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 subtilis ATCC6633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초

Bacillus subtilis ATCC6633이 Bacillus subtilis cx1의 박테리오신 생산에 미치는 유도효과 (Enhancement of Bacteriocin Production by Bacillus subtilis cx1 in the Presence of Bacillus subtilis ATCC6633)

  • 장미;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1-227
    • /
    • 2006
  • 박테리오신 BSCX1은 Bacillus subtilis cx1에 의해 생산되는 항균성 peptide이다. B. subtilis cx1의 박테리오신(BSCX1)은 Bacilius subtilis ATCC6633, Listeria monocytogenes KCTC3569를 포함한 그람양성균과 Salmonella typhi ATCC19430, Escherichia coli ATCC25922와 같은 그람음성균에 대해서도 비교적 넓은 항균활성 범위를 가진다. 박테리오신 생산균주인 B. subtilis cx1과 그것의 감수성 균주인 B. subtilis ATCC6633을 공동 배양한 결과, 박테리오신 BSCX1의 생산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는 박테리오신 생산균주 B. subtilis cx1의 성장 배지내에 박테리오신 감수성 균주가 존재함이 BSCX1 생산을 촉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감수성 균주의 박테리오신 유도 작용을 확인하였으므로 유도물질이 감수성 균주의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 밝히기 위해 B. subtilis ATCC6633을 분획하여 실험한 결과 세포내 분획과 세포파쇄물에 모두 유도물질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BSCX1 유도물질의 유도활성은 pH 2.5에서 pH 9.5에 걸쳐 전 구간에서 유지되었으며, $50^{\circ}C$이상에서는 3시간 이내에 불활성화 되었다. 유도물질에 단백분해효소인 proteinase K를 처리한 결과 유도활성이 사라져 단백질성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Investigation of Surface and Hemolytic Activities of a Lipopeptide Biosurfactant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ATCC 6633

  • Dehghan-Noudeh Gholamreza;Housaindokht Mohammadreza;Bazzaz Bibi Sedigeh Fazly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3권3호
    • /
    • pp.272-276
    • /
    • 2005
  • Bacillus subtilis ATCC 6633 was grown in BHIB medium supplemented with $Mn^{2+}$ for 96 h at $37^{\circ}C$ in a shaker incubator. After removing the microbial biomass, a lipopeptide biosurfactant was extracted from the supernatant. Its structure was established by chemical and spectroscopy methods. The structure was confirmed by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ydrophile-Lipophile Balance (HLB), surface activity and erythrocyte hemolytic capacity.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and erythrocyte hemolytic capacity of the biosurfactant were compared to those of surfactants such as SDS, BC (benzalkonium chloride), TTAB (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and HTAB (hex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The maximum hemolytic effect for all surfactants mentioned was observed at concentrations above cmc. The maximum hemolytic effect of synthetic surfactants was more than that of the biosurfactant produced by B. subtilis ATCC 6633. Therefore, biosurfactant would be considered a suitable surface-active agent due to low toxicity to the membrane.

신규베타락탐계 항생제 합성과 항균성

  • 고옥현;김경수;하재천;고봉석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71-171
    • /
    • 1994
  • Cephem ring의 C-7위치에 aminothiazoly lmethoxyimino기를 가진 화합물들이 항균활성을 증가시키고, G(-)균의 외막투과성을 촉진시킬뿐 아니라 광범위항균 spectrum을 갖게 하고 $\beta$-lactamase에 안정하며 PBP(penicillin binding protein)에 대한 결합친화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에 따라 본 저자는 C-7위치에 cefotaxime구조와 같이 aminothiazolylmethoxyimino acetamido moiety를 고정시키고 항균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약리활성이 기대되는 5-(substituted)-2H-tetrazole유도체들을 합성하여 C-3 위치에 도입시킨 새로운 화합물 7$\beta$-〔(z)-2-(2-aminothiazol-4-yl)-2_(methoxyimino)acetamido〕-3-〔5-(substituted)tetrazol-2-yl〕 methyl-3-cephem-4-carboxylic acid 유도체를 합성하여 B. subtilis ATCC 6633, M. luteus ATCC 1004, E. coli KCTC 1039, E. coli ESS, K. pncumonia KCTC 1560, P. aeruginosa IF0 13130, S. typhimurium KCTC 1925, S. typhimurium SL 1102, 및 C. albicans ATCC 10231 등의 균과 fungus에 대하여 기존의 cefotaxime과 cefazoline을 대조물질로 사용하여 항균력을 비교하였다. 이들 화합물들은 대체적으로 M. luteus ATCC 6633, E. coli ESS, S. typhimurium SL 1102 균에 대해서는 cefotaxime보다 항균력이 우수하였으나 P. aeruginosa IF0 13130에 대해서는 항균력이 저하되었고 cefazolin보다는 대체적으로 항균력이 우수하였다.

  • PDF

토양으로부터 항균물질 생성균 및 감수성 균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gent Producing Microorganisms and Sensitive Strain from Soil)

  • 장해춘;김수인;김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26-533
    • /
    • 1999
  • Two species of antimicrobial agent producing bacteria and one sensitive strain were isolated from soil. Those were identified as B. subtilis, B. licheniformis, and Curtobacterium sp. by morphological, biochemical, physiological and chemotaxonomic characteristics. These were designated as B. subtilis cx1, B. licheniformis cy2 and Curtobacterium sp. cf3, respectively. Antimicrobial agent produced by B. subtilis cx1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 positive bacteria including of B. subtilis, Curtobacterium sp., L. mesenteroids, Staphy. aureus, S. faecalis and even gram negative bacteria, P. aeruginosa. Antimicrobial agent from B. licheniformis cy2 showed slightly lower antimi crobial activity than that from B. subtilis cx1. These two strains showed maximum production of antimicrobial agents at 30oC for 9~21hr cultivation. Curtobacterium sp. cf3 showed more sensitive activity than a sensitive strain of B. subtilis ATCC 6633 which was same genus or species with the B. subtilis cx1 and B. subtilis cy2, when the antimicrobial agent producing strains, B. subtilis cx1 and B. subtilis cy2, were directly applied onto these sensitive lawns.

  • PDF

식품 내의 잔류 항생제에 대한 미생물학적 간이검사법의 평가 및 개선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Bioassay for Residual Antibiotics in Foods)

  • 박민희;김태운;조남욱;정지윤;이순호;이종옥;김해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60-365
    • /
    • 2008
  • 식품 내의 잔류 항생물질의 검사는 주로 미생물의 생육 억제 여부를 통한 생물학적인 분석을 이용한다. 이러한 방법은 여러 가지 계열의 항생제들에 대한 미생물의 민감성을 토대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미생물들로는 동물용의약품으로 허가되어 식용동물에 사용되고 있는 점점 다양해지는 항생제 및 합성항균제를 식품에서 모두 검출할 수는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검출 가능한 항생제 및 합성항균제 계열의 범위를 확대하고, 각 약품별 감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법들을 조사하였다. B. megaterium ATCC 9885, B. subtilis ATCC 6633, B. cereus ATCC l1778 and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B. stearothermophilus) ATCC 10149를 사용한 검사의 민감성은 macrolides, quinolones와 monensin, chloramphenicol에 대한 검출 감도가 낮았다. 반면에 M. luteus(K. rhizophila) ATCC 9341는 macrolides에 대한 높은 검출 감도를 나타냈고, E. coli ATCC l1303는 quinolones와 aminoglycosides에 대한 높은 민감성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두 균주의 추가로 검출가능한 항생제 및 합성항균제의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검출감도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

Antibacterial Activity of Bioconverted Linoleic Acid Produced by Pseudomonas aeruginosa PR3

  • Shin, Seung-Young;Bajpai, Vivek K.;Hou, Ching T.;Choi, Ung-Kyu;Kim, Hak-Ryul;Kang, Sun-Chul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167-169
    • /
    • 2005
  • Crude extract of bioconverted linoleic acid using Pseudomonas aeruginosa PR3 was evaluated for it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Crude extract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ur Gram-positive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S. aureus (KCTC 1916),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66), and Bacillus subtilis (ATCC 6633), and one Gramnegative bacterium, Pseudomonas aeruginosa (KCTC 2004), with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ranging from 750 to $1,500\;{\mu}g{\cdot}ml^{-1}$. S. aureus and B. subtilis were selected for growth inhibition assays with bioconverted linoleic acid. Major antibacterial effects occurred at lag phase.

The Syntehsi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me 1,4-Naphthoquinones (II)

  • Ryu, Chung-Kyu;Kim, Dong-Hy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263-268
    • /
    • 1992
  • In order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effect of 2, 3-disubstitued-1, 4-naphtoquinone derivatives we newly synthesized several 2-bromo-3-(substituted)-1, 4 naphthoquninones. Amination reaction of 2, 3-dihalo-1, 4 naphthoquinones with aryl and aliphatic amines in ethanol gave 2-halo-3-(N-alkyl or N-aryl)1, 4-naphtoquinone derivatives (1a, b-10a, b) i 60% 90%) yield. These derivatives subjected to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in vitro, against Bacilllus subtilis ATCC 6633 Candida albicans 10231 and local, Psudomonas aeruginosa NCTC10490,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Escherichia coli NIHJ Aspergillus niger KCTC 1231, Tricophyton mentagrophytes KCTC 6085. Among these derivatives 1b, 6b and 7a showed the potent antibacterial activities 1b, 8b and 9b have derivatives, 1b, 6b and 7a showed the potent antibacterial activities. 1b, 8b and 9b have the antifungal activities. 1b is most effective in preventing the growth of Bacillus subtilis and Ps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Aspergillus niger. Tricophyton mentagrophytes. The several of these compounds demonstrated a broad spectrum of activities in vitro.

  • PDF

오골계 난백에서 분리한 Lysozyme의 항균작용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Lysozyme Isolated from the Egg White of Ogol Fowl)

  • 오홍록;배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4-370
    • /
    • 1987
  • 한국 재래종 오골계(천연기념물 265호)의 난백으로부터 직접결정법에 의하여 lysozyme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1 % lysozyme의 Staphylococcus aureus 57, Bacillus subtilis ATCC 6633과 Escherichia coli NIHJ-JC2에 대한 항균력을 육즙 배지 속에서 lysozyme 단독으로, 또는 몇 개의 항균성 물질들과 조합하여 배양한 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lysozyme은 공시된 모든 세균에 대하여 뚜렷한 세균의 증식억제효과(약 $12{\sim}16%$를 나타내었고, 항균성 물질들과 조합하여 측정한 증식억제상의 상승효과는 S. aureus에 대해서는 0.001% magnolol과 0.001% honokiol과의 조합에서 높았고(각각 22%와 14%), E. coli에 대해서는 0.0005% erythromycin, honokiol, magnolol 그리고 phospholipase(0.005%)의 순(각각 상승효과 26,22,17,6%)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B. subtilis에 대해서는 오직 erythromycin과의 조합에서만 상승효과가 관찰되었고, 그 수준(52%)도 매우 높았다.

  • PDF

식육중의 잔류 항생.항균제의 검정에 관한 연구(I) -생물학적 검정법-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Residual Antibiotics and synthetic antibacterial agents in Meat(I) -Microbiological Assay-)

  • 류재천;송윤선;박종세;장준식;신보승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8
    • /
    • 1993
  • 육류중에 잔류하는 항생물질 및 항균제를 검출하기 위해 본 실험에서는 3종의 균주 Bacillus subtilis ATCC 6633, Micrococcus luteus ATCC 9341, BAcillus cereus var. mycoides ATCC 11778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시료의 clean-up은 항생·항균제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고려하여 우선 McIlvaine buffer를 가하여 homogenize하고 hexane으로 defatting 시킨 후, chloroform으로 추출한 액과 Sep-Pak C18과 Bakerbond SPE carboxylic acid column에 흡착시킨 후 추출한 액을 각각 시험용액 A, B, C,로 하였다. 각 test solution을 paper disk를 사용하여 함균 배지에 올려놓고 overnight culture 후 inhibition pattern을 통해 여러 종류의 항생·항균제를 계통적으로 검출하였다. 본 실험에서 macrolide계와 tetracycline계 등은 0.1ppm 이하의 detection limit을 보였으며, penicillinrP는 0.001ppm이하의 높은 detection limit을 나타내므로서 시료중에 잔류하는 극미량까지도 검출할 수 있었다. 본 방법은 식육중의 잔류 항생·항균제를 동시에 간단하게 계통적으로 분류하는데 있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되며 항생·항균제의 체계적인 1차 screening 수단으로서 유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 PDF

식중독균에 대한 신갈나무 잎 추출물과 유기산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Quercus mongolica Leaf Ethanol Extract and Organic Acids against Food-borne microorganisms)

  • 공영준;박부길;오덕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8-183
    • /
    • 2001
  • 신갈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력은 추출 온도별로는 $60^{\circ}C$에서 추출시 $30^{\circ}C$$90^{\circ}C$에 추출하는 것보다 약간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추출 용매별로는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가 물 또는 메탄올 추출물보다 대체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신갈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은 그람양성균인 B. cereus, S. aureus 그리고 L. monocytogenes균에 대하여 $62.5{\sim}125\;{\mu}g/mL$ 범위에서 최소저해농도를 나타내었으나 그람음성균인 S. typhimurium과 P. aeruginosa 균은 $250\;{\mu}g/mL$, E. coli O157:H7 균에 대하여는 $500\;{\mu}g/mL$ 이상에서 최소저해농도를 나타내었다. B. subtilis ATCC 6633균과 L. monocytogenes ATCC 19111균에 대한 젖산, 구연산, 초산 및 신갈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두균모두 각각 2,500, 5,000, 1,250 및 $125\;{\mu}g/mL$이었으며 이들의 병용처리시 B. subtilis ATCC 6633균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L. monocytogenes ATCC 19111균에 대하여는 상승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각각의 sub-lethal 농도에서 E. coli O157:H7 0019균에 대한 신갈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과 유기산들과의 병용처리시 두 물질간에는 상승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