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16 mouse melanoma

Search Result 188,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세신추출물이 α-MSH 자극에 의한 B16F10 세포의 멜라닌생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f Inhibitory Mechanism on Melanogenesis by Partially Purified Asiasari radix in α-MSH Stimulated B16F10 Melanoma Cells)

  • 장지연;김하늬;김유리;김병우;최영현;최병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17-1624
    • /
    • 2010
  • $\alpha$-MSH는 세포내 cAMP를 증폭시켜 멜라닌세포의 증식과 색소 증가에 관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alpha$-MSH로 자극한 B16F10 세포에서 세신추출물의 hypopigmenting 효과를 조사하고 그 억제기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세신추출물은 $\alpha$-MSH에 의해 유도된 tyrosinase 활성과 멜라닌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켰으며, 이는 tyrosinase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MITF의 발현억제와 연관성이 있었다. 즉 세신추출물은 MEK/ERK와 PI3K/Akt의 활성화를 통하여 MITF를 조절함으로서 $\alpha$-MSH에 의해 유도되는 tyrosinase, TRP-1, Dct 등 멜라닌생성관련 단백질을 억제함으로서 멜라닌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마우스 동종 줄기세포 유래 수지상 세포를 이용한 백신의 흑색종 폐암 전이 모델에서의 항암 효과 및 기전 연구 (Anti-cancer Effect of Hematopoietic Stem Cell-derived Allogeneic-DC Vaccine in Melanoma Metastasis Model)

  • 김명주;손혜진;백소영;이강은;이영준;이현아
    • IMMUNE NETWORK
    • /
    • 제6권3호
    • /
    • pp.154-162
    • /
    • 2006
  • Background: Dendritic cell (DC)-based cancer immunotherapy is studied for several years. However, it is mainly derived from autologous PBMC or leukapheresis from patient, which has limitations about yield and ability of DC produ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statu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nquiries about allogeneic DCs are performed but there are no preclinical trial answers for effect or toxicity of allogeneic DC to use for clinical trial.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nti-tumor effect of allogeneic and autologous DCs from mouse bone marrow stem cells in mouse metastatic melanoma model. Methods: B16F10 melanoma cells ($5{\times}10^4$/mouse) were injected intravenously into the C57BL/6 mouse. Therapeutic DCs were differentiated from autologous (C57BL/6: CDC) or allogeneic (B6C3F1: BDC) bone marrow stem cells with GM-CSF, SCF and IL-4 for 13days and pulsed with B16F10 tumor cell lysate (Blys) for 18hrs. DC intra-peritoneal injections began on the 8th day after the tumor cell injection by twice with one week interval. Results: Anti-tumor response was observed by DC treatment without any toxicity especially in allogeneic DC treated mice (tumor burden score: $2.667{\pm}0.184,\;2.500{\pm}0.463,\;2.000{\pm}0.286,\;1.500{\pm}0.286,\;1.667 {\pm}0.297$ for saline, CDC/unpulsed-DC: U-DC, CDC/Blys-DC, BDC/U-DC and BDC/Blys-DC, respectively). IFN-${\gamma}$ secre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ogeneic DC group stimulated with B16F10 cell lysate ($2,643.3{\pm}5,89.7,\;8,561.5{\pm}2,204.9.\;6,901.2{\pm}141.1pg/1{\times}10^6$ cells for saline, BDC/U-DC and BDC/Blys-DC, respectively) with increased NK cell activity. Conclusion: Conclusively, promising data was obtained that allogeneic DC can be used for DC-based cancer immunotherapy.

수종의 버섯 추출물이 티로시나아제 프로모터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ushroom Extracts on Tyrosinase Promoter)

  • 진종언;이혜성;김관천
    • 환경위생공학
    • /
    • 제21권3호
    • /
    • pp.1-8
    • /
    • 2006
  • To estimate the inhibitory effect of some mushroom extract on melanin biosynthesis, we tested its inhibitory effects of five mushroom extracts on tyrosinase promoter in Bl6 mouse melanoma cells. In five mushroom extracts, Cordyceps militaris and Poria cocos exhibited low repression effect on tyrosinase promoter. However, Ganoderma lucidum, Paecilomyces japonicus, Phellinus linteus showed high repression effect, Especially, Paecilomyces japonicus and Phellinus linteus extracts had very higher repression effect approximately $81{\sim}83%\;at\;100{\mu}g/mL$. In the MTT assay, Paecilomyces japonicus and Phellinus linteus extracts exhibited high cytotoxicity. Therefore, repression effect of the extracts were closely connected with cytotoxicity.

한약재 12종의 열수추출물이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에 의해 유도된 B16F10 흑색종 세포의 멜라닌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queous Extracts from Twelve Herbs on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induced Melanogenesis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

  • 이수진;최영현;이용태;최병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271-1274
    • /
    • 2006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s from twelve medical herbs on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lpha}$-MSH)-induced melanogenesis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 The cells were incubated with ${\alpha}$-MSH and aqueous extracts 5 days and 2 days and then analysed melanin amount and tyrosinase activities, respectively. Nine aqueous extract of herbs examined at 1 mg/m${\ell}$ level decreased melanin synthesis in B16F10 cell, especially in Agastache rugosa, Leonurus siviricus and Murus bombycis. The significant decrease of released extracellular melanin were also observed in treated cells with aqueous extract from Leonurus siviricus, Murus bombycis and Ledebouriella seseioides. The ${\alpha}$-MSH-induced activation of tyrosinase was inhibited in cells treated with aqueous extract from Cuscutae semen, Angelica tenuissima and Agastache rugosa.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rbs inhibiting melanogenesis through tyrosinase activity may apply to develop whitening drugs and cosmetics.

Development of Vaccinium uliginosum L. extracts for whitening & anti-wrinkle functional food

  • Choung Se-Youn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1-148
    • /
    • 2005
  • This study is pe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Vaccinium uliginosum L., on melanin production in B 16 melanoma cells, procollagen product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 inhibition in human fibroblast cells. One hundred grams of the Vaccinium uliginosum L. was extracted with 2000 mL of water($90^{\circ}C$, 16h, 2times). The water extracts were lyophilized and stored at $4^{\circ}C$ until used. Dry weight yields of extracts of Vaccinium uliginosum L. were $3\%$(w/w). Extracts from Vaccinium uliginosum L. showed scavenger activities on DPPH radical, superoxide anion radical, hyd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and singlet oxygen radical. And these substances inhibited release of cyiokines from human keratinocyte after UV B exposure. Therefore we confirmed that extracts from Vaccinium uliginosum L. had antioxidative effect. These substances inhibited purifi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B 16 melanoma cells treated/untreated IL-$1{\alpha}$. Moreover this extract stimulated procollagen production and inhibited MMP-1 production in human fibroblast cells treated/untreated IL-$1{\beta}$. Therefore we confirmed that extracts from Vaccinium uliginosum L. had whitening effect. And these substances decreased degree of wrinkle in hairless mouse skin that induced by UV B irradiation. Therefore we confirmed that extracts from Vaccinium uliginosum L. had anti-wrinkle effect.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possible that Vaccinium uliginosum L. may be developed to be an anti-melanogenesis agent and anti-wrinkle agent.

  • PDF

목단피 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억제효과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Paeonia suffruticosa Water Extract)

  • 유진균;정미자;김대중;서동주;박정해;김태우;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92-296
    • /
    • 2009
  • Tyrosinase는 피부의 melanocytes에서 멜라닌 생성을 촉진한다. 목단피의 미백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목단피 물추출물의 항산화 능력과 tyrosinase 활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 모델계와 a cell-free 모델계에서 알아보았다. MDP의 라디칼 소거작용은 DPPH assay로 알아보았고, MDP는 높은 DPPH 라디칼 소거작용을 보여주었다. 세포내 tyrosinase 활성은 RT-PCR, 효소활성을 마우스 B16 세포내에서 측정함으로써 알아보았다. 24시간 목단피 물 추출물을 투여한 세포내에서 tyrosinase mRNA와 효소활성이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항산화력이 높고, tyrosinase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목단피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melanin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미백 화장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균사체 배양액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 (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by Mycelial Culture Broth of Paecilomyces japonica in the Mulberry)

  • 박상상;류영배;이영훈;조용운;조수정;최영주;박기훈;갈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6호통권86호
    • /
    • pp.816-821
    • /
    • 2007
  • 본 연구는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의 in vivo, in vitro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은 10~50%의 농도 의존적으로 시험관 내에서 멜라닌 합성관련 효소활성의 저해를 나타냈다. 뽕잎 추출물 자체는 mouse melanoma cell (B16BL6)에 대한 세포독성을 보였으며 IC$_{50}$%값이 약 7% 농도로 나타난 반면,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 균사체배양액은 50% 농도에서도 어떠한 세포독성도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B16BL6 mouse melanoma cell의 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에 대해서도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은 세포에 대한 독성이 전혀 없으며, 멜라닌 생합성 저해 작용이 우수하여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확인 되었다.

한국산 사과식초에서 분리한 다당의 면역 및 항전이 활성 (Immunomodulatory and anti-metastatic activities of a crude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Korean apple vinegar)

  • 김한울;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52-159
    • /
    • 2019
  • 전통발효식초에 속하는 사과식초로부터 에탄올 및 증류수를 이용, 다당체를 분리하여 새로운 면역활성 물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과식초를 농축하고, 80% 에탄올을 가하여 침전물을 얻었으며 소량에 물에 용해하여 투석 및 동결건조를 거쳐 조다당 KAV-0를 얻었다. 구성당 분석 결과, KAV-0는 주로 mannose 38.2%, galactose 19.1% 및 glucose 14.3%로 구성되어있음을 확인하였고, 정상세포주(RAW 264.7 세포 및 대식세포) 및 종양세포주(B16-BL6 melanoma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 측정 결과, 직접적인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대식세포 유래 세포주인 RAW 264.7 세포 자극에 대한 사이토카인 및 산화질소 생산능을 측정한 결과, IL-6, $TNF-{\alpha}$ 및 산화질소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분비능이 증가하고 저농도에서도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마우스 복강유래 대식세포 자극에 대한 사이토카인 및 산화질소 생산능에서도 동일한 양상의 결과를 보여 사과식초 유래 조다당 KAV-0가 높은 대식세포 활성능을 소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KAV-0의 정맥투여에 따른 NK 세포 활성화를 측정한 결과(ex vivo), 시료에 의해 활성화된 NK 세포는 Yac-1 종양 세포주에 대한 치사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진시켰으며, $1,000{\mu}g/mouse$에서 월등히 우수한 NK 세포 활성능을 유도하였다. 또한, B16-BL6 melanoma를 이용한 폐암전이모델에서 KAV-0를 정맥투여한 뒤 항전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암 저해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1,000{\mu}g/mouse$에서는 약 53%의 우수한 암전이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사과식초 유래 조다당 KAV-0는 인체의 면역계를 자극하여 우수한 면역활성 및 항전이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건강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최종 판단되었다.

효소(Protopectinase) 처리한 대두가 세포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ybean Protopectinase on Melanin Biosynthesis)

  • 유진균;이진희;조형용;김정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55-3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효소처리 한 대두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PPH 및 hydroxyl radical 포착활성을 측정하였고, 멜라닌 생성의 첫 단계인 tyrosinase 활성, mouse melanoma B16BL6 세포 생존율 및 TRP-1, TRP-2 발현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기계적 마쇄 가공한 대두추출물과 효소처리 가공한 대두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효소처리 한 대두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hydroxyl radical 소거능이 마쇄처리 한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특히 효소처리군이 마쇄군에 비하여 20% 이상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마쇄군에 비하여 효소처리군이 tyrosinase와 TRP-1, TRP-2의 더 높은 활성 억제능을 보였다. 이는 대두가 B16BL6 melanoma 세포의 tyrosinase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하는 동시에 효소처리에 의하여 대두의 영양소의 손실이 더 적었음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효소처리에 의한 대두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정공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Sorbus commixta HEDL Cortex Extract)

  • 김태혁;유진균;김정미;백종미;김현숙;박정해;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418-142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정공피 물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 효능을 검증하였고, 멜라닌 생성의 첫 단계인 tyrosinase 활성, mouse melanoma B16BL6 세포 생존율 및 TRP-1, TRP-2 mRNA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정공피 물추출물은 DPPH 및 hydroxy 라디칼 소거 작용을 통하여 높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고, tyrosinase, TRP-1, TRP-2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공피 물 추출물이 직접적으로 B16BL6 melanoma 세포의 tyrosinase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정공피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