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C oil

검색결과 530건 처리시간 0.029초

난연도료의 도포 두께별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each Coating Thickness of Fire Retardant Paints)

  • 김홍;박형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6-4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동구 및 트레이에 설치된 케이블의 화재시 화염전파를 막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수성 및 유성계 난연도료의 도포 두께별 연소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기밀도(ASTM E 662)와 산소지수 (ASTM D 2863) 시험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난연도료의 연소특성은 다음과 같다. (a) 난연도료의 최적 두께는 수성계의 경우 1.5∼2mm, 유성계의 경우 0.2mm 것으로 나타났다. (b) 연기밀도는 Non-flaming방식보다 Flaming방식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c) 연기밀도와 산소지수를 측정한 결과 수성계 난연도료가 유성계 난연도료 보다 연소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d)수성 및 유성계 난연도료의 산소지수가 규격(30이상)에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Allelopathic Effects of Artemisia lavandulaefolia

  • Kil, B.S.;Han, D.M.;Lee, C.H.;Kim, Y.S.;Yun, K.Y.;Yoo, H.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2호
    • /
    • pp.149-155
    • /
    • 2000
  • The allelopathic effects of Artemisia lavandulaefolia were studied using several test plants and microbes. Aqueous extracts and volatile compounds of A. lavandulaefolia inhibited seed germination, seedling and root growth of the test species such as Achyranthes japonica. Lactuca sativ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Oenothera odorata, Plantago asiatica. Aster yomena, Elsholtzia ciliata, and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The root growth of test species was more affected than shoot growth by allelochemicals of A. lavandulaefolia. Essential oil of A. lavandulaefolia had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effects. However,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was dependent upon the microbial species and concentrations. Callus growth of Oryza sativa,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pekinensis and Achyranthes japonica was sensitive by the essential oil of A. lavandulaefolia. Twenty three chemicals were identified from A. lavandulaefolia essential oil by gas chromatography. Primary allelochemicals among them were 1, 8-cineole, 1-$\alpha$-terpineol, $\alpha$-terpinene. camphor, 2-buten-1-ol and azulene. We concluded that aqueous extract and essential oil of A. lavandulaefolia were responsible for allelopathic effects.

  • PD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Dracocephalum foetidum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 Lee, Saet-Byoul;Cha, Kwang-Hyun;Kim, Su-Nam;Altantsetseg, Shataryn;Shatar, Sanduin;Sarangerel, Oidovsambuu;Nho, Chu-W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1호
    • /
    • pp.53-57
    • /
    • 2007
  • A number of essential oils from Mongolian aromatic plants are claimed to have antimicrobial activities. The essential oil of Dracocephalum foetidum, a popular essential oil used in Mongolian traditional medicine, was examined for its antimicrobial activity. Eight human pathogenic microorganisms including B. subtilis, S. aureus, M. lutens, E. hirae, S. mutans, E. coli, C. albicans, and S. cerevisiae were examined. The essential oil of Dracocephalum foetidum exhibit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ost of the pathogenic bacteria and yeast strains that were tested; by both the agar diffusion method and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ssay ($MIC\;range\;was\;26-2592{\mu}g/ml$). Interestingly, Dracocephalum foetidum even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ethici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strains. We also analyz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oil by GC-MS and identified several major components, including n-Mentha-1,8-dien-10-al, limonene, geranial, and neral.

대두유, 면실유 및 미강유로 튀긴약과의 저장성에 관한 연구 (Stability and Flavor of Yackwa Fried in Soybean, Cottonseed and Ricebran Oils)

  • 한명주;이영경;배은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35-340
    • /
    • 199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soybean oil(SO), cottonseed oil(CO) and ricebran oil(RO) on stability and flavor of yackwa. This study consisted of yackwa fried in 3 differnet oils, then stored for 0, 3, 6 weeks in normal wrap at room temp. or vaccum package at $4^{\circ}C$. The moisture, oil contents, Hunter color values(L, 'a' and 'b'), % free fatty acid(FFA), thiobarbituric acid(TBA) value and sensory scores for color, flavor and acceptability were analyzed. The foam height of the oil after frying was also determined. Yackwa fried in RO was more red('a'=11.43) than yackwa fried in SO(10.64) or CO(10.51). TBA value of yackwa showed no difference among frying oils. Yackwa fried in SO showed better acceptability than those fried in CO. Yackwa fried in RO showed similar acceptability to yackwa fried in SO. The % FFA and TBA value of yackwa averaged across oil and package showed increasing tendency during 6 weeks storage.

  • PDF

참기름 첨가에 의한 어유 보강 에멀젼의 클로로필에 의한 광산화 개선 효과와 산화 방지제 함량 변화 (Improvement of Chlorophyll-photosensitized Oxidation of Fish Oil-enriched Emulsion by Sesame Oil Addition and Antioxidant Content Changes)

  • 안소진;이 에드월드;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7-134
    • /
    • 2014
  • 참치유 보강 에멀젼에 첨가된 참기름은 클로로필의 존재 하에 $25^{\circ}C$, 1,700 lux의 빛에서 에멀젼 유지의 광산화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참기름의 첨가는 에멀젼의 광산화 중 산성 조건에서 클로로필로부터 전환된 페오피틴의 분해속도를 낮추어 일중항산소 생성이 많았을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일중항산소와 라디칼 소거능을 가진 인지방질, 토코페롤, 폴리페놀 화합물을 제공함으로써 참치유 보강 에멀젼 유지의 산화안정성을 개선하였으며 인지방질, 토코페롤에 비해 폴리페놀 화합물이 더 큰 영향을 주었다. 리그난 화합물은 에멀젼의 광산화 중 변화를 보이지 않아 물리적 기전에 의한 일중항산소 소거 작용을 암시하였다.

한국음식에서 참깨와 참기름의 전통적 이용 (A Study of Use of Sesame and Sesame Oil in Traditional Korean Cuisine)

  • 한복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7-151
    • /
    • 2005
  • It is estimated that sesame spread to Korea about B.C.1000 years and people cultivated sesame and ate sesame-oil age of three-nations. In the Koryo dynasty, sesame was cultivated as the major crop and there were specialists for making sesame oil. The sesame oil was enough for the both upper and lower classes. In the Chosun dynasty, it was introduced widely the method of sesame and deul-sesame (Perilla japonica) cultivation, the way of keeping sesame oil, and how to make sesame oil. Also, there were several ways of making sesame oil; press oil from raw sesame, or from roasting, boiling, and steaming sesame and etc. Even though sesame-oil and sesames were consumed in large quantities to cook Chan (찬 side dishes) and Byung-gwa (병과 Korean traditional dessert), most of common people could not use freely because it was expensive. You-mil-gwa (유밀과) took always a major dishes in the ceremony or party of the royal classes to the ordinary classes in the Chosun dynasty. Sesames and Sesame-oil made a major role in adding flavor to Chan-mul and Coookies in the Korean traditional cuisine. Especially, sesame-oil was consumed a lot to cook You-mil-gwa, You-kwa (유과), You-jeon-byung (유전병 fried rice cake) and Yak-bab (약밥). Roasted sesame and black sesame were used to cook Da-sik (다식), Gang-jung, and rice cake. Sesame oil and sesame was the major part of vegetable dishes such as Na-mul and it was used to add flavor to steamed, roasted and, pan-fried dishes and to roast, fry, and stew food. Heuk-im-ja-jook(black sesame porridge) and Im-ja-su-soup(임자수탕).

  • PDF

산성백토를 이용한 저온압착 유채유의 탈색 평가 (Bleaching of cold-pressed rapeseed oil using activated clay)

  • 이영화;박원;이태성;김광수;장영석;이경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60-567
    • /
    • 2016
  • 최근 건강기능성 식용유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저온압착(cold-pressing) 유채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저온압착 유채유는 정제유에 비해 기름 고유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성백토를 이용한 저온압착 유채유의 탈색과정에서 산성백토의 첨가량, 처리시간 및 반응온도에 따른 탈색 후 이화학적 특성과 품질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색차(명도, 적색도, 황색도)를 조사하였고, 품질특성은 chlorophyll-A 와 carotenoid 함량, 지방산 조성, 토코페롤(${\alpha}$, ${\beta}$, ${\gamma}$, ${\delta}$), 및 식물성 스테롤(${\beta}$-sito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을 분석하였다. 먼저 산성백토(DC-SUPER)의 첨가량(1, 2, 3%)에 따른 저온압착 유채유의 색도변화를 관찰한 결과, DC-SUPER 첨가량 2%에서 탈색 1시간 후 유채유의 색도가 갈색에서 연노랑으로 옅어졌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총 3종의 산성백토(DC-SUPER, DC-A3, 및 P1)에 대해 첨가량 2%를 기준으로 처리시간(20, 40, 60, 80분) 증가에 따른 색차를 조사한 결과, 처리시간 20분 경과 후부터 대조구 대비 명도(L)는 증가하였고, 적색도(a)와 황색도(b)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산성백토 DC-SUPER 2% 첨가 후, 반응온도(40, 80, $120^{\circ}C$) 증가에 따른 색차를 조사한 결과, L값과 a값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b값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반응온도 $40^{\circ}C$에서 처리시간 20분 이내에 클로로필 A와 카로티노이드는 대부분 제거되었고, 토코페롤 함량도 현저히 감소하였다. 탈색 전 저온압착 유채유의 총 토코페롤 함량은 46.62mg/100g이나, 탈색 후 총 토코페놀은 12.67mg/100g(20분 탈색), 15.31mg/100g(40분 탈색), 13.56mg/100g(60분 탈색)로 나타나, 약 50% 이상 감소하였다. 탈색 후 ${\alpha}$-토코페롤과 ${\delta}$-토코페롤의 함량 감소가 매우 컸고, ${\gamma}$>${\beta}$>${\alpha}$>${\delta}$-토코페롤의 순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탈색 전 후에 저온압착 유채유의 식물성 스테롤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성백토 이용 저온압착 유채유 탈색시 색도를 향상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총 토코페롤 등이 감소한 바 향후 이를 보완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피부사상균에 대한 편백정유의 Mono- 및 Sesquiterpene 항진균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fungal Activites of Monoterpenes and Sesquiterpenes in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against Dermatophytes)

  • 곽기섭;박미진;정의배;장제원;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46-55
    • /
    • 2006
  • 본 연구는 피부사상균에 항진균 활성을 보이는 편백정유에 대하여 이를 구성하고 있는 mono- 및 sesquiterpene 성분들 중 어떠한 성분들에 의해 항진균 활성이 나타나는지 탐색하고 성분들 간의 synergy 효과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자 피부사상균인 Trichophyton mentagrophytes (KCTC6077), Microsporum canis (KCTC6591), Microsporum gypseum에 대하여 디스크확산법, 한천희석법을 이용하여 항진균 활성을 평가, 비교하였다.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편백정유를 7개(A, B, C, D, E, F, G)로 분획하고, 각각의 분획들에 대하여 한천희석법을 이용하여 T. mentagrophytes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실험한 결과, 분획 D, E, F, G의 항진균 활성이 높았다. GC/MS 분석을 실시하여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의 주성분을 확인하고 그 중 monoterpene인 borneol, linalool, ${\alpha}$-terpineol과, sesquiterpene인 ${\alpha}$-cedrol, nerolidol, ${\beta}$-eudesmol을 선택하였다. 단일 terpene의 항진균 활성 비교 시 monoterpene보다 sesquiterpene이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높은 활성을 보이는 sesquiterpene의 단일 및 혼합 성분들과 편백정유의 분획 중 항진균 활성이 높고 sesquiterpene의 함유량이 높은 분획 F의 비교 시, sesquiterpene의 조합 성분들이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냈다. 이는 sesquiterpene 성분들의 혼합에 의하여 항진균 활성의 synergy 효과가 발현됨을 의미하였다.

고지방식이(高脂肪食餌)에 따른 $Acetate-1-^{14}C$이 흰쥐의 체내지질(體內脂質)에의 편입도(編入度) (Incorporation of $Acetate-1-^{14}C$ into Lipid of Rats Fed High Fat Diet)

  • 이순재;박홍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7권2호
    • /
    • pp.126-136
    • /
    • 1984
  • 식물생고지방식이(植物牲高脂肪食餌) (45%-corn oil 식이(食餌) : 45%C군(群))및 동물생고지방식이(動物牲高脂肪食餌)(45%-butter fat 식이(食餌) : 45%B군(群)) 와 저지방식이(低脂肪食餌) ( 3%-fat식이(食餌): 3%F군(群))를 자유섭식(自由攝食)으로, 사육(飼育)하면서 4, 8 및 12주에 각각 쥐를 사용하여 $acetate-1-^{14}C$를 주입(注入)한 후 간장(肝臟), 혈청(血淸) 및 지방조직(脂肪組織)등의 지질(脂質)에의 편입도(編入度)와 주입(注入)된 $acetate-1-^{14}C$이 호기(呼氣) 중(中)$^{14}CO_{2}$로의 배출(排出)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고환지방조직중량(副睾丸脂肪組織重量)은 실험 4,8주에 45%C군(群) 및 45%B군(群)이 대조군에 비해 컸으나 12주에 와서는 차이가 없었다. 복부지방조직(腹部脂肪組織) 중량(重量)도 역시 부고환지방조직(副睾丸脂肪組織)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Acetate-1-^{14}C$의 간지질(肝脂質)에의 편입도(編入度)를 보면 45 % C군(群) 및 45%B군(群)은 실험(實驗) 전기간(全期間) 동안 대조군 및 3%F군(群)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으며, 그중에서도 45%C군(群)이 더 현저하였다. 그러나 3%F군(群)은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부고환지방조직(副睾丸脂肪組織)에서의 $acetate-1-^{14}C$의 편입도(編入度)는 실험 8주에 모든 군(群)이 4, 12주 때보다 현저히 높았고, 또 3군(群) 모두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복부지방조직(腹部脂肪組織) 역시 부고환지방조직(副睾丸脂肪組織)에서의 편입도(編入度)와 비슷한 경향이었다.$Acetate-1-^{14}C$의 혈청지질(血淸脂質)에 의 편입도(編入度)는 실험 4, 8주에는 대조군에 비해 45%C군(群) 및 45%B군(群)이 현저히 낮았다. $Acetate-1-^{14}C$의 호기중(呼氣中)의 $^{14}CO_{2}$로의 배출(排出)을 $acetate-1-^{14}C$ 주입(注入)후 180분 동안 관찰한 결과 각군(各群) 공(共)히 5내지 10분 동안 최고치(最高値)에 달하였으며, 30분 이후부터는 급속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처음 5분간(分間)은 45% C군(群) 및 45%B군(群)이 대조군과 3%F군(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 PDF

Overexpression of Cuphea viscosissima CvFatB4 enhances 16:0 fatty acid accumulation in Arabidopsis

  • Yeon, Jinouk;Park, Jong-Sug;Lee, Sang Ho;Lee, Kyeong-Ryeol;Yi, Hankuil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282-290
    • /
    • 2019
  • Cuphea viscosissima plants accumulate medium-chain fatty acids (MCFAs), i.e., those containing 8 ~ 14 carbons, in their seeds, in addition to the longer carbon chain fatty acids (≥16 carbons) found in a variety of plant specie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e existence of three C. viscosissima MCFA-producing acyl-acyl carrier protein (ACP) thioesterases with different substrate specificities. In this study, CvFatB4, a novel cDNA clone encoding an acyl-ACP thioesterase (EC 3.1.2.14), was isolated from developing C. viscosissima seeds. Sequence alignment of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revealed that four catalytic residues for thioesterase activity are conserved and a putative N-terminal chloroplast transit peptide is present. Overexpression of CvFatB4 cDNA, which was under the control of the cauliflower mosaic virus 35S promoter, in Arabidopsis thaliana led to an increase in 16:0 fatty acid (palmitate) levels in the seed oil at the expense of 18:1 and other non-MCF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