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HT

검색결과 610건 처리시간 0.033초

산마늘 발효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세포독성 (Antioxidativ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Fermented Allium victorialis L. Extract)

  • 도은수;장준복;길기정;최명석;양재경;윤충원;정선미;정윤혜;이건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0-39
    • /
    • 2011
  • 산마늘 잎 에탄올추출물을 Steptococcus thermophilus 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항산화활성 및 세포독성을 검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 전에는 2.63 mg/g, 발효 후에는 1.65 mg/g이었으며 발효 후 함량이 감소하였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효 전에는 57.77 mg/g, 발효 후에는 62.27 mg/g으로 발효 후에 증가하였다. 전자공여능은 발효 전에는 82.29%, 발효 후에는 81.40%로 vitamin C (97.71%) 보다 낮았으나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아질산염소거능은 발효전 후 추출물 모두 pH 2.5에서는 BHT 보다는 낮지만 활성이 우수하였고, pH 4.2에서는 발효하지 않았을 때 BHT보다 더 좋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능은 15% 정도로 낮은 효과를 나타냈다. NO 생성능은 발효 전에 오히려 더 많은 NO를 생성하였고 발효 후에는 생성이 억제되었다. 산마늘 추출물이 LP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은 H2O2 처리군에 비하여 발효 여부와 관련 없이 산마늘 추출물처리에 따라 농도가 증가할수록 MDA 함량이 감소하여 LPO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섬유아세포의 생존율은 산마늘 추출물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나 대조구와 차이가 거의 없었다.

Crude Gingerol의 항산화 효과 I. 생강 Gingerol의 열안정성 및 대두유에 대한 농도에 따른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tctivity of Crude GingerolI. Thermal Stability of Gingerol from Ginger and Effect of its Concentration on the Oxidation of Soybean Oil)

  • 백숙은;우상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3-36
    • /
    • 1993
  • 본 실험에서는 생강에서 추출한 crude gingerol의 열 안정성 및 대두유의 산화에 미치는 crude gingerol의 농도에 따른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105^{\circ}C$에서 3시간 가열된 crude gingerol에는 94.5%의 gingerol이 잔존하는 반면, $165^{\circ}C$에서 30분간 가열된 경우에는 10.2%의 gingerol이 잔존하였다. 0.02%, 0.1% 및 0.2%의 crude gingerol이 첨가된 대두유를 $105^{\circ}C$에서 5시간 또는 $165^{\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한 후 $45^{\circ}C$에서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의 변화를 측정하여 crude gingerol의 항산화효과를 BHT와 비교하였다. 0.02%, 0.1% 및 0.2%의 crude gillgerol이 첨가된 대두유를 $105^{\circ}C$에서 5시간 열처리 후 crude gingerol 첨가군은 BHT 첨가군보다 항산화 효과가 높았으며, 이 대두유를 $45^{\circ}C$에 저장하는 경우 crude gingerol의 항산화 효과는 gingero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다. $165^{\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 한 후 $45^{\circ}C$에 저장된 0.02%, 0.1% 및 0.2%의 crude gingerol이 첨가된 대두유에서 crude gingero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항산화 효과가 증가하였다.

  • PDF

Potato Chip 제조시 TBHQ 와 Silicone 첨가유에 의한 저장 연장 효과 (Storage Effectiveness of Deep-Fried Potato Chip Prepared with Canola Oil Fortified with TBHQ and Silicone)

  • 정병두;이순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35-640
    • /
    • 1997
  • Potato chip을 제조시 canola유를 선택하여 potato chip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potato chip의 기름 함량이 40%정도까지 흡수하게 되는데 이 흡수된 기름이 저장과 유통되는 동안 potato chip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항산화제인 BHA, BHT, TBHQ와 silicone유를 첨가한 첨가 유의 항산화제 효과를 관능 검사와 함께 비교 고찰하였다. Potato chips에서 추출한 oil의 항산화제 효과는 canola oil+TBHQ (0.02%)+silicone (10 ppm)에서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있었고 다음은 canola oil+TBHQ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것보다 silicone을 첨가한 것이 탁월한 안정성을 보였고 항산화제로서 TBHQ가 매우 효과가 있었고 silicone를 첨가한 유지에서 탁월한 저장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canola oil은 2개월부터 overall, flavor, aftertaste의 변화에 약간의 유의차를 나타내었으며 TBHQ과 silicone을 첨가한 oil는 2개월에서는 전 항목에서 변화가 없었고 4개월부터 overall, flavor, freshness, aftertaste의 항목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2개월 정도 저장 안정성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 추출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itrus By-Product Ferment Using Bacillus subtilis as Starter Extracts.)

  • 문영건;이경준;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2-14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Bacillus subtilis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의 열수 추출액과 80% 메탄올 추출액을 가지고 항균활성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Table 3)를 살펴보면 우선 열수추출법으로 추출한 시료에서는 추출온도를 $40^{\circ}C$하여 추출한 실험구(Bacillus subtilis 첨가구)와 비교 실험구(Bacillus subtilis 미 첨가구) 20 mg/ml 농도에서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80% 메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시료에 결과(Table 4)를 보면 열수추출법에 의해 추출한 실험 결과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가 있다. 특히 $25^{\circ}C$에서 추출한 실험구에서 항균실험에 이용된 12종의 미생물 모두에서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있다. DPPH method에 의한 radical 소거활성을 보면 열수추출법(Fig. 2)에서는 Bacillus subtilis 이용하여 발효시킨 시료를 $40^{\circ}C$에서 추출하였을 경우 10 mg/ml 농도에서 합성 항산화 제인 BHT보다 높고 BHA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20 mg/ml 농도에서는 BHA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80% methanol(Fig. 3)을 이용하여 Bacillus subtilis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시료를 $25^{\circ}C$에서 추출 할 경우 5 mg/ml 농도에서는 BHT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며, 10 mg/ml에서는 BHA보다 높은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20 mg/ml에서는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 훨씬 높은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가 있다. 2-deoxyribose oxidation method에 의한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보면 열수추출법으로 추출한 시료(Fig. 5)에서는 모든 시료에서 천연 항산화제와 합성 항산화제보다 높은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보이는 시료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시료를 $40^{\circ}C$에서 추출하여 20 mg/ml 농도로 실험하였을 때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Bacillus subtilis로 발효시키지 않은 시료 보다는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80% methanol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료(Fig. 6)에서는 Bacillus subtilis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시료를 $25^{\circ}C$에서 추출 할 경우 5 mg/ml 농도에서 BHT 보다 높은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0 mg/ml의 농도에서는 BHA 보다 높고 천연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20 mg/ml에서는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 보다 훨씬 높은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가 있었다.

붉나무 수피로부터 항산화 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Bark of Rhus javanica Linne)

  • 오지영;최웅;김용석;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26-732
    • /
    • 2003
  •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붉나무 수피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을 팜유와 돈지를 기질로 하여 Rancimat 방법으로 확인하였고,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및 NMR 등을 통하여 물질을 분리, 동정하였다. 또한 이들 분리물을 각종 유지에 첨가하여 상업용 항산화제와 그 활성을 비교하였다. 붉나무 수피로 부터 80% 메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얻은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과 추출 수율이 높았고 용매 분획시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돈지와 팜유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붉나무 수피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회분 R18-9-3-2-4-2가 단일물질로 분리되었고 이 물질의 AI는 돈지와 팜유에서 각각 13.01과 3.06으로 매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단일물질로 분리된 R18-9-3-2-4-2는 $^1H-NMR,\;^{13}C-NMR$에 의해 methyl gallate로 동정되었으며, $^1H-NMR,\;^{13}C-NMR$ 분석 결과 methyl gallate 표준물질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획분 R18-9-3-2-4-2과 methyl gallate(authentic)는 ${\alpha}-,\;{\delta}-tocopherol$, BHA, BHT보다 돈지와 팜유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붉나무 수피 에탄올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에서 분리한 물질은 현재 항산화제로 사용 중인 BHA, BHT, tocopherol 보다 그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새로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되었다.

마늘 분쇄물의 대두유에 대한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Shred garlic on Soybean Oil)

  • 강민정;서종권;이수정;차지영;성낙주;신정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45-651
    • /
    • 2008
  • 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마늘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자 대두유에 생마늘, 찐마늘 및 흑마늘 분쇄물을 농도별로 가하여 $60^{\circ}C$에 저장하면서 유지의 산패 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유지의 색도가 높아졌으며, anisidine value는 저장 14일에 급격히 증가하여 저장 28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산가는 생마늘과 찐마늘 첨가구에서는 시료의 첨가 농도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흑마늘의 경우는 저장 14일 이후부터는 시료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산가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과산화물가는 ${\alpha}$-tocopherol이나 BHT 첨가군에 비하여 마늘 분쇄물 첨가군에서 더 낮아 마늘 분쇄물이 과산화물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BA 값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시료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생성억제 효과가 더 컸는데 저장 28일에 대조군(335.63)에 비해 찐마늘 5 g/100 g 농도(336.97)를 제외한 모든 시료의 TBA 값이 더 낮아 TBA 생성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40 g/100 g의 농도에서는 BHT보다 더 효과적으로 산패를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말뚝버섯 자실체의 항산화, 항콜린에스테라제 및 염증 저해 활성 (Antioxidant, anti-cholinesterase, and inflammation inhibitory activities of fruiting bodies of Phallus impudicus var. impudicus L.)

  • 윤기남;이태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52-16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말뚝버섯의 자실체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cholinesterase 저해 및 항염증 효과를 탐색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hydroxyl radical 소거능, 철 이온 제거능 및 환원력 등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 hydroxyl radical 소거능 및 환원력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에 비해 낮았으나 실험에 시용한 2.0 m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철 이온 제거능은 BHT에 비해 높게 나타나서 다른 종류의 식의약용 버섯에 비해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치매환자의 기억력 감퇴와 관련된 acetylcholinesterase와 butyrylcholinesterase의 저해실험에서 말뚝버섯 자실체의 메탄올 추출물은 실험에 사용한 전 농도 범위에서 양성대조군인 galanthamine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지만 1.0 m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In vitro 항염증 실험에서 RAW 264.7 대식세포에 서로 다른 농도의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후 염증 유발물질인 LPS를 처리하여 RAW 264.7 세포가 생성한 NO의 양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의 NO 농도가 LPS만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처리한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성된 NO의 양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또한 in vivo 항염증 실험에서 먼저 각기 다른 농도의 메탄올 추출물을 생쥐의 뒷발에 주사한 후 추가로 기염제인 carrageenan을 주사하여 흰쥐 뒷발에 유도된 부종 (edema)이 추출물에 의해 저해되는 정도와 염증 치료제로 처방되는 indomethacin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흰쥐에 주사한 말뚝버섯 자실체의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흰쥐 뒷발에 유도된 부종의 용적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어 말뚝버섯 자실체에는 염증을 저해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말뚝버섯 자실체의 메탄올 추출물에는 항산화, acetylcholinesterase과 butyrylcholinesterase의 저해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유용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앞으로 의약용 기초 소재로서의 이용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용매별 옻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 박현실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77-682
    • /
    • 2011
  • This study explore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s of Rhus verniciflua were $4.32{\pm}0.17$ mg/100 g and $0.16{\pm}0.02$ mg/100 g, respectively. Electron-donating abil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concentration, and ethyl acetate extract ($95.4{\pm}0.4%$) showed higher activity than that of BHT ($93.3{\pm}1.7%$) at a concentration of 1,000 ${\mu}L$/mL. Reducing power of the solvent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was the highest in ethyl acetate extract ($2.45{\pm}0.03$) at a concentration of 1,000 ${\mu}L$/mL.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he solvent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pH 1.2, 1,000 ${\mu}L$/mL) was the highest in ethyl acetate extract ($95.5{\pm}0.7%$). Therefore, ethyl acetate extract from Rhus verniciflua has similar antioxidant activity as that of BHT.

합성항산화제 항Thiamin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Antithiamin Activities of Synthetic Antioxidants)

  • 한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0-314
    • /
    • 1997
  • Antithiamin activities of BHA, BHT, PG and TBHQ of synthetic antioxidants on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was determined by means of HPLC. The influence of synthetic antioxidants on the degration of thiamin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temperature and pH. The degradation of thiamin was considerably more rapid at pH 7 than pH 4. The influence on the heat of synthetic antioxidants at pH 4 and 38* was extremely slight, but the degradation of thiamin at pH 7 was much more rapid at 60* than at 38*. After 24 hours of incubation both PG and TBHQ at pH 7 and 60* nearly completely destroyed thiamin. Tests of antithiamin activities showed that TBHQ, which was decomposed completely in 72 hours, was more effective than PG at pH 7 and 38* but BHA and BHT hardly had antithiamin activities which was evaluated under various reactions of pH and temperature. Thiamin degradation, at pH 7 and 6$0^{\circ}C$, wa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PG. When the ratio of PG to thiamin was increased from 0.15:1 to 2:1, the degradation rate also increased. However, the change between ratio of 1:1 and 2:1 was negligi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