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zido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5초

$BF_3$촉매하의 옥세탄 공중합에 관한 분자 궤도론적 연구 (Theoretical Studies on the Cationic Polymerization Mechanism of Oxetanes(II))

  • 박정환;조성동;박성규;전용구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19
    • /
    • 1996
  • 에너지기인 azido기($-CH_2N_3$), nitrato기($-CH_2ONO_2$)로 치환된 옥세탄의 단량체를 $BF_3$촉매하의 공중합에 관해서 반경험적인 MINDO/3, MNDO, AM1 그리고 HF/3-21G 방법 등을 사용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옥세탄 치환제와 $BF_3$ 이분자 착물의 입체적, 정전기적 구조를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옥세탄의 공중합 성장단계에서 반응성은 옥세탄의 반응중심 탄소의 양전하 크기와 옥세탄 성장단계의 친전자체의 낮은 LUMO에너지에 좌우됨이 예측된다. 옥세탄의 공중합 반응성비는 계산치와 실험값이 일치하는 랜덤 공중합 반응이다. 평형상태의 고리형 oxonium 이온과 열린 carbenium 이온의 농도 크기가 반응 메카니즘의 결정단계이며, 형태와 계산을 기초로하여 빠른 평형을 예상하여 볼 때 선폴리머 성장단계에서 $S_N1$ 메카니즘이 $S_N2$ 메카니즘보다 빠르게 반응할 것으로 예측된다.

  • PDF

산촉매하의 옥세탄 공중합에 관한 분자 궤도론적 연구 (Theoretical Studies on The Cationic Polymerization Mechanism of Oxetanes)

  • 전용구;김준태;박성규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36-644
    • /
    • 1991
  • 에너지기인 methoxy기$(-CH_2OCH_3)$, azido기$(-CH_2N_3)$ 그리고 nitrato기$(-CH_2ONO_2)$로 치환된 옥세탄(oxetane)의 단량체를 산촉매하의 중합반응에 관해서 반경험적인 MINDO/3, MNDO, AMI 방법 등을 사용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치환체 옥세탄의 친핵성 및 염기성은 옥세탄 산소원자의 음전하 크기로 설명할 수 있으며, 공중합하의 성장단계에서 옥세탄의 반응성은 옥세탄의 반응 중심 탄소의 양전하 크기와 친전자체의 낮은 LUMO 에너지에 좌우됨이 예측된다. 에너지화기 고리형 oxenium 이온형이 열린 carbenium 이온형으로 전환되는 과정은 oxonium 이온과 carbenium 이온 사이의 계산된 안정화에너지(약 10~20 kcal/mole)에 의하면 carbenium 이온이 더 유리함을 예측할 수 있다. 평형상태의 고리형 oxonium 이온과 열린 carbenium 이온의 농도크기가 반응메카니즘의 결정단계이며, 산촉매하의 형태와 계산을 기초로 하여 빠른 평형을 예상하여 볼 때 선폴리머 성장단계에서 SN1 메카니즘이 SN2 메카니즘보다 빠르게 반응할 것으로 예측된다.

  • PDF

산촉매하의 옥시란 공중합에 관한 분자궤도론적 연구 (Theoretical Studies on the Cationic Polymerization Mechanism of Oxiranes)

  • 전용구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61-468
    • /
    • 1991
  • 에너지기인 azido기$(-CH_2N_3)$, nitrato기$(-CH_2ONO_2)$로 치환된 옥시란의 단량체를 산촉매하의 중합반응에 관해서 반경험적인 MNDO, $AM_1$ 방법 등을 사용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치환체 옥시란의 친핵성 및 염기성은 옥시란 산소의 음전하 크기로 설명할 수 있다. 공중합하의 성장단계에서 옥시란의 반응성은 반응중심 탄소의 양전하 크기와 친전자체의 낮은 LUMO 에너지에 죄우됨을 예측된다. 환 oxonium 양이온이 개환되어 선 carbenium 양이온으로 전환 과정은 oxonium 양이온과 carbenium 양이온 사이의 계산된 안정화 에너지는 약 30∼40 kcal/mole로 carbenium 이온이 더 유리함을 예측된다. 평형상태의 옥소늄 이온과 카베늄 이온의 농도 크기가 반응 메타니즘의 결정단계이다.선폴리머 성장단계에서 $SN_1$ 메카니즘이 $SN_2$ 메카니즘보다 빠르게 반응할 것으로 예측된다.

  • PDF

Oxolane 고폭 화약류의 중합반응에 관한 분자 궤도론적 연구 (A Study Based on Molecular Orbital Theory of Polymerization of Oxolane High Explosives)

  • 김준태
    • 공업화학
    • /
    • 제21권3호
    • /
    • pp.278-283
    • /
    • 2010
  • 폭발성기를 가진 azido기($-CH_2N_3$), nitrato기($-CH_2ONO_2$) 그리고 hydrazino기(-$CH_2N_2H_3$)로 치환된 옥소란 고폭 화약류의 산 촉매 하에서 중합반응을 반경험적인 MINDO/3, MNDO, AM1 방법 등을 사용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옥소란 고폭 화약류의 친핵성 및 염기성은 옥소란 산소원자의 음전하크기로 설명할 수 있고, 중합하의 성장단계에서 옥소란의 반응성은 옥소란의 반응중심 탄소원자의 양전하크기와 친전자체의 낮은 LUMO 에너지에 좌우됨을 알 수 있다. 옥소란 고폭 화약류의 고리형 oxonium 이온형이 열린 carbenium 이온형으로 전환되는 과정은 oxonium 이온과 carbenium 이온 사이의 계산된 안정화 에너지(17.950~30.197 kcal/mol)에 의하면 carbenium 이온이 더 유리함을 예측 할 수 있다. 평형상태의 고리형 oxonium 이온과 열린 carbenium 이온의 농도 크기가 반응 메카니즘의 결정단계이며, 산 촉매 하의 형태와 계산을 기초로 하여 빠른 평형을 예상하여 볼 때 선폴리머(prepolymer) 성장단계에서 $S_N1$ 메카니즘이 $S_N2$ 메카니즘보다 빠르게 반응 할 것으로 예측된다.

Cr(III)-Tetraaza Macrocyclic Complexes Containing Auxiliary Ligands (Part III);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r(III)-Isothiocyanato, -Azido and -Chloroacetato Macrocyclic Complexes

  • Byun, Jong-Chul;Han, Chung-Hun;Park, Yu-Chu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7호
    • /
    • pp.1044-1050
    • /
    • 2005
  • The reaction of cis-[Cr([14]-decane)($OH_2)_2]^+$ ([14]-decane = rac-5,5,7,12,12,14-hexamethyl-1,4,8,11-teraazacyclotetradecane) with auxiliary ligands {$L_a$ = isothiocyanate ($NCS^-$), azide ($N3^-$) or chloroacetate(caa)} leads to a new cis-[Cr([14]-decane)($NCS)_2]ClO_4{\cdot}H_2O$ (1), cis-[Cr([14]-decane)($N_3)_2]ClO_4$ (2) or cis-[Cr([14]-decane)($caa)_2]ClO_4$ (3). These complexes have been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of elemental analysis, conductivity, IR and Vis spectroscopy, mass spectrometry, and X-ray crystallography. Analysis of the crystal structure of cis-[Cr([14]-decane)($NCS)_2]ClO_4{\cdot}H_2O$ reveals that central chromium(III) has a distorted octahedral coordination environment and two $NCS^-$anions are bonded to the chromium(III) ion via the Ndonor atom in the cis positions. The angle $N_{axial}-Cr-N_{axial}$ deviates by 13$^{\circ}$ from the ideal value of 180$^{\circ}$ for a perfect octahedron. The bond angle N-Cr-N between the Cr(III) ion and the two nitrogen atoms of the isothiocyanate ligands is close to 90$^{\circ}$. The bond lengths of Cr-N between the chromium and $NCS^-$groups are 1.964(5) and 2.000(5) $\AA$. They are shorter than those between chromium and nitrogen atoms of the macrocycle. The IR spectra of 1, 2 and 3 display bands at 2073, 1344 and 1684 $cm^{-1}$ attributed to the $NCS^-$, ${N_3}^-$ and caa groups stretching vibrations, respectively.

둔감 에너지 가소제 1-DABTR의 합성 및 특성 평가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1-DABTR as Insensitive Energetic Plasticizer)

  • 이웅희;김민준;박영철;이범재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2-38
    • /
    • 2017
  • 가소제는 추진제 혼화 시 흐름성과 공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가소제로서 DOS, DOA, IDP, BTTN 등이 있다. 특히 BTTN은 에너지 가소제로서 추진제 성능에 도움을 주는 물질이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물질들은 충격감도가 비교적 민감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둔감한 에너지 가소제를 개발하기 위해 트리아졸 계열의 4,5-bis (azidomethyl)-(1-butyl)-1,2,3-triazole (1-DABTR)을 합성하고 이화학적 특성 분석을 하였다. 또한, 분광분석(NMR, IR)을 통해 1-DABTR의 구조를 분석하였고, 유리전이온도, 녹는점, 분해온도, 밀도, 점도, 충격감도 등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Gaussian 09를 이용하여 생성열을 계산하였다.

Growth and characterization of molecular beam epitaxy grown GaN thin films using single source precursor with ammonia

  • Chandrasekar, P.V.;Lim, Hyun-Chul;Chang, Dong-Mi;Ahn, Se-Yong;Kim, Chang-Gyoun;Kim, Do-Ji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4-174
    • /
    • 2010
  • Gallium Nitride(GaN) attracts great attention due to their wide band gap energy (3.4eV), high thermal stability to the solid state lighting devices like LED, Laser diode, UV photo detector, spintronic devices, solar cells, sensors etc. Recently,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synthesis of polycrystalline and amorphous GaN which has also attracted towards opto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significantly. One of the alternatives to deposit GaN at low temperature is to use Single Source Molecular Percursor (SSP) which provides preformed Ga-N bonding. Moreover, our group succeeds in hybridization of SSP synthesized GaN with Single wall carbon nanotube which could be applicable in field emitting devices, hybrid LEDs and sensors. In this work, the GaN thin films were deposited on c-axis oriented sapphire substrate by MBE (Molecular Beam Epitaxy) using novel single source precursor of dimethyl gallium azido-tert-butylamine($Me_2Ga(N_3)NH_2C(CH_3)_3$) with additional source of ammonia. The surface morphology,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GaN thin films were analyzed for the deposition in the temperature range of $600^{\circ}C$ to $750^{\circ}C$. Electrical properties of deposited thin films were carried out by four point probe technique and home made Hall effect measurement. The effect of ammonia on the crystallinity, microstructure and optical properties of as-deposited thin films are discussed briefly. The crystalline quality of GaN thin film was improved with substrate temperature as indicated by XRD rocking curve measurement. Photoluminescence measurement shows broad emission around 350nm-650nm which could be related to impurities or defects.

  • PDF

Blue LED (Light emitting diode) 조사에 의한 배추김치와 백김치 발효액의 품질 특성 및 분리 균주의 생육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broths and growth of the isolated strains due to blue light emitting diode irradiation)

  • 오영지;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38-54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배추김치(RK)와 백김치(WK) 시료를 이용하여 72시간의 저장 기간 동안, Blue-LED 조사 효과를 확인하였다. BLED 처리에 의해 RK에서의 유산균 증식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곰팡이 및 효모의 생육도에서는 대조구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색도의 경우, BLED 처리 시 대부분 명도가 조금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BLED 조사에 의해 색의 변화가 일정기간 지연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BLED 처리에 의해 WK는 저장기간 동안 pH 감소가 유의적으로 지연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ABTS법에 의해 측정된 산화방지 활성에서는 두 종류의 김치시료액 모두 BLED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p<0.05). 두 김치에서 우점종으로 분리된 W. cibaria RK1와 W. cibaria WK1 유산균은 BLED에 민감하게 작용하여 모두 생육이 저해되었고, 표준 균주인 Leu. mesenteroides는 BLED 조사에 의한 생육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현재까지 BLED 조사를 이용한 유해 균주 억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진 반면, 현 연구에서는 BLED조사에 의한 김치 발효상의 특성 변화와 발효미생물들의 생육도를 확인함으로써 발효 식품의 숙성 시기에 따라 적절한 LED 광원을 이용한 발효 미생물들의 생육 조절과 식품의 기능적 향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옥세탄 고폭 화약류의 중합반응에 관한 분자 궤도론적 연구 (A Study Based on Molecular Orbital Theory of Polymerization of Oxetane High Explosives)

  • 김준태
    • 공업화학
    • /
    • 제20권2호
    • /
    • pp.159-164
    • /
    • 2009
  • 제5류 위험물에 속하며 폭발성기를 가진 azido기$(-CH_2N_3)$, nitrato기$(-CH_2ONO_2)$ 그리고 hydrazino기$(-CH_2N_2H_3)$로 치환된 옥세탄 고폭 화약류의 단량체들을 산 촉매하의 중합반응에 관하여 반응성, 반응메카니즘, 반응과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형식전하, 생성열, 에너지 준위를 반경험적인 MINDO/3, MNDO, AM1 방법 등을 사용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옥세탄 고폭 화약류의 친핵성 및 염기성은 옥세탄 산소원자의 음전하크기로 설명할 수 있고, 산 촉매하의 중합반응은 성장단계에서 옥세탄의 반응성은 중심 탄소원자의 양전하크기와 친전자체의 낮은 LUMO 에너지에 좌우됨을 알 수 있었다. 옥세탄 고폭 화약류의 전환되는 과정은 oxonium 이온과 carbenium이온의 안정화 에너지(13.90~31.02 Kcal/mole)를 비교하여 보면 carbenium 이온이 더 유리함을 예측 할 수 있었다. 또한, 평형상태에서 oxonium 이온과 carbenium 이온의 농도가 반응 메카니즘을 좌우하며, 산 촉매하의 중합반응 형태와 계산을 기초로 하여 빠른 평형을 예상하여 볼 때 선폴리머(prepolymer) 성장단계에서 $S_N1$ 메카니즘이 $S_N2$ 메카니즘보다 빠르게 반응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Monosaccharide as a Central Scaffold Toward the Construction of Salicylate-Based Bidentate PTP1B Inhibitors via Click Chemistry

  • Tang, Yan-Hui;Hu, Min;He, Xiao-Peng;Fahnbulleh, Sando;Li, Cui;Gao, Li-Xin;Sheng, Li;Tang, Yun;Li, Jia;Chen, Guo-R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3호
    • /
    • pp.1000-1006
    • /
    • 2011
  • The discovery of carbohydrate-based bioactive compounds has recently received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drug development. This paper stresses on the application of 1-methoxy-O-glucoside as the central scaffold, whereas salicylic pharmacophores were introduced with diverse spatial orientations probing into the structural preference of an enzymatic target, i.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PTP1B). By employing regioselective protection and deprotection strategy, 2,6-, 3,4-, 4,6- and 2,3-di-O-propynyl 1-methoxy-O-glucosides were previously synthesized and then coupled with azido salicylate via click chemistry in forming the desired bidentate salicylic glucosides with high yields. The inhibitory assay of the obtained triazolyl derivatives leads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2,3-disubstituted salicylic 1-methoxy-O-glucoside as the structurally privileged PTP1B inhibitor among this bidentate compound series with micromole-ranged $IC_{50}$ value and reasonable selectivity over other homologous PTPs tested. In addition, docking simulation was conducted to propose a plausible binding mode of this authorized inhibitor with PTP1B. This research might furnish new insight toward the construction of structurally different bioactive compounds based on the monosaccharide scaffo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