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D$_{5}$

검색결과 1,176건 처리시간 0.026초

비점오염원 제어를 위한 인공습지의 계절변화에 따른 처리효율 평가 (Seasonal Performance of Constructed Wetland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 함종화;한정윤;김형철;윤춘경
    • 생태와환경
    • /
    • 제39권4호통권118호
    • /
    • pp.471-480
    • /
    • 2006
  • 비점오염원 제어를 위한 현장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시설은 인공습지와 유수지를 각각 4개씩 조성하였으며, 각각의 면적은 0.8 ha와 0.08 ha이고, 총 면적은 약 3.6 ha이다. 습지의 유입수는 충남 당진군의 석문담수호로 유입되는 당진천의 물을 펌핑하여 사용하였다. 습지의 수심은 웨어를 이용하여 생장기 (3월${\sim}$8월)과 동절기 (12월${\sim}$2월)에 각각 0.3 m와 0.5 m를 유지하였으며, 체류시간은 2${\sim}$5일이었다. TP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질항목에서 ($BOD_5$, TSS, TN)생장기보다 동절기에 더 높은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OD_5$는 동절기 동안에 유출수의 농도가 유입수보다 더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동절기 동안에 제거된 부하량은 $BOD_5$, TSS는 감소한 반면에 TN과 TP는 감소하지 않고 생장기과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다른 연구자에 의한 연구결과인 NADB (North American Treatment Wetland Database)와 비교해 보면 $BOD_5$, TSS, TN, TP모두 동일 유입부하량에 대해 대부분 NADB와 비슷하거나 약간 낮은 유출수의 농도를 나타내었다. 동절기 동안에 생장기와 비슷한 농도의 유출수를 얻기 위해서는 유입부하량은 생장기보다 감소시켜 적용하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인공습지는 동절기에도 안정적인 처리율을 얻을 수 있으며, 비점오염제어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수계 유기물 비교 및 분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arison and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in Nakdong river basin)

  • 한규성;이재순;권보민;최광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487-48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17년 5월부터 12월까지 주단위로 낙동강 수계 5개 보 구간(칠곡보~창녕함안보)에서 본류와 유입지천의 유기물(BOD, $COD_{Mn}$, TOC) 분석 및 상관관계 조사하였으며, 강정고령보~창녕함안보의 대표지점에 대해서는 용존유기물(DOC)의 분해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류의 유기물 농도는 BOD $2.7mgO_2/L$($2.3{\sim}3.1mgO_2/L$), $COD_{Mn}$ $5.6mgO_2/L$($5.0{\sim}6.2mgO_2/L$), TOC 4.7 mgC/L($4.2{\sim}5.2mgO_2/L$), 유입지천은 BOD $3.4mgO_2/L$($1.1{\sim}5.6mgO_2/L$), $COD_{Mn}$ $7.1mgO_2/L$($2.5{\sim}10.9mgO_2/L$), TOC $5.7mgO_2/L$(2.3~8.7 mgC/L)로 각각 나타났다. 유기물간 상관성 분석결과 본류의 BOD와 COD, TOC 상관계수(r)은 각각 0.97, 0.98, COD와 TOC는 0.91, 유입지천의 BOD와 COD, TOC는 각각 0.81, 076, COD와 TOC는 0.99로 나타났다. 본류 구간에서 탄소로 환산된 BOD-C/TOC 산화율은 21.5%(20.4~22.5%), COD-C/TOC 45.7%(44.3~48.0%), 유입지천의 BOD-C/TOC 산화율은 23.6%(13.1~31.0%), COD-C/TOC 48.0%(41.3~53.3%)로 각각 나타났다. 강정고령보~창녕함안보 대표지점의 DOC 분해특성은 DOC 중 R-DOC가 86.9%(74.5~94.3%), L-DOC 13.0%(5.7~25.5%)로 나타났다. L-DOC의 분해속도(k)는 0.21 /day(0.11~0.38 /day)로 계산되었으며, 보별 평균 분해속도는 합천창녕보(0.25 /day) > 강정고령보(0.22 /day) > 창녕함안보(0.21 /day) > 달성보(0.18 /day)순으로 나타났다. 유기물 농도는 본류에서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입지천은 지점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유기물간 상관성은 유입지천보다 본류구간이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TOC에 대한 BOD와 $COD_{Mn}$산화율은 본류구간 보다 유입지천에서 큰 변동을 보였으며, 실제 유기물 총량 대비 BOD와 $COD_{Mn}$은 각각 77.0%, 52.7% 낮게 나타났다. DOC 중 난분해성 유기물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타 보 대비 달성보 내에 난분해성 유기물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하수처리장 유출수의 NOD를 고려한 BOD 측정에 관한 연구 (Effect of NOD on BOD Test for the Effluents of Biological Treatment Plant)

  • 장세주;이성호;박해식;박청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8-192
    • /
    • 2007
  • The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test is widely used to determine the pollution strength of wat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nd to judge compliance with discharge permits. However, nitrification is a cause of significant errors in measuring BOD, particularly when a large population of nitrifying organisms is existing in water such as effluents from biological treatment pla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nitrogenous oxygen demand (NOD), BOD with and without inhibitor was measured as samples in the biological treatment plants. About 81% of effluent BOD from the biological treatment plant used in this experiment was comprised of NOD. In the case of influents, the NOD accounted for about 9% of BOD. The inhibited 5-day BOD (Carbonaceous BOD) test must be considered in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judging compliance with discharge permit limitations.

서울시 도축폐수의 오염 특성에 관한 연구 (Wastewater Characteristics for Slaughtering Plants in Seoul)

  • 이상호;김영란;정재춘
    • 유기물자원화
    • /
    • 제5권2호
    • /
    • pp.1-6
    • /
    • 1997
  • 서울시에는 서울시 중심부로부터 13km 내에 소나 돼지를 도살하는 도축장이 3개 있다. 3개 도축장은 송파구 가락동에 축협공판장, 성동구 마장동의 우성농역 그리고 구로구 독산동의 협진 식품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1) 3개 도축장의 폐수처리 현황, (2) 도축폐수의 특성 조사 그리고 (3) 한강에 미치는 오염부하량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결과는 (1) 도축장으로부터 나오는 폐수의 BOD/COD의 비는 0.8~0.9로 나타났다. (2) 오염 원단위를 BOD/마리로 표시하면 축협공판장은 726g BOD/마리, 우성농역은 797g BOD/마리, 협진식품은 797g BOD/마리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이들 3개 도축장의 평균값은 767g BOD/마리이며 지육세척수는 $112.6g/m^2{\cdot}d$로 나타났다. (3) 3개 도축장에 대한 총 오염부하량은 5,050 kg/day이며 이것은 한강 전체 오염부하량에 1%에 해당된다.

  • PDF

전기화학적 활성 미생물을 이용한 BOD 측정용 바이오센서의 개발 (Development of a Biosensor Using Electrochemically-Active Bacteria [EAB] for Measurements of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 윤석민;최창호;권길광;정봉근;홍석원;최용수;김형주
    • KSBB Journal
    • /
    • 제22권6호
    • /
    • pp.438-442
    • /
    • 2007
  • 본 연구는 3-전극계와 전기화학적 활성미생물 (EAB)을 이용한 BOD 측정용 바이오센서의 개발에 대한 것이다. 바이오센서의 측정능력 조사를 위하여, 인공폐수 및 실제폐수가 사용되었다. 폐수 시료의 유입조건은 유입속도 2 mL/min, 유입시간 10분, 유입간격은 50분으로 설정하였고, EAB의 전자수용체로 정전압이 적용된 작업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정전압기 (potentiostat)를 이용하여 +0.7 V를 인가하여 주었다. 인공폐수와 실제폐수를 이용한 BOD 측정의 정확성 분석결과, BOD 변화에 대해 발생전류 역시 비례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각 0.99 및 0.98의 높은 상관계수 (BOD vs. Coulombic yield, $BOD_5$ vs. Coulombic yield)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BOD (혹은 $BOD_5$) 변화에 대한 반응시간은 30분 이내로 확인되어 실시간 측정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EAB 및 3-전극계를 이용한 폐수의 BOD 측정용 센서의 구성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환경용량을 고려한 유역 오염부하삭감량 추정 연구 (An Estimation Study of Watershed Pollution Load Reduction Using Environmental Capacity)

  • 정재성;박영기;김종국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265-1273
    • /
    • 2006
  • 용담댐 저수지에 대하여 목표수질 설정과 오염물질 부하량 추정 및 유량분석을 실시하여 수질의 변화과정을 모의함으로써 환경용량과 오염부하삭감량을 추정하였다. 목표수질은 상수원수 $1{\sim}2$등급, COD $1.0{\sim}3.0$ mg/L와 TP $0.01{\sim}0.03$ mg/L로 설정하고, 용담댐 저수지의 수질모형을 42개 소구획을 가진 WASP5로 구성하고, 보정하여 측정치와 계산치의 상관계수는 BOD 0.73, $PO_4-P$ 0.98이었다. 목표수질 COD 2.0 mg/L와 TP 0.02 mg/L에 대한 환경용량은 연구조건에 따라 BOD $131,880{\sim}4,694$ kg/일, TP $7,855{\sim}167$ kg/일이고, 각 경우의 오염부하 삭감률은 BOD $51{\sim}62%$, TP $47{\sim}67%$로 나타났다. 환경용량은 기존연구보다 작게 추정되었고 삭감부하율은 기존결과들의 중간에 해당하였다. 상수원수 $1{\sim}2$등급의 수질을 연중 달성할 오염부하 삭감률은 기존 연구조건에서 BOD $72{\sim}16%$, TP $78{\sim}36%$이고, 신규 연구조건에서 BOD $81{\sim}44%$, TP $84{\sim}52%$로 나타났다. 기존연구의 삭감량과 비교하면 BOD는 가장 적고 TP는 4개 중 2번째로 적었다. 목표삭감부하량의 소유역별 배분에서 TP는 취수탑 구획에 대한 근접도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나 COD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팔당호 상류의 단위유역별 오염물질 유출특성 분석을 통한 중점관리 오염원 선정 (Determination of Focused Control Pollutant Source by Analysis of Pollutant Delivery Characteristics in Unit Watershed Upper Paldang Lake)

  • 김동우;장미정;한인섭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67-377
    • /
    • 2014
  • 국내 최대 상수원인 팔당호는 하천형 호소로 분류되며, 팔당호 수질은 외부오염원의 영향이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팔당호 상류지역의 오염원 분포와 오염물질 유출특성을 분석하여 BOD와 TP 관리를 위한 중점관리 오염원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1개 단위유역에 대한 오염원별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을 조사하고, 74개 소하천의 수질 유량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유달부하량과 유역면적당 유달부하 밀도를 분석하였다. 오염원별 BOD, TP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 유달부하량을 분석한 결과, BOD 발생부하량은 축산계가 66.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BOD 배출부하량은 생활계가 42.7%를 차지하였으며, BOD 유달부하량은 축산계와 생활계가 각각 36.4%, 34.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P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 유달부하량 모두 축산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각각 82.5%, 44.4%, 46.7%로 나타났다. 또한 BOD 유달부하밀도는 인구밀도가 높은 경안천 유역이 $14.6kg/km^2/d$으로 가장 높았고, TP 유달부하밀도는 가축사육두수가 많은 청미천 유역이 $1.23kg/km^2/d$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팔당호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생활오수와 가축분뇨를 중심으로 오염원관리가 필요하며 경안천 유역은 생활오수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고 남한강 유역, 특히 청미천 유역은 가축분뇨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강우시와 비강우시 BOD 유출 특성 조사 및 원단위 평가 (Characteristics of Biochemical Oxygen Demand Export from Paddy Fields during Storm and Non-storm Period and Evaluation of Unit Load)

  • 최동호;조소현;황태희;김영석;정재운;최우정;박현규;윤광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31-537
    • /
    • 2017
  • The biologic Oxygen Demand (BOD) is a reliable and generally accepted indicator of water pollution by organic pollutants. Accordingly, estimation of BOD export from paddies carries important implications fwith regard to water management in rural areas. In this study, hydrology and BOD concentration were monitored during the period 2008 through 2012,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OD export from paddy fields.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BOD load by rainfall above 50 mm. occupied about 50 % of total load, whereas the load by less than ten mm. rainfall occupied about 29 % of the total load during periods of stormy activity. It therefore seems that it could be possible to reduce the BOD load up to 29 % during storm periods, when drainage control conducted for rainfall less than ten mm.(an amount which is relatively easy to manage). The documented mean loads of storm and non-storm were $17.1kg\;ha^{-1}\;yr^{-1}$ and $11.2kg\;ha^{-1}\;yr^{-1}$, respectively. The BOD load during the significant rainfall period was similar to the renewed unit load by NIER (2014). However, there were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unit load and actual load when the non-storm load was incorporated into the BOD load estimation from paddy fields. In view of the foregoing, it is felt that, the non-storm load needs to be further considered and managed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program.

미호천의 물 환경 탐구 - TOC를 중심으로 한 수질모니터링 - (Inquiry of Water Environment in Mihocheon (Stream) - Water Quality Monitoring focused on TOC -)

  • 류재홍;이두곤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31-739
    • /
    • 2007
  • In this study, water quality monitoring focused on TOC was performed at 5 points in Mihocheon (Stream) from January to December 2006. And 10 parameters (water temperature, pH, DO, EC, turbidity, SS, BOD, $PO_4-P$, TOC, TN) were monitored every month for one year. According to this study, TOC increased towards the lower stream (#4~#5).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OC and DO, EC, turbidity, SS, BOD, $PO_4-P$, TN were -0.126, 0.351, 0.320, 0.286, 0.711, 0.525, 0.666. TOC was highly related to BOD. As a result of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gression equation between BOD and TOC was BOD=0.58TOC+1.90 ($R^2=0.506$). In Mihocheon (Stream), BOD/TOC ratio decreased towards the lower stream. This results show decrease of ratio of biodegradable organic material to total organic pollutants towards the lower stream. This study is significant since it has revealed the potential value of TOC as organic material indicator for inquiry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natural water system.

SWAT 모형의 수문.수질 모듈 개선에 의한 BOD 모의 (A BOD Simulation by Improved Hydrology and Water Quality Module in SWAT)

  • 김남원;신아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2068-20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 유역모형인 SWAT 모형의 한계를 인식하고 유출해석모듈과 하도수질모듈을 개선한 SWAT-K(Korea) 모형이 현재 오염총량관리 대상물질로 지정되어 있는 BOD 모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충주댐유역을 대상으로 각 개선모듈별 BOD 모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유출해석모듈의 개선결과 하도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BOD 항목의 모의 특성 상 유출 구조의 개선에 의하여 BOD 부하량의 지체가 감소되며 첨두 부하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도수질모듈의 개선결과 저유량 시 매개변수 산정에도 불구하고 증가하지 않던 값들이 모형의 개선에 의하여 정상적인 범위로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인 개선에 의하여 각 모듈별 개선효과와 함께 충주댐 지점의 개선 전 후 일대일 비교를 수행한 결과 결정 계수($R^2$)가 0.54에서 0.88로 상승하며 개선 후 모의값이 실측값에 근사하게 모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