표 및 다양한 측정 방법을 통한 골밀도와 나트륨 섭취수준과의 관련성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