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SB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4초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유래의 주화세포의 확립과 확립된 세포의 특성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new cell line derived from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임은영;강민수;오명주;정태성;정성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65-173
    • /
    • 2003
  •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비장에서 주화세포인 BSBS를 확립하고 세포의 특성을 검사하였다. BSBS세포는 60회 이상의 계대배양이 가능하였고 형태학적으로는 상피성 세포였다. 세포는 20℃, 10%의 FBS가 든 L-15배지에서 배양하는 조건에서 잘 자랐다. BSBS세포는 해양버나바이러스 (MABV Y-6), 잉어의 봄바이러스병바이러스 (SVCV), 넙치의 랍도바이스 (HIRRV)와 연어바이러스 (CSV)를 접종했을 때 세포변성효과가 나타났다. 새로 확립된 주화세포는 앞으로 많은 바이러스병의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밀기증후군 유무에 따른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hanging the Functional Activities with and without Pusher Syndrome)

  • 황병용;김한수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1권2호
    • /
    • pp.111-114
    • /
    • 1999
  • Some hemiplegic patients show a particular posture that pushing away from the nonaffected side of the body. A few study has been conducted of any aspect of this syndrome. But despite the lack of a scientific basis, this term is widely used in the physical therapy of hemiplegic patien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usher syndrome has an adverse impact on functional outcome. Included were all acute stroke patients admitted in a months period a hospital in Seoul. The presence of pusher syndrome was assessed by a Bobath trained physical therapist. The ability of transfer was assessed by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Activities of daily living by the Modified Barthel Index(MBI), and standing balance by Bohannon's Standing Balance Scale(BSBS) on admission, weekly during the hospital stay, and at discharge. Pusher syndrome was found in $52.4\%$ of the left side and $50.0\%$ of the right aide hemiplegic patie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core of transfer, ADL and standing balance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pusher syndrome.

  • PDF

발효콩 대두황권의 항산화 및 항암효과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Glycine Semen Germinatum Fermented with Germinated Black Soybean and Some Bacteria)

  • 손미예;이상원;남상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38-544
    • /
    • 2007
  • 발아콩의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검정콩으로 발아시킨 대두황권을 고초균과 혼합 젖산균으로 각각 발효시킨 추출물에 대한 ABTS와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의 항산화능, 일산화질소(NO) 생성 및 인체암 세포주(HeLa, HepG2, HT-29, MCF-7)의 항암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항산화능은 추출물에 대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흑대두는 황색대두에 비하여 높았으며, 발효콩 대두황권보다는 비발효 시료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일산화질소 생성은 시료 추출물의 1 mg/mL 농도에서 황색대두 $0.374{\mu}M$과 흑대두 $0.386\;{\mu}M$보다는 발효콩 흑대두 대두황권의 BSBS 실험군과 BSLB 실험군은 각각 $0.367\;{\mu}M$$0.358\;{\mu}M$로서 약간 낮은 NO 생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체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활성은 비발효콩이나 고초균 시료보다 혼합 젖산균 발효콩 대두황권의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그 효과는 자궁경부암 > 대장암 > 간암 > 유방암 세포주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