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K

검색결과 1,450건 처리시간 0.031초

이중관 구조 하악 임플랜트 피개의치의 응력 분포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분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on Telescopic System for Mandibular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 오정란;우이형;이성복;백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59-371
    • /
    • 2008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하악의 동일한 부위에 4개의 임플랜트를 식립하여 임플랜트 피개의치를 설계하는 경우, 바 구조와 이중관 구조 간의 응력분포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하악골, 하악골에 식립한 4개의 임플랜트, 일차고정의 바 연결 상부구조, 이차고정의 이중관 상부구조를 삼차원 유한요소 모델링하였고, 상부 구조물에 최대 교두 감합위를 재현하는 수직하중과 측방운동시 작업측의 군기능을 재현하는 경사하중을 가하고, 최대 응력과 응력분포를 하악골, 임플랜트 지대주, 임플랜트 상부 구조물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1. 악골에서의 최대 응력값은 경사하중을 제외하고 수직하중과 작업측 경사하중에서 이중관 구조가 바 구조에 비해 다소 적은 응력값을 보였다. 이중관 구조가 바 구조에 비해 비교적 악골 전체에 고르게 응력이 분포되었다. 2. 지대주에서는 모든 하중 조건에서 이중관 구조가 바 구조에 비해 낮은 응력값을 보였다. 응력 분포 양상은 두 구조에서 모두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최후방 지대주의 원심면에 응력이 집중되었다. 3. 상부구조물에서는 모든 하중 조건에서 이중관 구조가 바 구조에 비해 높은 응력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바 구조에서는 바의 각 중심부와 지대주와의 연결부위, 지대주의 치경부에 응력이 집중된 반면, 이중관 구조에서는 상부 구조물 전체에 비교적 고른 응력 분포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이중관 구조가 바 구조보다 악골과 지대주에서는 더 낮은 응력을, 상부 구조물에서는 더 큰 응력을 나타냈다. 상부 구조물에 비교적 크게 전달되는 응력을 견딜 수 있는 상부구조물의 설계와 재료 선택만 이루진다면, 응력분포 면에서 이차고정을 하는 이중관 구조가 일차 고정하는 바 구조에 비해 유리하리라 생각된다.

알칼리금속과 알칼리 토금속 촉매 담지 대나무 활성탄의 NO 가스 반응 특성 (Kinetics of Nitric Oxide Reduction with Alkali Metal and Alkali Earth Metal Impregnated Bamboo Activated Carbon)

  • 박영철;최주홍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5호
    • /
    • pp.671-677
    • /
    • 2016
  • 대나무를 원료로 탄화 및 활성화온도 $900^{\circ}C$에서 대나무 활성탄을 만들고, 이 대나무 활성탄에 알칼리 금속(Na, K)과 알칼리토금속(Ca, Mg)을 담지 시켜 알칼리 담지 대나무활성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알칼리 담지 활성탄의 비표면적 및 세공분포 등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폐 대나무활성탄의 재활용을 위하여 알칼리 담지 대나무활성탄과 NO 기체의 반응 특성 실험을 열중량분석기를 사용하여 비등온반응(반응온도 $20{\sim}850^{\circ}C$, NO 농도 0.1 kPa)과 등온반응(반응온도 600, 650, 700, 750, 800, $850^{\circ}C$, NO 농도 0.1~1.8 kPa) 조건에서 하였다. 실험 결과, 대나무 활성탄 특성 분석에서 알칼리 담지 대나무 활성탄에서는 알칼리 담지량이 증가할수록 세공 부피와 표면적이 감소하였다. 비등온과 등온 NO 반응에서는 전체적으로 Ca금속담지 대나무활성탄[BA(Ca)]과 Na금속담지 대나무활성탄[BA(Na)], K금속담지 대나무활성탄[BA(K)], Mg금속담지 대나무활성탄[BA(Mg)]이 대나무활성탄[BA]에 비하여 반응속도가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BA(Ca)> BA(Na)> BA(K)> BA(Mg)> BA 순으로 촉매 활성이 유효하였다. NO 반응에서의 활성화에너지는 82.87 kJ/mol[BA], 37.85 kJ/mol[BA(Na)], 69.98 kJ/mol[BA(K)], 33.43 kJ/mol[BA(Ca)], 88.90 kJ/mol[BA(Mg)]로 나타났고, NO 분압에 대한 반응차수는 0.76[BA], 0.63[BA(Na)], 0.77[BA(K)], 0.42[BA(Ca)], 0.30[BA(Mg)]이었다.

우리나라 표고의 생장(生長), 부후특성(腐朽特性) 및 톱밥배양(培養)에 관(關)한 연구(硏究) (Growth and Rotting Characteristics of Lentinus edodes Isolates in Korea and Their Adaptability to Bag-Culture Using Oak Sawdust)

  • 박원철;이은영;윤갑희;이원규;이창근;홍기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12-19
    • /
    • 1994
  • 우리나라와 외국에서 수집(蒐集) 및 교잡(交雜)을 하여 얻은 91개의 표고(Lentinus edodes) 균주(菌株)를 공시(供試)하여 균사생장력(菌絲生長力), 부후력(腐朽力) 및 톱밥배지(培地)에서의 배양특성(培養特性) 등을 구명(究明)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온성(高溫性), 중온성(中溫性) 및 저온성(低溫性) 균주(菌株)의 PDA배지와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톱밥배지(培地)에서의 균사생장력 및 부후력은 온도형간(溫度型間)에 별차이(別差異)가 없었으나, 톱밥배지에서의 버섯발생량(發生量)은 고온성 균주들이 월등(越等)히 높았다. 또한, 같은 계통(系統)에 속하는 균주들간에도 버섯발생량의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총 91개 균주의 톱밥재배 결과, FRI 221, FRI 208 및 FRI 169가 수확량(收穫量)과 품질(品質)이 우수(優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kg 배지당(培地當) 각각 157g, 152g 및 119g의 버섯 발생량을 보였다. 3. 톱밥배지의 조성(組成)을 여러 가지로 시도(試圖)한 바 버섯발생량에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으며, 2.5kg배지에서의 발생량은 1kg배지의 약 2.5배를 보여 배지무게에 비례(比例)하였다. 또한, 배양기간(培養期間)에 따라 발생량이 달랐는데, 100여일(餘日)이 가장 좋았다. 4. 균사생장력, 부후력, 버섯발생량 및 버섯정형율간(正形率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 PDA배지 및 생장력은 톱밥배지에서의 생장력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며, PDA 및 톱밥배지에서의 생장력은 버섯발생량과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 PDF

치료계획시스템에서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의 영상융합 재현성 및 선량평가 (CT and MRI image fusion reproducibility and dose assessment on Treatment planning system)

  • 안병혁;최재혁;황재웅;박지연;이두현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3-41
    • /
    • 2017
  • 목 적: 종양에는 최대한의 선량을 부여하고 주변의 정상조직에는 최소한의 선량이 조사되도록 부작용을 줄이는 목적으로 방사선 치료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치료계획 및 치료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방사선 치료 시 CT(Computed tomography)와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영상의 융합은 종양에 선량을 전달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계획 시 자체 제작한 팬톰을 이용하여 CT와 MRI영상들의 융합을 통해 영상의 재현성 및 유용성을 평가하고 획득한 영상에서 타겟 선량을 비교, 분석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자체 제작한 팬톰을 이용하여 CT 촬영을 하고, 자장의 세기가 다른 1.5T 와 3.0T의 MRI 촬영을 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CT 촬영을 한 팬톰의 영상과 각기 다른 자장의 세기로 촬영한 팬톰의 MRI영상에서 팬톰 내에 존재하는 작은 홀의 크기 및 용적의 재현성을 비교하고, 임의의 타겟에서 선량 변화를 비교, 분석한다. 결 과: 13개의 작은 홀 직경은 CT 촬영에서 최대 31 mm, 최소 27.54 mm를 나타냈으며, 실제 제작한 것과 비교하여 평균 29.28 mm 1 % 이내로 측정되었다. 1.5T MRI 퓨전 영상에서는 최대 31.65 mm, 최소 24.3 mm를 나타냈으며, 평균 28.8 mm 1 % 이내로 측정되었다. 3.0T MRI 퓨전 영상에서는 최대 30.2 mm, 최소 27.92 mm를 나타냈으며, 평균 29.41 mm 1.3 % 이내로 측정되었다. 타겟의 조사된 선량변화는 CT에서 95.9-102.1 %, CT-1.5T MRI 퓨전영상에서 93.1-101.4 %, CT-3.0T MRI 퓨전영상에서는 96-102 %의 선량변화를 보였다. 결 론: CT 및 MRI는 영상획득 시 다른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또한 인체의 장기는 각기 다른 밀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영상 획득 시 이미지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정확한 영상의 묘사는 타겟의 용적범위 및 선량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확한 타겟의 용적과 위치는 불필요한 선량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며, 치료계획 시 오차를 방지할 수 있다. 즉 CT와 MRI 영상이 가지고 있는 영상 표출 알고리즘의 장점을 이용하여 치료계획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 PDF

MIA 유도 골관절염 랫드에 Natural Eggshell Membrane (NEM)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tural eggshell membrane (NEM) on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arthritis in rats)

  • 심부용;박지원;이해진;전지애;최학주;권창주;김화영;;;김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4호
    • /
    • pp.310-318
    • /
    • 2015
  • 본 연구는 난각막 추출물 (NEM)이 골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골관절염 유발 인자에 대한 예방과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인 6주령의 랫드에 NEM을 골관절염 유발 2주전부터 농도별 (52 mg/kg, 200 mg/kg, 400 mg/kg)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2주간의 경구 투여 실시 후 정상군 (normal)을 제외한 대조군과 NEM 경구 투여군에게 3.0 mg/mL의 농도로 MIA를 주사하여 골관절염을 유발하였다. 골관절염 유발 후 4주간 경구 투여를 지속적으로 실시한 후 혈액 및 관절, 조직 등을 이용하여 골관절염 유발 인자들을 확인하였다. NO 생성량은 NEM 200, 400 (mg/kg)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PGE_2$ 생성량은 모든 농도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사이토카인 IL-$1{\beta}$와 IL-6 생성량은 IL-$1{\beta}$에서는 모든 농도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으나, IL-6에서는 400 mg/kg 농도에서만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hs-CRP 생성량은 모든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MMPs 생성량과 $LTB_4$ 생성량을 모든 농도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COMP 및 CTX-II 검사를 통해 골관절염의 진행 억제에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관절과 연골을 micro-CT 및 조직 염색을 실시한 결과, NEM 경구 투여군은 연골량 및 관절 조직의 변형, 연골세포의 손상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손상이 적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NEM은 농도 의존적으로 골관절염 유발 인자를 감소시켜 관절 및 연골에 효능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NEM이 골관절염에 대한 예방과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대둔산 도립공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in Mt. Daedun Provincial Park Area, Korea)

  • 박진선;김상준;정수영;황희숙;박기쁨;신현탁;윤정원;이준우;허태임;안종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45-468
    • /
    • 2018
  • 본 연구는 충청남도 논산시, 금산군과 전라북도 완주군의 경계에 위치한 대둔산 도립공원 지역의 관속식물의 분포조사를 수행하고자 실시하였다. 현지조사는 2016년 5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총 9회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총 95과 278속 388종 3아종 38변종 5품종 43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그 중 특산식물은 닥나무, 할미밀망, 은꿩의다리 등 11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LC등급 너도바람꽃, 태백제비꽃, 미치광이풀 등 5분류군, DD등급 토현삼 1분류군까지 총 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5분류군으로 V 등급과 IV 등급은 확인되지 않았고, III 등급 너도바람꽃, 노각나무, 단풍나무 등 9분류군, II 등급 속새, 돌양지꽃, 노랑제비꽃 등 7분류군, I 등급 관중, 개비자나무, 참느릅나무 등 19분류군이 각각 조사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은 애기수영, 미국자리공, 흰명아주 등 12과 30속 34종 3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도시화지수는 10.6%, 귀화율은 7.7%로 각각 나타났다.

곡릉천 생태계의 오염부하량과 계절에 따른 자정능의 변화 (Pollutant Loading and Changes of the Self - Purification Capacity with Season in Gokneung Stream Ecosystem)

  • 이선경;심규철;김재영;김준민;장남기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3호
    • /
    • pp.355-366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하천 생태계가 갖고 있는 오염에 대한 자정작용의 본질과 오염부하량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곡릉천에서의 계절에 따른 수질의 변화와 자정작용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하천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곡릉천 유역의 육상생태계의 식생조사 결과 하천의 주변 삼림에는 주로 참나무종류(Quercus sp.)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산등성이 부근에는 소나무(Pinus densiflora)가 우점하고 있었다. 이화학적 수질조사에서 수온 및 pH는 지소별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DO는 가장 상류인 일자꿀부근(지점1)이 낮았고, 하류로 내려올수록 높아져 청운산장 부근(지점5)이 가장 높았다. 평균 BOD는 지점 1이 7.23mg/l로 가장 높았고, 지점 5가 가장 낮았다. 지점 1에서의 전기전도도는 179.9${\mu}$s/cm, 총 인의 양은0.040mg/l로 높고, 지점5가 낮았다. 수서곤충의 출현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조사에서는 지점1에서는 오염수역의 지표종인 복족류와 깔다구류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지점 4,5에서는 청정수역의 지표종인 하루살이류(Eprorus latifolium), 날도래류(Hydropsyche sp.) 및 플라나리아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생물 오탁지수에 의한 수질 판정에 의하면 지점 1,2는 ${\beta}$-중부수성, 지점 3,4,5는 빈부수성 수역으로 나타났다. BOD를 근거로 한 곡릉천의 자정계수는 지점1과 지점2사이의 구간이 1.013으로 가장 높았고, 전체적으로는 추계인 9월이 0.995로 동계인 1월(0.272)에 비해 높았다. 이로부터 상류인 지점1에서 인간의 영향으로 오염되었던 물이 아래로 내려갈수록 자정되어 청정해짐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자정작용은 동계와 하계에 비해 춘계와 추계레 더 크게 일어남을 알 수 있다.mall sleeve long coat, belt , boots as an official dress. 2) the soldiers wore helmet, scarf, yangdang-kap , hung-kap, bak-kap, we-yo-kap, kun-kap and jok-kap and carries arms. 3) The young boys bind his hair up one, two and three angle shape an tied up a hair ribbons. 나) Women's wear : 1. Hair Style and hair dress : high rank ladies made their hair top knot (one, two, or more knots) and tied with hair ribbons , and decorated with precious stone, pan shape head dress , wheel shape head dress. 2. Clothes ; 1) high rank ladie's wore kun -kyun attached jacket , and jacket sleeves decorated pleats and pleats decorated on skirt, apron, back apron, knot belt, scarf.d with gold and silver developed into Kumdongkwan(금동관). The Kwanmo which is similar to Kumkwan (금관) of Baekje and Shilla has been shown in Kaimachong (가마총) 무 dJumdongkwan(금동관) was excavated in the ancient tombs of Kokuryo.것을 볼 수있다. 단순하면서 우주공간을 선회하는 듯한 입체적인 라인,

  • PDF

일부 중학생의 손씻기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andwash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 장윤정;나백주;김건엽;배석환;김철웅;김은영;이무식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22
    • /
    • 2007
  •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andwash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handwashing training of the students and help them to form a healthy habit. Methods: Data was collected by a standardiz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etween Sep. 20 to Oct. 6 2006 with a total of 710 students in 1, 2, 3 grades at 6 middle schools in metropolitan cities(490 students from four schools situated in an urban center, 220 from 2 in a suburban district). The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employing many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chi-square($x^2$) test, t-test, ANOVA analysis with post hoc test, correlations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tal number of handwashing tim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s 6.69 per day. 66.1% of the students used soap and most of the students washed hands for $6{\sim}10$ seconds(44.7%). Second, in the knowledge of handwashing, "both of the parents"(p<0.01), "catholic", "city"(p<0.05) were the highest and the practice of handwashing was active with "city", "high economic level"(p<0.05) and "both of the parents"(p<0.01). In the experience of teaching handwashing, "Yes" was 24.3%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handwashing knowledge(p<0.05), attitude and practice(p<0.01). Third, in the correlation of handwash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y between handwashing attitude and knowledge(p<0.01)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knowledge(.534). The practice of handwashing has meaningful difference from the knowledge and the attitude an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shows positive co-relation in knowledge(.335) and attitude(0525). Fourth, based on the result for regression analysis with handwash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s dependent variables, handwashing knowledg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y with sex, type of school(p<0.05) and residential area(p<0.01). There were also statistical significancy between handwashing attitude and knowledge(p<0.01) and between handwashing practice and religion, knowledge(p<0.05) and economic level, attitude(p<0.01). Conclusion: There were consistent results with handwash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f they had better knowledge, their attitude was more positive and if they had better knowledge and more positive attitude, their practice was active.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the students who learned about handwash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tudents who had no experience of learning handwashing. To enhance handwashing habi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handwashing environment should be maintained. The training plans should also be made according to sex, type of school, economic level, residential area, and the consistent study on handwashing training is required.

무스카리 'Early Giant' 잎 절편 유래 캘러스 배양을 통한 고빈도 체세포배 발생 (High frequency somatic embryogenesis through leaf explant-derived callus culture in Muscari armeniacum cv. 'Early Giant')

  • 이향분;전수민;정미영;한증술;김창길;임기병;정재동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1호
    • /
    • pp.69-74
    • /
    • 2012
  •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단자엽 구근 화훼작물인 무스카리($Muscari$ $armeniacum$ Leichtl. Ex Bak.) 'Early Giant' 품종의 캘러스를 재료로 체세포배발생을 통한 기내 대량증식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잎 절편을 1-naphthalene acetic acid(NAA), 2,4-dichlorophenoxyacetic acid(2,4-D) 등 오옥신이 0.1~3.0 $mg{\cdot}L^{-1}$ 첨가된 배지에 배양하여 모든 배지에서 부드러운 엷은 연두색 캘러스를 고빈도로 유기하였지만 유기된 캘러스를 동일한 조성의 배지로 이식하였을 때 2,4-D, 4-amino-3,5,6-tri-chloropicolinic acid(picloram) 및 3,6-dichloro-o-anisic acid (dicamba) 첨가배지에서만 증식이 양호하게 이루어졌다. 비록 체세포배발생의 빈도가 캘러스의 기원과 배발생 유도 배지의 식물생장조절제 조성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했지만 식물생장조절제 무첨가 배지를 비롯하여 $N^6$-Benzylaminopurine (BAP) 등 다양한 시토키닌과 NAA 0.01 $mg{\cdot}L^{-1}$가 혼용된 배지에서 체세포배가 유기되었다. 무스카리 잎 절편을 picloram 0.1 $mg{\cdot}L^{-1}$ 배지에 치상하여 캘러스를 유기하고 동일한 배지로 이식하여 증식한 후 NAA 0.01 $mg{\cdot}L^{-1}$와 BAP 0.5 $mg{\cdot}L^{-1}$ 혼용배지로 이식했을 때 최고빈도인 캘러스 덩어리당 9.3개의 체세포배를 획득할 수 있었다. 또한 무스카리 체세포배는 구형, 편심장형, 편어뢰형, 초기 자엽형, 중기 자엽형, 후기 자엽형, 초기 맹아형, 중기 맹아형 및 후기 맹아형배 등 총 9단계로 그 외형이 뚜렷이 구분되었다.

콘빔CT (CBCT)를 이용한 온라인 영상유도방사선치료 (On-line Image Guided Radiation Therapy) (On-line Image Guided Radiation Therapy using Cone-Beam CT (CBCT))

  • 박진호;정경근;금기창;박석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294-299
    • /
    • 2006
  • 목 적: 방사선치료에서 콘빔CT (cone beam computeriz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방사선치료 시 환자의 위치를 모의치료 시 위치와 비교하고 보정함으로서, 온라인 영상유도방사선치료(on-line image guided radiation therapy, on-line IGRT)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기존의 모의치료, 치료계획 후 환자의 피부에 표시된 표시점에 가속기를 조준하여 방사선 치료를 수행하는 과정에 비해 개선되는 점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8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의 방사선 치료와 마찬가지로 모의치료, 치료계획 후 방사선치료를 위해 치료 테이블 위에 환자를 셋업한다. 이때 환자 피부에 표시된 표시점에 치료실의 레이저에 일치시킨 후, 콘빔CT를 이용한 영상을 얻는다. 콘빔CT (CBCT) 영상과 모의치료(simulation) 시 얻은 CT 영상을 이미지 퓨전을 이용한 비교를 통하여, 치료실에서 현재 환자의 위치와 모의치료 및 치료계획 시 환자의 위치에 대한 변위 벡터(displacement vector)를 산출한다. 이때 산출된 변위벡터만큼 환자의 테이블을 이동한 후, 방사선 치료를 수행한다. 수정된 위치에서 치료 후 KV X-ray (OBI 시스템)를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한다. 결 과: 콘빔CT에 의해 셋업 오차로 주어진 변위 벡터의 방향 크기는 두경부 환자인 Pt. A와 Pt. B에서 평균은 각각 0.19 cm, 0.18 cm이며, 표준편차는 각각 0.15 cm, 0.21 cm이다. 반면 골반부 환자인 Pt. C에서 평균과 표준편차는 0.37 cm와 0.1 cm였다. 결 론: 콘빔CT를 이용한 온라인 영상유도방사선치료(on-line IGRT)를 통하여, 기존의 방사선치료 과정에 존재할 수 있는 셋업 오차를 보정할 수 있었다. 온라인 영상유도방사선치료에 의해 향상된 정확도는 단순한 대항조사야 치료뿐 아니라, 복잡한 모양의 표적 용적(target volume)과 급격한 선량 변화를 갖는 3차원 입체조형치료 및 세기조절방사선 치료에서 더욱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