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ditory threshold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1초

좁은대역 스펙트럼의 차이값과 상관계수에 의한 화자확인 연구 (A Study on Speaker Identification by Difference Sum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Narrow-band Spectrum)

  • 양병곤;강선미
    • 음성과학
    • /
    • 제9권3호
    • /
    • pp.3-16
    • /
    • 2002
  • We examined some problems in speaker identification procedures: transformation of acoustic parameters into auditory scales, invalid measurement values, and comparability of spectral energy values across the frequency range. To resolve those problems, we analyzed the acoustic spectral energy of three Korean numbers produced by ten female students from narrow-band spectrograms at 19 proportional time points of each voiced segment. Then, cells of the first five spectral matrices were averaged to form a matrix model for each speak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um of the absolute amplitude difference in each pair of the spectral models of the ten subjects were obtained. Also, some individual matrix models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same subject or the other subject with a similar spectral model. Results showed that in numbers '2' and '9' subjects could not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others but in number '4' it shed some possibility of setting threshold values for speaker identification if we employed the coefficients and the sum of absolute difference. Further studies would be desirable on various combinations of the range of long-term average spectra and the degree of signal pre-emphasis.

  • PDF

Decoding Brain States during Auditory Perception by Supervising Unsupervised Learning

  • Porbadnigk, Anne K.;Gornitz, Nico;Kloft, Marius;Muller, Klaus-Robert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7권2호
    • /
    • pp.112-121
    • /
    • 2013
  • The last years have seen a rise of interest in using electroencephalography-based brain computer interfacing methodology for investigating non-medical questions, beyond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and control. One of these novel applications is to examine how signal quality is being processed neurally, which is of particular interest for industry, besides providing neuroscientific insights. As for most behavioral experiments in the neurosciences, the assessment of a given stimulus by a subject is required. Based on an EEG study on speech quality of phonemes, we will first discus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neural correlate of this judgement. Typically, this is done by analyzing the data along behavioral responses/labels. However, participants in such complex experiments often guess at the threshold of perception. This leads to labels that are only partly correct, and oftentimes random, which is a problematic scenario for using supervised learning. Therefore, we propose a novel supervised-unsupervised learning scheme, which aims to differentiate true labels from random ones in a data-driven way. We show that this approach provides a more crisp view of the brain states that experimenters are looking for, besides discovering additional brain states to which the classical analysis is blind.

내전형연축성 발성장애 음성에 대한 켑스트럼과 스펙트럼 분석 (Cepstral and spectral analysis of voices with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 심희정;정훈;;최병흔;허정화;고도흥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8권2호
    • /
    • pp.73-8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erceptual and spectral/cepstral measurements in patients with adductor spasmodic dysphonia(ADSD). Sixty participants with gender and age matched individuals(30 ADSD and 30 controls) were recorded in reading a sentence and sustained the vowel /a/. Acoustic data were analyzed acoustically by measuring CPP, L/H ratio, mean CPP F0 and CSID, and auditory-perceptual ratings were measured using GRBAS.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a) the CSID for the connected spee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or the sustained vowel (b) the G, R and S for the connected spee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or the sustained vowel (c) Spectral/cepstral paramete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erceptual parameters, and (d) the ROC analysis showed that the threshold of 13.491 for the CSID achieved a good classification for ADSD, with 86.7% sensitivity and 96.7% specificity. Spectral and cepstral analysis for the connected speech is especially meaningful on cases where perceptual analysis and clinical evaluation alone are insufficient.

정상 신생아의 뇌간전위유발청각검사-전달 시간 및 역치 (BRAINSTEM EVOKED RESPONSE AUDIOMETRY: LATENCY AND THRESHOLD IN NORMAL NEONATES)

  • 심윤주;김희남;김영명;차몽철;현승재;김경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9.1-9
    • /
    • 1987
  • 뇌간유발청력검사는 최근 들어 신생아 및 영유아에 있어 청력 및 청신경로의 성숙(auditory maturation)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진단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검사결과는 측정계기의 종류 및 측정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정상 신생아를 대상으로 뇌간유발청력검사에 대한 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교실에서는 87년 3~4월에 Severance병원에서 출생한 정상 신생아 20명을 대상으로, 출생 후 16내지 69 시간내 두 차례에 걸쳐 뇌간유발 전달시간 및 뇌간유발 역치를 측정,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72.5 ㏈, 4KHz click에 대한 평균 절대적 latency는 각각 I(1.68), II(2.74), III(4.33), IV(5.71), V(6.77), Ⅵ(8.16), Ⅶ(9.85)였고 tone pip은 각각 I(2.04), II(3.04), III(4.60), IV(5.75), V(7.14), Ⅵ(8.54), Ⅶ(10.60) 이었다. 2) 평균 뇌간전위 유발역치는 29.5㏈ SPL 이었다. 3) 파형은 A형이 1.7%, 3형이 30.2%, C형이 45.7%, D형이 5.2%, E형이 1.7%, F형이 15.5%이었고, click과 tone pip, 자극음의 강도, ISI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4) 제1소파에서 제5소파까지의 절대적 latency와 I- III, III-V,및 I-V의 상대적 latency에 있어서, 반복율, 자극음 종류 및 첫째날과 둘째날의 비교치에 있어서만이 선택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자극음의 크기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Ingestion of Korean Red Ginseng after Noise Exposure Can Potentiate Rapid Recovery of Hearing in Mice

  • Kang, Woo-Seok;Chung, Jong-Wo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336-341
    • /
    • 2010
  • One mechanism of inner ear damage by 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 is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Because Korean red ginseng (KRG) has an anti-ROS effect in various tissues, KRG may have a role in preventing NIHL. A window period exists in which ROS formations continue after noise exposure, and further damage can be prevented by antioxidants.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RG after exposure to noise. KRG (200 mg/kg) was fed to mice for 3 days after noise exposure. The change in hearing level was analyzed by measuring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To induce a temporary threshold shift (TTS) of hearing, mice were exposed to 110 dB white noise for 3 hours. Fast recovery of hearing was observed in mice fed KRG 1 hour and 1 day after noise exposure for 3 days. The expression of 8-oxoguanine was not observed in the inner ears of mice fed KRG 1 hour after noise exposure, but was evident in the stria vascularis of mice in the control group (noise exposure only). From this study, we conclude that KRG acted as an effective inhibitor of NIHL in TTS cases.

64채널 디지털 보청기의 In-situ에 의한 휘팅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tting of 64 Channel Digital Hearing Aid by In-situ Method)

  • 장순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273-27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64채널 디지털 보청기의 주파수 채널 별 비선형 압축을 위한 휘팅 기법을 연구하였다. 청력 검사 결과로부터 수행되는 기존의 휘팅 포뮬라 기법과 달리, 귓속형 보청기를 사용자가 외이도에 착용한 상태에서 고막에서의 청력 역치를 측정하여 이를 휘팅에 적용하였다. 또한 외부 음성 음압의 주파수 별 분포도를 활용하여 입력 음압 대비 출력 음압 압축 곡선을 구현하였다. FFT-iFFT 방식의 이론적 압축 연구 결과를 실험적으로도 검증하였으며, 입력음압 레벨이 각각 50 dB, 70 dB, 90 dB일 때의 증폭 이득 곡선을 보여주었다.

한국인의 정상적인 노화에 의한 성별 연령별 순음청력에 의한 기준청력 (Age- and Gender- Specific Reference Levels for Hearing Thresholds of Normal Aging in Korean)

  • 김성희;신종헌;여창기;한영경;이중기;장순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53-357
    • /
    • 2005
  • 이과적인 질환이나, 소음에 의한 청력소실이 없는 경우에도 노화에 의한 청력의 변화에 대해서는 잘 알려진 사실이다. 노인들의 청력에 대한보고는 있었지만, 한국인의 노화에 의한 청력변화에 관한 보고는 드물고, 남녀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며, 아직도 이견이 있다. 최근 조선대학교에서 개발한 청력검사결과 관리 프로그램 (ARCISM)을 이용하여 한국인의 노화성 난청에 대한 기준 청력범위를 구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일 년여 동안 대구파티마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방문한 환자 중 문진에 응한 1603명의 청력검사결과를 소음에 노출된 경우나 기타 이과적인 질환을 배제한 후, 노화에 따른 청력의 변화에 대해 20대에서 80대까지의 청력도를 구하였다. 나이에 의한 주파수 대역별 청력역치의 상승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고주파수로 갈수록 그 정도가 심하였다. 특히 4kHz와 8kHz에서 남자에 있어서 여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청력소실이 더 크게 나타났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운용으로 방대한 청각검사자료를 이용하여 쉽게 노화에 따른 청력 변화에 대해 기준청력범위를 구할 수 있었고, 향후 노화성 난청의 재활이나 한국형 보청기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Cis-Platinum의 이중독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Ototoxic Evaluation of Cis-platinum)

  • 홍원표;정명현;오혜경;이경재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7.1-17
    • /
    • 1982
  • 1965년 Rosenberg등은 platinum electrode가 platinum 복합물을 형성함으로써 E-coli의 세포분열과 성장을 억제할 뿐아니라 항암작용도 갖고 있다는 보고를 하였으며 그 후 Welsch (1971), Speer (1972), Rossof(1972), Hill (1974), 그리고 Wittes등(1975)에 의하여 동물 및 임상실험을 통하여 Cis-platinum이 악성종양 특히 두경부악성종양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서 Cis-platinum은 단독투여제 또는 Bleomyun, MTX등 다른 항암제와 함께 병용투여제로써 각광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Cis-platinum은 항암효과이외에 때때로 내이에 영향을 미쳐 회화영역이상의 고주파에서 청력장애를 초래할 뿐만아니라 renal tubule에도 불가역적인 병변을 초래 할 수 있다는 보고들이 있어서 우수한 항암효과에 도 불구하고 임상에서 사용제한을 받는 경우가 많다. 특히 청력장애에 대하여는 Kohonen등(1965), Stadnacki등(1974)이 guinea pig에서 Cis-platinum을 투여한 후에 와우각의 기저부에 중독작용을 보고한 이래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사람에서의 이 중독작용은 Piel(1974)과 Hong등(1979)의 보고등을 찾아볼 수 있을 정도이다. 이에 저자들은 1979년 7월부터 1982년 3월까지 2년 6개월간 두경부악성종양으로 이비인후과에 입원하였던 환자중 30례에서 Cis-platinum의 투여전과 투여후의 청력상을 비교해 이중독증의 여부와 그 정도를 규명하고 그 결과를 임상적적응에 이용하고저 본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is-platinum 투여전과 투여후 pure tone average, 4000Hz와 8000Hz의 hearing threshold, speech reception threshold, PB score, SISI를 측정한 결과 변화는 볼 수 없었다. 2)Cis-platinum총 투여량에 따른 청력상에도 변화가 없었다. 3) 투여전에 전음성난청과 감음성난청이 있었던 환자에게 Cis-platinum을 투여한 후의 청력상을 투여전에 청력이 정상이었던 환자와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었다. 4) Cis-platinum투여로 인한 혈색소, 백혈구수, 혈소판수는 변화가 없었다. 5) Creatinine Clearance, Creatinine, Uric acid의 변화를 본 결과 Cis-platinum 투여후에 변화는 없었으나 100mg을 1 회투여하였던 한 환자에게서 creatine clearance가 25ml/min로써 신중독증을 나타냈다. 6) Cis-platinum 투여시 hydration에 따른 전해질 특히 혈청내의 $K^{+}$치를 측정한 결과 투여전과 차이가 없었다. 7) 이상의 결과로 볼때 Cis-platinum 사용으로 인한 이중독증은 신장기능이 정상일때는 충분한 hydration으로써 예방이 가능하며 동시에 금기로 알려져왔던 감음성난청이 있는 두경부악성종양환자에서도 세심한 주의하에 적절히 사용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 PDF

일개 종합병원을 방문한 어선원에서 발생한 소음성 난청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of Fishermen Visiting a General Hospital)

  • 정유선;김창회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8권1호
    • /
    • pp.41-49
    • /
    • 2023
  • 2022년 11월부터 2023년 2월까지 동국대학교 경주병원 이비인후과 외래를 내원한 환자 중에서 소음성 난청을 가진 어선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소음성 난청을 가진 총 10명의 19개 귀의 청각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모두 60세 이상의 남자였고 소음에 노출된 기간은 평균적으로 38.9 ± 10.8년으로 장기간 소음에 노출되었으나 난청기간은 평균적으로 13.4 ± 4.3년으로 소음노출에 비해서 늦게 난청을 인지하였다. 고음역 평균역치가 저음역 평균역치보다 높지만, 8 kHz에서 하강하는 청력도를 보였고 고음역 평균 청력역치가 75 dB 초과인 경우는 10.5%이나 저음역 평균 청력역치가 40 dB 초과인 경우가 57.9%를 차지하였다. 순음청력검사상 평균 청력역치는 52.2 ± 7.1 dB, 어음청취역치는 34.0 ± 11.1 dB, 어음명료도검사는 81.5 ± 11.4%, 청성뇌간반응검사의 청력역치는 56.8 ± 6.7 dB, 청성지속반응검사의 청력역치는 63.7 ± 7.6 dB였다. 향후 다기관 연구에서는 어선의 소음의 크기 및 근로시간 등 근로환경에 대한 조사를 같이 시행하여 소음노출을 확인 후 어선원 소음성 난청 청각학적 특성을 분석해야 할 것이다.

굴절교정된 정상안에서 운무 전후에 따른 순음청력역치의 비교 (A Comparison of Pure-Tone Thresholds to the Pre and Post Fogging after Refractive Correction in Normal Eyes)

  • 조수진;주석희;이군자;최인실;임현성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9-93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굴절교정된 정상안에서 운무 전후에 따른 순음청력검사 값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안질환이나 청각질환이 없으며, 교정시력이 1.0이상의 젊은 성인 50명(남자: 30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력교정 전후의 순음청력역치(pure tone threshold)의 변화를 순음청력검사(pure tone audiometry)를 통해서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결과: 전 주파수 대역에서 운무 후의 순음청력역치가 운무 전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2000 Hz를 제외한 전 주파수 대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측정되었다(p<.05). 저주파수 대역인 250 Hz와 500 Hz에서 각각 6.8${\pm}$8.4 dBHL과 4.3${\pm}$6.6 dBHL로 나타나 다른 주파수 대역에 비해서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났고, 중주파수 대역인 2000 Hz에서는 0.8${\pm}$4.5 dBHL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결론: 굴절교정된 정상인에서 운무 전과 후의 순음청력검사의 역치값이 다르게 나타나 망막상의 선명도와 청각은 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 결과는 굴절교정과 청각의 상관성을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