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horized Textbook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3초

수·해양 전문계고 인정도서 제도의 법적 문제와 과제 (An Attempt to the Legal Problems on the Approved Books in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박창언;차철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65-77
    • /
    • 2013
  •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legal issues and some question to solve on the approved books in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 First, It discuss the legal meaning on the approved books. The meaning of the approved books means the curriculum books are subject to an approval by the Minister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order to use term in case where there exist no government-designated books and authorized, or where it is difficult to use term or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m. Second It deals with the legal issues on the approved books in fisheries and marine science education. The main issue is in harmony with the regimentation and self-regulation of education. This matter is the legal problems on the power for the standards of the textbooks approval and the rights for the organization of the textbooks. Third, It treats the problems of the approved books in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The problems is system of statute and concept of approved books, the rights of nation and local government, standards of approved books, and writing and practical use of approved books. I generalize legal issues on the approved books in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Hence, it is necessary to deeply study each subject in the legal aspect of the approved books in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저탄소 녹색성장 교육 관련 수산·해운계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 (The Analysis of the Low Carbon Green Growth Education Contents in the Fisheries and Marine High School Textbooks)

  • 황재호;박종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395-405
    • /
    • 2012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35 government-authorized and officially approved textbooks for the Fisheries and marine high school which were published by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t 2009 for analyzing the objective and content domains concerning school the low carbon green growth education. Prior to the grounds of analyzing for the objective and content domains were presented, the factors of the grounds were made based on the low carbon green growth standards for the n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indings which were as follows; 18(51.4%) in 35 textbooks and 666(6.4%) in 10,406 pages were related the low carbon green growth education in the course of the Fisheries and marine high school education. There were 37 participation domains, 27 information and knowledge domains, 9 value and attitude domains and 6 skill domains in the objective domains. The content domains were consisted of 33 green growth, 23 climate change, 10 energy conservation, 6 low carbon and 6 international cooperation.

수학적 연결성을 고려한 연속확률분포단원의 지도방안 연구 (A Study on Teaching Continuous Probability Distribution in Terms of Mathematical Connection)

  • 황석근;윤정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3호
    • /
    • pp.423-446
    • /
    • 2011
  • 학교수학에서 정적분과 치환적분법의 개념은 확률밀도함수의 도입, 연속확률변수의 기댓값, 정규분포의 표준화와 관련하여 수학적 연결성을 가진다. 그러나 개정교육과정의 '미적분과 통계 기본', '적분과 통계' 과목의 교육과정해설서와 검인정 교과서 및 익힘책에서 적분단원과 통계단원 사이의 수학적 연결성 고려가 어려움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수학에서 확률밀도함수의 도입, 연속확률변수의 기댓값, 정규분포의 표준화에 대하여 적분단원과의 수학적 연결성을 고려한 지도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세개념에 대한 학생대상 실태조사와 개정교육과정의 교육과정해설서, 교과서, 익힘책, 그리고 국내 외 통계학(확률론) 도서(국내 13종, 국외 22종)의 내용을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세 개념에 대한 지도내용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해보았고, 교육과정개정이나 교과서의 내용구성 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발견하여 그 결과를 제언하였다.

  • PDF

중학교 '정보' 교과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Analysis of Inquisitive Tendencies in the Units 'Information Society and IT' in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 김자미;장윤재;이원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022-3029
    • /
    • 2011
  •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정보' 교과의 성격 중 하나는 정보사회의 일원으로서 실천적 태도를 고취시킨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정보'교과의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에 대한 구성이 학습자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실천에 기여할 수 있을 정도로 탐구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과서의 탐구적 경향 분석을 위해 Romey 분석법을 활용하여, 검정 교과서 중 채택율이 높은 4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6개의 내용 요소에 대한 분석결과 3개 이상의 요소에서 탐구적 경향을 보인 교과서는, 본문지수 에서는 1개, 활동지수에서는 2개 교과서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나 그림 지수, 평가 지수, 장 끝 지수에서는 탐구적 경향을 보인 교과서가 없었다. 본 연구는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대한 의미 분석을 토대로 탐구적 경향에 대한 정량화를 시도하였고, 특정 페이지에 한정하지 않고 해당 영역 전체를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지구과학 I·II 교과서에 수록된 불일치 용어의 대안 탐색 (Exploring the Alternative to Discrepant Terms in Earth Science I·II Textbooks)

  • 최승언;함동철;유희원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813-82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구과학 불일치 용어를 조사하고 그 대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서 같은 의미를 지니면서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불일치 용어로 정의하였다. 불일치 용어를 참고문헌과 선행 연구의 용어와 비교한 후, 284명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불일치 용어는 고등학교 교과서는 물론 참고문헌에서도 다수 조사되었다. 선호도 조사 결과 의미가 쉽게 전달될 수 있는 용어, 이전에 학습한 용어, 외래어 표기법에 맞는 용어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그리고 고유명의 표기가 다르거나 서로 다른 문헌과 배경 지식에 기반하고 있는 불일치 용어는 외래어 표기법과 학회 발간물에 근거하여 대안을 모색할 수 있다. 따라서 공인된 이론에 근거하고 의미 전달이 쉬운 지구과학 용어를 공유하여 사용함으로써 혼란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중학교 기술·가정① 교과서 복식디자인 분야 내용 분석 (The Content Analysis of Clothing Design part in the middle-school Textbook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①)

  • 박은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9-6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rganizational framework and contents of the clothing design section of the middle school textbook of Technology & Home-economics(1)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scope this study lies in ex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framework, contents and the like from the Home Economics area of textbooks by seven publishers chosen from those that were author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2. The result showed that the seven textbooks have the same top Unit 'Juvenile Life' and mid-Unit 'Clothing and Self-expression' but that smaller units were different and diverse in content. In the small unit 'Clothing and Self-expression' of the clothing design section, contents are structured to be put into practice by understanding and exercising the concept; the contents are offered as design theories, clothes design, clothing, and activities/investigation. Hanbok (Korean traditional clothes) clothing was proposed in all textbooks in an order of the right way for Hanbok clothing, names of Hanbok, kinds of Hanbok and the order of wearing Hanbok. Accordingly, this study found the seven textbooks were constructed correspon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2009 for the clothing design section of Technology & Home-economics(1). This study suggests students can build their own insight for viewing society, the country and the world as well as appreciate their own importance in establishing consciousness if they go forward in solving the various problems they face in home life by grafting practical reasoning.

  • PDF

중등학교 교과서에서 삽화 콘텐츠 활용 연구 :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llustration Content Used in Secondary School Textbooks : Focusing on the 'Society.Culture' Textbooks)

  • 민일홍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8호
    • /
    • pp.57-72
    • /
    • 2010
  • 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교과서는 학습 동기와 흥미 유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삽화, 사진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림은 수천 단어 이상의 의미가 있다."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시각적 매체의 활용이 중요하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의해 고등학교 사회 문화 검인정 교과서 7종 중 'IV 인간과 문화 현상의 이해' 단원을 조사한 결과 삽화, 사진은 총 348쪽에서 삽화 123개, 사진 342개가 사용되었고, 삽화/사진 비율은 35.65%로 조사되었다. 콘텐츠의 내용 요소별 빈도는 삽화는 탐구활동에서 59개(47.96%), 사진은 본문에서 145개(42.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사회 문화 수업을 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콘텐츠에 대한 교사들의 활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교사들은 수업 시 발문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내용을 쉽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사진보다 삽화의 증가를 요구하였고, 학습자의 학습 도모를 위해 탐구활동에 보다 많은 콘텐츠의 제공을 원했다. 마지막으로 교과서 콘텐츠의 분석 결과 모범적 사례는 제시한 삽화가 탐구활동의 주제나 본문 주제를 잘 드러내어 본문 내용을 읽지 않아도 충분히 내용 전달이 가능하였으며, 중단원 주제를 표현한 삽화 한 장으로 이 단원에서 학습하는 내용을 잘 드러낸 것도 있었다. 반면에 부적절한 사례로는 실생활에서는 일어나기 힘든 경우를 삽화로 제시하거나,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기 힘든 삽화도 있었으며, 본문에서 제시하는 내용과 거리가 있는 삽화도 눈에 띠었다. 앞으로는 이러한 점이 수정된다면 좀 더 좋은 교과서가 될 것이다.

  • PDF

우리나라 전문계열 고등학교 교과서의 해양관련 내용 분석 (The Analysis of Oceanic Contents based on Vocational High School Textbook in Korea)

  • 김삼곤;홍철훈;차철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222-235
    • /
    • 2008
  • The study analyzed 343 government-authorized and officially approved textbooks of the Seventh Curriculum's specialized subjects in high school from March to September, 2007. The textbooks were categorized into the area of agriculture, industry, commerce, household and business, science, foreign languages and physical exercise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target and content areas of marine education. An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extbooks in the seven groups serving as the focus of this study, 19.8% have oceanic-related information but pages including ocean contents occupy only 0.8%. Consequently ocean-related contents are scarcely included. The ocean-related contents are necessary to be treated goals. Second, the goals of school oceanic education are focused in vocational subjects. In order of commonality, information & knowledge are most frequent, then functionality, followed by activity & participation. There was no education provided focusing on value & attitude. Given that school oceanic educations were selected for promoting the importance of the ocean and highlighting the problems of the ocean, the lack of information & knowledge is of concern. The goals of oceanic education should be augmented to actively and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solutions of the problems with knowledge, ocean-friendly value & attitude, and increased activity & participation. Third, the contents of school oceanic education commonly focuses on the relationships of oceans and humans, oceans and ecology, and artificial oceanic environments and facilities. Less common but still introduced are ocean resources, sea pollution, sea preservation and measures. Yet, in contrast there is a lack of education in the ethics of sea preservation.

초등학교 컴퓨터 재량활동 검인정교과서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uthorized textbooks in the Computer Discretion Activity of the Primary school)

  • 이주영;설문규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548-557
    • /
    • 2004
  • 7차 교육과정에서 국민공통기본교과 수업에서의 정보통신기술을 10%이상 활용하도록 하는 목표를 제시하고, 2001년부터 연차적으로 실시되어 현재 2003년에는 5,6학년에까지 실시되고 있다. 이에 각 시도 교육청에서는 교육감 인정도서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각 학교는 이를 학교운영위원회를 거쳐 재량활동 교재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초등학교 컴퓨터 검인정교과서들을 비교 분석하여 시 도별 초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검인정교과서의 구성과 내용상의 차이점, 그리고 정보통신기술교육운영지침에 맞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제7차 과학교육과정의 탐구 요소들에 의한 화학 (I)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An Analysis of Inquiry Area in the Chemistry (I) Textbooks by the Inquiry Elements Based on the 7th Science Curriculum)

  • 강대호;정수군;김봉곤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633-644
    • /
    • 2003
  •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 I 교과서 탐구영역에서 활용 가능한 탐구 요소들을 조사,분석하여 화학 I 교과서의 제 7차 과학 교육과정 반영 정도와 탐구 학습의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하였다. 교과서 탐구 영역의 분석은 제 7차 과학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탐구 요소들을 기준으로 하였다. 전반적으로 볼 때 제 7차 화학 I 교과서의 탐구 영역 에 기초 탐구 요소는 측정, 분류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고르게 반영되어있다. 그러나 통함 탐구 요소는 자료 해석의 비율이 절반을 넘으며, 자료 변환, 결론 도출, 문제 인식은 어느 정도 활용가능하나 그 외의 통함 탐구 요소의 비율은 매우 작다. 탐구활동도 견학과 과제연구 비율은 거의 없거나 이주 작다. 제 7차 과학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탐구 학습 을 강조하고 있음으로, 위와 같은 통합탐구 요소와 탐구 활동의 편중성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탐구 학습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