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tent Analysis of Clothing Design part in the middle-school Textbook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①

중학교 기술·가정① 교과서 복식디자인 분야 내용 분석

  • Park, Eun-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7.03.30
  • Accepted : 2017.09.06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rganizational framework and contents of the clothing design section of the middle school textbook of Technology & Home-economics(1)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scope this study lies in ex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framework, contents and the like from the Home Economics area of textbooks by seven publishers chosen from those that were author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2. The result showed that the seven textbooks have the same top Unit 'Juvenile Life' and mid-Unit 'Clothing and Self-expression' but that smaller units were different and diverse in content. In the small unit 'Clothing and Self-expression' of the clothing design section, contents are structured to be put into practice by understanding and exercising the concept; the contents are offered as design theories, clothes design, clothing, and activities/investigation. Hanbok (Korean traditional clothes) clothing was proposed in all textbooks in an order of the right way for Hanbok clothing, names of Hanbok, kinds of Hanbok and the order of wearing Hanbok. Accordingly, this study found the seven textbooks were constructed correspon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2009 for the clothing design section of Technology & Home-economics(1). This study suggests students can build their own insight for viewing society, the country and the world as well as appreciate their own importance in establishing consciousness if they go forward in solving the various problems they face in home life by grafting practical reasoning.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11 실과/기술.가정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1, 175, 184.
  2. 김기수 외 15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1). 서울:원교재사.
  3. 김자영, 조병은. (2008).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족관련 단원 내용 비교분석: 구조기능론과 건강 가정 관점에서. 대한가정학회지, 46(2), 137-153.
  4. 김지숙 외 11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1). 서울:비상교육.
  5. 박은희, 조현주. (2013).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의복구성 분야 내용 분석. 패션비즈니스, 17(1), 131-144. https://doi.org/10.12940/jfb.2013.17.1.131
  6. 박은희, 조현주. (2015). 여중.고생들의 교복변형행동에 따른 외모에 대한 태도와 신체만족. 패션비즈니스, 19(4), 168-182. https://doi.org/10.12940/jfb.2015.19.4.168
  7. 손현희, 박미정, 채정현. (2009). 제7차 교육과정의 중등학교 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진로교육 내용분석.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21(4), 145-158.
  8. 신구대학 국정도서편찬위원회. (2010). 고등학교 복식 디자인. 서울: (주)두산동아.
  9. 양정혜, 김지경. (2002). 구조기능 이론의 관점으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I. 나와 가족 생활 단원 내용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0(12), 1-11.
  10. 어지현, 오경화. (2008).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생활 영역의 활동과제에 관한 연구(제1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0(2), 15-30.
  11. 이경화, 이혜영. (2002).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의복구성 분야 내용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6(8), 1274-1285.
  12. 이상혁 외 14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1). 서울: (주)미래앤.
  13. 이연숙. (2010).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서의 '청소년의 자기관리'와 '청소년의 소비생활' 단원 분석: 2007개정 교육과정의 강조점 반영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22(3), 55-75.
  14. 이춘식 외 10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1). 서울:(주)천재교육.
  15. 이희현. (2015). 친환경 의생활 영역에 관한 교과서 분석: 중학교기술.가정2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7(1). 117-130.
  16. 장명희, 황성수, 김현수, 오석영, 박선미, 한세롬. (2015).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직업 관련 내용 분석. 직업교육연구, 34(1), 127-148.
  17. 전미경. (2012).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가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24(2), 29-49.
  18. 조영출 외 13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1). 서울: 금성출판사.
  19. 조한결, 장상옥. (2015). 2009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주생활영역의 내용요소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24(2), 297-325. https://doi.org/10.5934/kjhe.2015.24.2.297
  20. 채정현 외. (2011). 2009개정 교육과정 반영 가정과 교육론. 서울: 교문사.
  21. 채정현 외 11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1). 서울: 삼양미디어.
  22. 최유현 외 10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1). 서울: 천재교과서.
  23. 한국의류학회, 분과위원회. (2016). 자료검색일 2016. 12. 20. 자료출처 http://www.greengrowth.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