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rition Bia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6초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에서 패널탈락분석 (An Analysis of Panel Attrition in GOMS(Graduates Occupational Survey))

  • 천영민;윤정혜;오민홍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5호
    • /
    • pp.981-993
    • /
    • 2009
  • 패널조사에서 패널탈락이 특정계층에 집중되어 있다면, 초기에 구축된 샘플의 변화에 따라 패널자료의 대표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를 이용하여 신뢰성과 대표성을 저해하는 표본 탈락편의(non-random attrition bias)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패널탈락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패널탈락을 최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패널탈락은 응답자의 문제보다 조사시스템의 문제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가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조사시스템의 구축 및 응답자관리방법 개발뿐만 아니라 패널탈락의 편의를 보완하기 위한 가중치 부여 등 다양한 개선책의 도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SP 패널데이터의 Bias를 고려한 동적모델 (Dynamic Model Considering the Biases in SP Panel data)

  • 남궁문;성수련;최기주;이백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3-75
    • /
    • 2000
  • SP 데이터는 데이터 수집의 효율이 RP 데이터 보다 높고 장래의 교통 시스템의 조건이나 속성에 대한 응답자들의 태도를 조사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SP 데이터는 주요하게 두 가지 편위를 가지고 있는데 SP 설문조사시에 발생하는 응답편위와 SP 패널조사시에 발생하는 누락편위이다. 이러한 SP 데이터의 편위가 수정되지 않으면 장래의 잘못된 교통수요예측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SP 모델의 편위와 상태의존을 고려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6개의 횡단면 모델과 동적모델을 제안하였다. 횡단면 모델 중 RP데이터의 선택결과를 고려한 모델을 이용하여 SP모델의 편위를 보완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할 수 있었으며 동적모델의 경우에 패널데이터의 상태의존도를 지수함수로 가정하여 상태의존도를 고려한 동적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패널조사시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누락데이터에 의한 누락편위를 모델에 고려하기 위하여 WESML방법을 적용하여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그 결과 상태의존도를 보다 세밀하게 제어함으로서 모델의 설명력을 개선시키고 향후 SP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동적모델의 적용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델의 유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전주시의 외각 지역인 호남제일문 방향에서 도심으로 접근하는 3개의 주경로(천변로, 기린로, 팔달로)에 대한 패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모델을 구축하였다.

  • PDF

패널조사에서 비연속 응답 그룹 편향 보정을 위한 복합가중값 (Composite estimation type weighting adjustment for bias reduction of non-continuous response group in panel survey)

  • 최형아;김영원
    • 응용통계연구
    • /
    • 제32권3호
    • /
    • pp.375-389
    • /
    • 2019
  • 패널 자료는 자료가 축적되는 만큼 그 가치가 증대된다. 이와 동시에 장기추적에 따른 표본이탈은 자료의 신뢰성을 떨어뜨린다. 국내 외 대부분의 패널조사에서 가중값 보정을 통해 표본 이탈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패널자료에서 차수별 응답여부에 따라 연속 응답 그룹과 비연속 응답 그룹으로 나누고, 비연속 응답 그룹에 대한 적정 가중값 산출방법을 검토하였다. 연속/비연속 응답그룹을 구분하여 비연속 응답 그룹의 응답자 특성을 반영한 복합추정 방식의 가중값 작성방법을 제안하고, 그룹의 구분 없이 작성하였던 기존의 가중값 작성방법과 새로 제안한 복합추정 방식의 가중값 산출방법의 효율성을 모의실험과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새로 제안한 복합추정 방식의 가중값 산출방법은 기존 방법 보다 편향을 대폭 감소시킴을 모의실험을 통해 볼 수 있었다. 한편, 제시한 가중값 작성방법을 한국고용정보원 고령화연구패널에 적용한 결과도 제시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기능적 전기 자극이 미치는 영향: 무작위대조군연구에 기초한 체계적 고찰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Based 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황수진;서연주
    • PNF and Movement
    • /
    • 제20권2호
    • /
    • pp.147-156
    • /
    • 2022
  • Objective: Electrical stimulation is an assistive technology used to aid the recovery of upper limb use after stroke.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hemiparetic stroke and to develop an evidence base that supports the use of electrical stimulation for upper limb recovery after stroke. Design: A systematic review based 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Methods: Studies published before April 20 2021 were collected for this review by searching PubMed, four other databases, and RCTs that reported the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the characteristic stroke type. Information on the following parameters was extracted from each study: surname of first author, published year, country, participants, intervention, intervention's intensity, comparison, outcomes, additional therapy, and summary of results. This review also evaluated the bias within each study, including any selection bias, performance bias, detection bias, attrition bias, and reporting bias. Results: This review included five RCTs, and 208 stroke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Stroke patients who underwent electrical stimulation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grip and pinch strengths, wrist range of motion, and basic daily living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improvement in upper extremity function. Of the selected papers, 60% showed a "high risk" of performance bias, and 20% showed a "high risk" of detection bia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ystematic review suggest that electrical stimulation provides some benefits to stroke patients, such as improved hand strength and range of motion. However,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provide clinical evidence of the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Relationship between Postural Balance Training and Fall Risks for Elderly: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Kim, Heesuk;Hwang, Suji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185-196
    • /
    • 2021
  • Objective: Falling is one of main accident to facilitate the physical injuries in order adults. The purpose of the systematic review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ostural balance training whether the recovery of falls in elderly with normal physical function or not throughout summing the selected studies quantitatively. Design: A systematic review Methods: MEDLINE and other four databases were searched up to April 20, 2021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evaluating postural balance approaches on fall risks in elderly. The researched studies excluded the double studies, titles and abstract, and finally full-reported study. The selected RCTs studies were extracted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and summary of results based on PICOS-SD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s, and setting- study design) model to synthesize the papers qualitatively. Results: The review involved 22 RCT reports with 4,847 community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ver. Nineteen of the selected RCT studies reported dual or multimodal exercises show the beneficial effect for older adults compared to one-type treatment or no intervention. All of selected showed low risk in the selection, attrition, and reporting bias. However, detection bias showed low risk at 75% records of the involved RCTs and performance bias was low risk at only three record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ystematic review propose that a standardized therapeutic approach and the intensity are needed for improving risk of falls in older adults.

물리치료 바이오피드백의 정의 및 범위와 활용법: 체계적 문헌고찰 (Definition, Scope, and Applications of Physiotherapy Biofeedback: Systematic Reviews )

  • 오종선;이경진;김성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09-119
    • /
    • 2023
  • PURPOSE: The definition and scope of biofeedback are broad and lack a clear framework.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clearly understand the exact range and definition of biofeedback based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conducted to dat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rrive at the definition and scope of biofeedback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its application methods. METHODS: This study i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conducted to understand the various types and effects of biofeedback. International databases such as Google Scholar and PubMed were used. Domestic databases utilized for keyword searches included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the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Quality assessment of the selected studies in the selection process was done using the Cochrane risk of bias, and the research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population, intervention, control, and outcomes (PICO) format. RESULTS: Studies conducted between 2019 and 2021 were selected, with 4 papers falling under physiological classifications and 7 under biomechanical classifications. The quality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random sequence generation, allocation concealment, performance bias, and reporting bias were unclear. Detection bias was moderate, and attrition bias and other biases were low. Out of the 11 papers, 9 dealt with physical function outcomes, 5 with daily life activities, and 3 with mental functions. CONCLUSION: Physiological biofeedback tended to influence psychological factors more than physical functions, while biomechanical biofeedback tend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physical functions.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수기치료의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icacy of Manual Therapy for Knee Meniscus Injur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강석범;박한별;손우석;김영준;우창훈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25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manual therapy for knee meniscus injuries. Methods We searched seven electronic databases (MEDLINE, Cochrane Library, CAJ, Wanfang, RISS, ScienceON, and OASIS) to collec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using the keywords "manual therapy OR chuna OR tuina" and "meniscus injury." Results Eleven RC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inclusion criteria, and all studies were conducted in China. Five studies were meta-analyzed. The systematic review revealed a positive effect of manual therapy for knee meniscus injury. Low risk of selection, attrition, and reporting bias were demonstrated in all studies. Ten studies had a high risk of performance bias. Conclusions The systematic review reported favorable results using manual therapy for knee meniscus injury. However,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because of the high risk of bias. Further clinical studies and reviews with higher levels of evidence are warranted.

자가점유로 분석한 이혼여성의 주거안정성 (The Impact of Divorce on Tenure Choice for Women in Korea)

  • 황재희;이성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55-66
    • /
    • 2012
  • Present study investigates on the impact of resourc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nure choice for divorced women in Korea. The authors utilize the micro data from the Korea Census (2% sample)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authors apply the bivariate probit model to eliminate selection bias that could incur due to sample selectivity, from a chain of marital disruption and tenure choices. This study starts with a descriptive explanation of homeownership after divorce from 1985 to 2005. It concluded that divorce results in a substantial attrition of homeownership. The authors found that out for many women, divorce initiates a process of downward mobility on the housing ladder. The probability to own housing is much lower for divorced women than for women who are not divorced. The present study concludes by suggesting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divorced women who have limited access to housing stability. The authors also suggest some future studies that can compensate the empirica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소아환자를 위한 음악: 무작위 임상연구의 체계적인 문헌고찰 (Music for Pediatric Patients in Medical Setting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이진형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0권2호
    • /
    • pp.1-33
    • /
    • 2013
  • 본 연구는 소아환자대상 최근의 음악치료 및 음악을 사용한 임상연구들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을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13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2년 사이에 영어로 발표 된 무작위 임상 및 교차설계 연구들을 자료로 수집하였고, 최초 검색 되었던 1023개의 논문 중 선정 및 제외기준에 따라 영어문헌 15건을 선별하였다. 선별 결과 연구 대상자는 1개월에서 만 18세까지의 아동 및 청소년으로 11명에서 150명 까지 표본크기가 다양했으며 전체 연구 참여자는 987명으로 집계되었다. 선별된 연구들은 음악요법 및 음악치료 연구로 분류되어 전반적인 유형, 연구절차와 방법론, 임상접근법, 측정도구 및 연구결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되었다. 총 7건의 음악요법과 8건의 음악치료로 분류된 연구들은 7개영역의 종속변수를 36종류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음악의 임상적 사용에 있어 음악의 선택, 종류 및 임상접근방법에 큰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연구절차와 방법론의 분석 결과 다수의 연구들이 주요 연구절차에 대한 기술이 충분치 않고 특히 무작위배정(Randomization), 배정순서 은폐(Allocation Concealment), 이중 또는 부분은폐(double or partial blinding) 및 참여자 감소율(Attrition Rate)과 같은 방법론적 표준에 미치지 못함이 도출되었다. 전반적인 연구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거나 긍정적 결과가 보고된 바 있으나, 연구 방법론적 문제들과 임상접근법들의 이질성으로 인해 그 결과가 편향에 의해 오염되거나 신뢰성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음악이 소아 환자들의 신체 및 사회 심리적 필요를 다루는 도구로 임상적 가치가 있음을 제안할 수는 있지만 이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로서는 절차와 접근법이 보다 엄격하고 균일하여 추후 재현이 가능한 연구들이 다수 요구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