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16F1 melanoma cell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123초

화종에 따른 국내산 벌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산화방지능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elanogenic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s of Korean domestic honeys from different floral sources)

  • 정하람;백영수;김대옥;이형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60-664
    • /
    • 2018
  • 본 연구에서 이용한 피나무 꿀, 헛개나무 꿀, 밤나무 꿀의 EAF는 마누카 꿀 EAF 보다 높은 산화방지능 및 타이로시네이스 억제능을 보였다. 특히 밤나무 꿀의 EAF는 양성대조군인 고지산에 버금가는 타이로시네이스 억제능을 보였다. 5가지 화종 유래 꿀의 EAF ($100{\mu}g/mL$) 처리시 B16F1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은 밤나무 꿀>헛개나무 꿀>마누카 꿀>피나무 꿀>아카시아 꿀의 순서대로 낮아졌다. B16F1 세포 내 타이로시네이스의 효소활성 억제의 경우 5종류 꿀 EAF 중에서 밤나무 꿀 EAF ($100{\mu}g/mL$) 처리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화종의 국내산 꿀에 대한 생리활성소재 탐색을 통하여 산화방지능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백활성 소재로서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산업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이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의 멜라닌합성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s of Myelophycus simplex Papenfuss Methanol Extract on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 김향숙;천지민;권다혜;최은옥;김민주;최영현;김병우;황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4-38
    • /
    • 2017
  • 본 연구는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이 천연 미백 소재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멜라닌 함량, 세포 내 tyrosinase 활성 측정 및 단백질 발현 실험이 수행되었다.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MTT assay를 통해 세포 생존율 및 증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500{\mu}g/mL$ 농도까지를 실험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B16F10 melanoma cell의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alpha}-MSH$만 처리한 경우 뚜렷하게 증가하였고,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을 100, 300, $500{\mu}g/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한 결과 ${\alpha}-MSH$만을 처리한 것과 비교해 27%, 41%, 59%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Tyrosinase 활성도 마찬가지로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을 100, 300, $500{\mu}g/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한 결과 ${\alpha}-MSH$만을 처리한 것과 비교해 18%, 49%, 61%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이 멜라닌 합성 관련 단백질 발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으로 미백관련 전사인자인 MITF, TRP-1, TRP-2, tyrosinase 발현을 조사하였다. ${\alpha}-MSH$를 단독 처리한 경우에 각 단백질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바위수염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500{\mu}g/mL$의 농도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바위수염 추출물은 멜라닌 생합성에 있어서 상위신호단계에 있는 전사인자 MITF의 활성을 억제한다고 보고, 향후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항산화 활성과 Melanoma 세포에서 멜라닌조절에 대한 Oenanthe javanica 에탄올 추출액의 효과 (Effect of Oenanthe javanica Ethanolic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Melanoma Cells)

  • 권은정;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428-143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melanocyte (B16F1)에서 quercetin과 kaempferol을 포함하는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OJE)의 멜라닌 합성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OJE가 세포수준에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 농도의 OJE 존재 하에서 B16F1세포를 배양하였다. 현재 연구에서 DPPH radical scavenging, reducing power, lipid peroxidation 및 DNA oxidation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는 cell free system에서 평가되었다. 더욱이 멜라닌 생성에 대한 OJE 효과는 dopaquinone (DOPA) assay 및 tyrosinase 활성으로 결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superoxide dismutase (SOD)-1, -2, glutathione reductase (GSH)와 같은 항산화 효소 및 tyrosinase의 단백질발현이 western blot 분석을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OJE는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fenton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hydroxyl radical에 의하여 유발되는 DNA 산화를 보호하였다. OJE는 50 ${\mu}g/ml$ 이상에서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켰고 tyrosinase 활성도 50 ${\mu}g/ml$에서 검출되었다. Western blot 분석에서는 OJE가 농도에 비례하여 tyrosinase SOD-1, -2 및 GSH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발견들은 항산화 효과를 가진 OJE가 melanocyte에서 tyrosinase 활성과 melanin 생성을 조절할 수 있어 피부를 산화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미강·황칠 발효추출물이 B16F10 세포의 미백에 미치는 효과 (Study of Fermentation Extract Made from Rice Bran and Dendropanax on the Whitening Effects in B16F10 Cell Line)

  • 최찬헌;안정은;정현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01-30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whitening effects of fermentation extract made from the Rice bran and Dendropanax(FRD) Fermentation conditions were as follows; 1) Dendropanaxand and Rice bran were blended in a ratio of 1 to 1, 2) a weight of sugar was 10% of the total weight, 3) an amount of enzyme was 0.1%, and 4) a temperature was 20℃. It has been fermented for 90 days. In order to observe the whitening effects of FRD, the author measured the cell viability and the inhibition rate of the melanin biosynthesis, the activity of tyrosinase and SOD (superoxide dismutase) in malignant melanoma, B16F10 cells. As a result, FRD significantly inhibited the cell viability of B16F10 in more than 500 ㎍/㎖. FRD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generation of melanin, and that induced by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in more than 1,000 ㎍/㎖. FR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ctivity of tyrosinase and that induced by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in more than 500 ㎍/㎖. FRD did not changed the activity of SOD in dose dependent manner. Therefore, the author considered that the fermentation extract made from a Rice bran and Dendropanax will be able to produce high value-added products, if used as a commercial. Therefore, the author considered that the fermentation extract made from a Rice bran and Dendropanax will be able to produce high value-added products, if used as a commercial.

당귀와 구기자 에탄올 추출물의 피부 미백작용 (Skin Whitening Effects of Extracts from Angelicae Gigantis Radix and Lycii fructus Ethanol Extracts)

  • 황성연;이정탁;김영욱;김홍준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1-98
    • /
    • 2013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ynergistic effect of Angelicae gigantis Radix (AG) and Lycii fructus (LF) ethanol extracts on skin-whitening effects. Method : LFAG extracts were prepared by extracting with 80% ethanol. The efficacy of LFAG was judged by measurement of cell viability, tyrosinase activity, melanin production, tyrosinase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expression in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by lipopolysaccharides (LPS) treatment. Results : Each extract (LF or AG) inhibited the tyrosin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co-treatment of LFAG extracts ($25{\mu}g/mL$ LF plus $25{\mu}g/mL$ AG) markedly suppressed the LPS-induced cellular tyrosine activity, melanin production, tyrosinase and MMP-1 expression in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These suppressive effects were synergistically increased by their combination. Conclusions : With these observations, we suggest that the extracts from Lycii fructus and Angelica gigantis Radix could be potent natural materials for whitening skin.

Anti-Melanogenic Activities of Ranunculus chinensis Bunge via ERK1/2-Mediated MITF Downregulation

  • Min-Jin Kim;Yong Tae Jeong;Buyng Su Hwang;Yong Hwang;Dae Won Jeong;Yeong Taek Oh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04-712
    • /
    • 2022
  • Research on whitening materials using natural alternatives is actively being conduc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 vitro inhibitory effects of Ranunculus chinensis Bunge (RCB) on melanogenesis and associated enzymes, such as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1, and TRP-2 in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We found that RCB extract significantly attenuated melanin synthesis and reduced the activity of intracellular tyrosinase, a rate-limiting melanogenic enzyme.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RCB extract de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TRP-1. In addition, i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a key regulator of melanogenesis.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activation has been reported to be involved in the inhibition of melanogenesis. Thus, we investigated whether the hypopigmentary effects of RCB extract were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ERK. RCB extract induced ERK phosphoryl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it markedly inhibited body pigmentation in a zebrafish model. Our results suggest that RCB extract inhibits melanogenesis by activating ERK pathway-mediated suppression of MITF and its downstream target genes, including tyrosinase. Therefore, RCB extract can be used as a whitening agent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s.

차가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Inonotus obliquus methanol extract)

  • 국민희;김동하;이찬;정은선;최은재;이재성;이태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9-10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항암제와 면역 조절제로 널리 사용되는 차가버섯을 피부 미백제로 이용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멜라닌생성 저해 효과와 자외선 차단 작용과 관련된 여러 실험을 수행하였다. 메탄올을 이용해 차가버섯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물질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31.85 mg/g과 28.33 mg/g으로 측정되었다. B16/F10 melanoma와 NIH3T3 세포주에 추출물의 농도를 10~500 ${\mu}g/mL$으로 처리한 세포생존율 시험에서 시험 세포주의 52% 이상이 생존하여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금속이온 제거능 등의 항산화 시험에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양성대조군인 tocopherol이나 BHT에 비해 낮았으나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항산화 활성은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멜라닌 합성의 초기단계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와 L-DOPA에 차가버섯 메탄올 추출물과 양성대조군인 kojic acid와 arbutin을 각각 직접 처리하고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은 양성 대조군인 kojic acid 및 arbutin에 비해 저해 효과가 매우 낮았다. B16/F10 Melanoma 세포에 추출물과 arbutin을 처리하고 세포내 티로시나아제의 저해 활성을 조사한 결과, 100 ${\mu}g/mL$의 농도에서 추출물은 68.59%, arbutin은 58.36%의 활성이 저해되어 메탄올 추출물이 arbutin에 비해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이 약 10% 높았다. 또한, B16/F10 melanoma 세포에 차가버섯 추출물과 arbutin을 처리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과 arbutin을 처리한 모든 군에서 생성된 멜라닌의 양은 유사하였으며,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생성된 멜라닌의 양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차가버섯 메탄올 추출물은 세포 밖에서 직접 티로시나아제를 저해하는 작용은 양성 대조군에비해 매우 낮았으나 melanoma 세포내에서 티로시나아제와 멜라닌의 생성을 양성대조군과 대등하게 저해하여 피부에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차가버섯 메탄올 추출물을 200-400 nm 파장에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 280-350 nm의 자외선 영역에서 흡광도가 높아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성 누에 실샘 가수분해물의 미백 및 항노화 효과 (Whitening and Anti-aging Activities of Soluble Silkworm Gland Hydrolysate)

  • 정지혜;황정욱;김호진;차현명;김동일;최용수
    • KSBB Journal
    • /
    • 제28권3호
    • /
    • pp.196-201
    • /
    • 2013
  • Silkworm-derived silk materials which contain 45 to 55% protein (18 amino acids, including 8 essential amino acids) hav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whitening and anti-aging effects of silkworm gland under various conditions with B16F1 melanoma cells and human dermal fibroblasts. To evaluate the toxicity of soluble gland hydrolysate (SGH), mouse-derived B16F1 melanoma cells were treated with 0.2~5 mg/mL, cytotoxicity was not observed at all concentrations. The tyrosinase and elast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dosage levels of SGH increased. In addition, cell death was decreased by treated with SGH and antioxidative activity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SGH treat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GH may be used as a potential functional biomaterial in having the skin whitening effect and anti-aging activity by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elastase activities.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세포 항산화 활성과 미백활성 측정 (Cellular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af Extracts)

  • 박수아;박준;박찬일;지영종;황윤찬;김용현;전소하;이혜미;하지훈;김경진;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07-41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HaCaT 세포에서의 항산화 활성과 B16F1 melanoma 세포에서의 미백활성을 측정하였다. HaCaT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은 각각 50 및 $25{\mu}g/ml$의 농도 이하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UVB $800mJ/cm^2$를 HaCaT 세포에 조사하였을 때, 황칠나무 잎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자외선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였다. 10 mM의 $H_2O_2$$4{\mu}M$의 rose bengal을 HaCaT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6.25{\sim}50{\mu}g/ml$) 및 아글리콘 분획($6.25{\sim}25{\mu}g/ml$)은 우수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B16F1 melanoma 세포에서의 미백활성을 측정한 결과, 미백제로 알려진 알부틴 보다 더 우수한 멜라닌 합성 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황칠나무 잎 추출물이 ROS에 대항하여 세포를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세포보호제 및 천연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르키며, ${\alpha}$-MSH로 유도된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로부터 황칠나무 잎 추출물이 새로운 미백 화장품의 원료로써 이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치자 열매 추출물의 Tyrosinase 효소활성 저해 및 Melanogenesis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Gardenia Fruit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 곽정훈;김용해;장해룡;박철우;한영환
    • KSBB Journal
    • /
    • 제19권6호
    • /
    • pp.437-440
    • /
    • 2004
  • 치자 열매 추출물로부터 미백제 개발을 위해 항산화, 항균, 항암 등 생리활성을 가지는 치자로부터 tyrosinase 효소활성 저해와 B16F10 melanoma cell을 이용한 melanogenesis 억제 효과를 실험하였다. Tyrosine을 기질로 사용하여 ethanol,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용매 및 증류수 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 효소 저해활성을 실험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 ($81.5{\pm}1.6\%$)이 증류수 추출물 ($62.7{\pm}0.4\%$)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tyrosinase 효소활성 저해율은 다른 유기용매 분획물보다 현저히 우수한 $99.7{\pm}0.1\%$나타내었으며, 현재 tyrosinase 저해제로 개발된 arbutin ($97.8{\pm}1.2\%$)과 유사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B16F10 melanoma cell을 이용한 melanogenesis 억제 효과에서도 에탄올 추출물이 증류수 추출물보다 우수한 억제활성을 보여 주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을 사용하였을 경우, melanogenesis 억제 효과가 다른 분획물보다 현저히 우수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치자 추출물의 미백원료로서 사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