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TL 사업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2초

BTL 학교 건축물의 수선비용 분석을 통한 장기수선비용 산정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Prediction of Sinking Funds for Long-Term Maintenance Expenses through the Analysis of BTL School Projects)

  • 하헌석;송창영;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207-215
    • /
    • 2007
  • 본 연구는 학교건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장기수선충당금 산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서울 교육청에서 발주한 BTL 사업 대상 학교를 중심으로 사례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사례 학교건물의 초기투자비용을 공종별로 분류한 후 장기 수선충당금을 산정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공종별 장기수선충당금을 공동주택 장기수선충당금 산정방법과 연등가액 산정방법을 준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목적과 방법에 따라 진행 된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 학교건물의 공종별 장기수선충당금의 비율을 정리하면 공사비용 대비 건축14.0%, 토목1.4%, 기계6.5%, 전기11.0%, 비품5.1%%, 기타1.0%의 분포를 나타냈다. 둘째: 산정된 공종별 장기수선충당금을 공동주택 장기수선충당금 산정방법과 연등가액 산정방법을 각각 이용하여 비용편차를 비교하였다.

민간투자사업 수요위험 분담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isk Sharing of PPI Project Demand Risk)

  • 신성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02-109
    • /
    • 2012
  • 민간투자사업의 핵심 성공요인은 민간사업자와 정부 간의 적절한 위험 분담과 민간사업자가 부담하는 위험 대비 적절한 수익의 제공이다. 현재 국내 민간투자사업은 민간사업자가 대부분의 위험을 부담하는 수익형 민자사업(BTO)과 정부가 대부분의 위험을 부담하는 임대형 민자사업(BTL)로 구분되어 있을 뿐, 정부와 민간사업자가 위험을 다양한 형태로 분담하는 방식은 아직 도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 결과 도로, 항만 등 수익형 민간투자사업 방식으로 진행되는 사업에 대한 과다한 위험부담으로 인해 민간사업자의 수익형 민간투자사업에의 참여가 극도로 저조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투자사업 위험 중 가장 큰 위험인 수요위험(demand risk)을 정부와 민간사업자가 분담하는 새로운 방식의 민간투자사업을 살펴보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민간투자사업의 운영수입을 모두 정부에 귀속시킨 후 운영수입 수준에 따라 민간사업자에게 계단형으로 지급되는 방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민간사업자가 부담하는 위험 대비 적절한 수준의 정부지급금을 실물옵션 모형 및 위험중립적(risk neutral) 방법론을 통해 산출하고, 산출된 구간별 정부지급금에 반영된 사업수익률을 추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론 및 결과는 향후 국내에 다양한 방식의 민간투자사업이 도입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민간이 제시하는 다양한 방식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학교시설 유지관리 인력운영 구조체제 요구 분석 (Analysi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Requirement for School Facility Maintenance)

  • 최병묵;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5권3호
    • /
    • pp.1-14
    • /
    • 2016
  • 학교시설은 2000년도에 들어서면서 다양화, 기계화, 친환경적으로 급속히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시설 유지관리는 과거의 단순한 유지관리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시설유지관리의 급격한 변화는 2005년도부터 임대형민간투자사업(BTL)의 등장으로 교육시설에도 민간의 유지관리 방식이 도입되어 변화를 계속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유지관리체제의 재구조화를 위한 인력운영 측면의 효과적인 구조체제 개선방안의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계단계별 학교시설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사례 연구 - 민간투자사업 대상 학교의 도면 분석을 통하여 - (A Case Study on the Change of Space Organization of School Facilities on the Design Planning Step - By Analyzing on the Plan of Schools by PFI -)

  • 심영주;류호섭
    • 교육시설
    • /
    • 제14권4호
    • /
    • pp.53-65
    • /
    • 2007
  • The presen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arranged form, the number and kinds, the area, the location of the rooms and the variation on exterior designs, based on a layout and a ground plan of each step, which are general plan, VE proposal and the final negotiation, for 11 elementary and middle and high schools that are designed in the way of BTL project. In consequence,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re are some changes in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rooms. However, the changes are not exceeding the overall arrangement form. This could not have led to the original aim, which is to induce creativity by PFI. It can be supposed that it is because the BTL system is stick to the old process, the method of financial investment and it is true to say that there needs to be solution for that.

교육시설 유지관리 수준에 관한 전문가 의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Survey of the Experts' Consciousness as to the Level in Maintenance Manage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

  • 정영한
    • KIEAE Journal
    • /
    • 제8권6호
    • /
    • pp.57-62
    • /
    • 2008
  • In case of the BTL Project for current educational faculties, the proper standards to analyze those said educational standards lack, so it is very difficult to conduct an exact analysis and those improper standards are problematic when proper management and maintenance costs are calculated. In case of such educational facilities, as students have to use them safely for a long time and the quantity of their activities and the status of their physical growth based on individual classes, as well as the features for use by facility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other standards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must be considered unlike an apartment house. Thus, in this study, to set up the standards considering the features of educational facilities,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level suitable for educational facilities is presented by comparing and analysing that required to maintain and manage an apartment house, targeting the experts specializing manage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