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achment theory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9초

라이브 커머스의 특성이 소비자의 애착 형성과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기술 시스템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Live Commerce on Consumer Attachment Formation and Behavior Intention - A Socio-technical Systems Perspective -)

  • 차예린;김혜정;박민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03-314
    • /
    • 2022
  •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the social features (identification, interaction, information value) and technical features (visibility affordance, metavoicing affordance, social connecting affordance) in live commerce on consumers' attachment, which in turn affects consumers' continued intent to watch live commerce and intent to purchase from the platform. Consumers' attachment was represented by emotional attachment to the live shopping streamer and functional dependence on live commerce.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ttachment on continuous watching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Using a web-based survey and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average age: 30.32) as a sample, this study collected 274 usable responses.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live commerce social system constructs, identification and interaction positively affected emotional attachment to the live commerce streamer. Among the live commerce technical system constructs, visibility affordance and social connecting affordance positively influenced functional dependence on live commerce. Both emotional attachment to the live streamer and functional dependence on live commer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a continued intent to watch, which influenced the intent to purchase.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live commerce based on the socio-technical systems framework and confirmed that both social and technical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s.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e impact of live commerce on consumers' attitudes through attachment theory. In addition, it has proved the antecedents and effect of continuous watching of live commerce on purchase behavior by focusing on continuous watching intention where less attention was paid in live commerce research.

가상관광체험이 현장여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행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Virtual Tour Experience on Actual Travel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Happiness)

  • 이위가;왕악준;유자양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1호
    • /
    • pp.65-78
    • /
    • 2023
  • 본 연구는 지역 애착 이론을 기반으로 가상 애착을 통해 관광객의 가상 관광 경험을 현장 관광 의지로 전환하는 방법을 탐색하고 행복의 조절 역할을 탐구한다. 관광 능력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현장 관광 의향 모델을 구축했다. SPSS 24.0 와 AMOS 24.0 등의 분석 도구를 통해 분석한다. 우리는 가상 경험이 지상 여행에 대한 의지로 전환될 수 있는지, 행복이 가상 관광 경험에 대한 가상 애착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탐구하기를 희망합니다. 그 결과 가상여행경험과 가상 애착의 관계는 행복감에 의해 조절되고, 가상 애착은 장소 애착(장소의존성 및 장소정체성)과 양(+)의 관계가 있으며, 장소 애착은 실제 여행의도와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관광객과 관광지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관광의 발전을 위한 참고 자료와 제언을 제시한다.

청소년의 경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Variables Associated with Adolescent Deviant Behaviors)

  • 강희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45-63
    • /
    • 2010
  • 본 연구는 부모애착, 자아통제력이 청소년의 경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경비행 친구의 매개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사회통제이론과 일반이론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초등학교 4학년 5차년도 자료 2,448사례였다. 분석 결과 구조방정식모형의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이 모두 자료에 적절한 모형적합도를 보여주었으며, 구조모형의 모든 경로들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자아통제력, 경비행친구는 청소년 경비행에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 아니라, 부모애착과 자아통제력은 경비행친구의 매개 과정을 통하여 간접효과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비행 예방 및 실천적 개입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원가족 애착을 중심으로 한 대학생 커플관계증진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he Couple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Based on Family of Origin and Attachment)

  • 최연화;양명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59-57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uple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based on the family of origin and attachment. Does based on Bowen's theory of differentiation of self, adult attachment, group counseling for this and establishes program goals according to systematic group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and composed program. In order to attain like this research objective, six male and female couples attending colleges were divided into the participating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students were from H University in Daejeon, Korea, and they ha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comprehensive group program. The changes shown by the couples were studied, and the cases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minutes and reports, which supplemente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howed the following. The case showed that goals of the individuals and couples,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self and partners by understanding the self-differentiation and adult attachment while having a positive impact on understanding, acceptance, disclosure of self partner and couple relationship based on the social support of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NS에서의 그룹 형성이 정보공유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Group Formation in SNS on Information-Sharing Behavior)

  • 김종기;김진성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2권2호
    • /
    • pp.25-49
    • /
    • 2013
  • By virtue of the development and widespread of social network services, the importance of SNS for an individual's social capital formation as well as people's act of sharing information is increasingly highlighted. However, there are still few empirical studies on successful formation of SNS, people's attitude towards participation in SNS, and the brisk act of sharing information in the SNS as yet. This study performed an analysis that, in terms of forming the successful SNS, people's attachment to the group in SNS induces the attitude towards the participation in SNS, and the information-sharing act on the basis of the socio-psychological theo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empirical study by dividing the influential factors into the attachment to online group, and attachment to the members in SNS group on the basis of trust. This study set up the component factors in trust as high-dimensional factors, and used SPSS 18.0 and SmartPLS 2.0 as analysis tools.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group formation in SNS and people's attachment to the group were significantly influence attitude towards participation in SNS as well as information sharing behavior. This result implies that group formation in SNS plays an important role in active use of SNS.

Impact of attachment, temperament and parenting on human development

  • Hong, Yoo Rha;Park, Jae S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12호
    • /
    • pp.449-45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present the basic concepts of attachment theory and temperament traits and to discuss the integration of these concepts into parenting practices. Attachment is a basic human need for a close and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nd their caregivers. Responsive and contingent parenting produces securely attached children who show more curiosity, self-reliance, and independence. Securely attached children also tend to become more resilient and competent adults. In contrast, those who do not experience a secure attachment with their caregivers may have difficulty getting along with others and be unable to develop a sense of confidence or trust in others. Children who are slow to adjust or are shy or irritable are likely to experience conflict with their parents and are likely to receive less parental acceptance or encouragement, which can make the children feel inadequate or unworthy. However, the influence of children's temperament or other attributes may be mitigated if parents adjust their caregiving behaviors to better fit the needs of the particular child. Reflecting on these arguments and our childhood relationships with our own parents can help us develop the skills needed to provide effective guidance and nurturance.

기술진화로 인한 인간과 기계의 사회적 관계 연구 (Human-Robot Social Interaction: Applying Attachment Theory)

  • 송근혜;이승민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5-438
    • /
    • 2017
  • 기술혁신으로 인간과 로봇의 문자 음성형 대화가 가능한 사회가 도래하고 있다. 인간이 로봇에 정서적 반응을 나타낸다는 선행연구 결과는 로봇이 도구적 장치에서 벗어나 친밀감을 맺을 수 있는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심리학에서 연구되어온 애착이론이 인간과 로봇의 관계에도 적용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인간이 기계를 의인화한다는 기존의 인간-로봇 상호작용 연구를 검토하고, 인간이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에 대한 애착이론을 고찰하였다. 또한 인간이 기계와 정서적 관계를 맺을 수 있으나 타인과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함을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애착이론을 토대로 인간과 로봇의 가능한 사회적 관계양상을 그려보았다. 마지막으로 로봇과의 소통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질 가까운 미래사회에 인간과 로봇의 건전한 관계형성을 위한 후속연구 주제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최신 기술흐름을 반영하여 대화가 가능한 로봇을 대상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인간이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을 바탕으로 인간이 로봇의 관계양상을 심층적으로 모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함의를 지닌다.

  • PDF

애착유형과 창의성을 높이는 인지적 경로 간의 상호작용 연구 (Cognitive Flexibility Promotes Creativity for Securely (but not Fearfully) Attached People)

  • 김예강;심소현;서성지;김태현;이수진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4호
    • /
    • pp.159-175
    • /
    • 2022
  • 창의성이 조직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하다는 점에서, 많은 기업들이 조직원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다. Dual pathway to creativity model 에 관련된 기존 연구에 따르면, 창의성은 두 가지 경로(인지적 유연성 혹은 인지적 지속성)를 통해 향상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경로가 어떻게 활성화 되는지 이해하는데 있어서 조직원의 개인적 특질이 고려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유연성과 지속성 중 어느 경로가 특정 성격에 더 효과적 인지에 대해서는 거의 논의된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애착 이론에 근거하여, 개인이 가진 애착 유형이 두 가지 인지적 경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안정 애착을 가진 개인이 (인지적 지속성이 아닌) 인지적 유연성 경로를 사용했을 때, 창의성이 향상된다고 예측하였다. 미국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실험은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 내 창의성 향상에 있어서 안정 애착이 (인지적 지속성이 아닌) 인지적 유연성과 더 적합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민간경비원의 건강행동연구 (Study on Health Behavior of Private Security Guards Applying Planned Behavioral Theory)

  • 김혜선;곽한병
    • 시큐리티연구
    • /
    • 제43호
    • /
    • pp.99-120
    • /
    • 2015
  •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민간경비원의 건강행동을 분석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민간경비원을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하였다. 불성실한 응답 및 이상치를 제외하고 187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Polyserial 상관분석, 각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추정하기 위하여 다중회귀(multiple regression)분석과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도,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력은 건강행동 지속의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도는 행동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도는 건강행동 지속의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행동 통제력은 건강행동 실현여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행동 통제력인 1단위 증가하면 건강행동을 실천할 가능성이 약 62.9%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건강행동 지속의지는 건강행동 실현여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행동 통제력인 1단위 증가하면 건강행동을 실천할 가능성이 약 72.3%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애착과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건강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A Childhood Attachment and Adolescent's Self Esteem as Predictors of Health Efficacy in Adolescents)

  • 탁영란;이은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89-97
    • /
    • 2004
  • Purpose: Adolescence is viewed as a critical period in the formation of health behavior and many health behaviors developed during this era persist into adulthood. Social-cognitive theory, self-efficacy as a central construct, has been used to predict and intervene the health behavioral patterns in adolescent. Previous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 attachment in childhood and self-esteem as psychosocial factors are predictors of the health efficacy in adolescent and it is viewed as solely an antecedent for the lifelong health behavior. Method: To investigate the path pattern of attachment in childhood, self-esteem and health efficacy in adolescents, 381 adolescents in high school from two urban cities in Korea were recruited for cross-sectional sample. Attachment in childhood was measured using Mother-Father-Peer Scale. Self esteem was measured with Hare self esteem. Perceived self efficacy in Health was measured by the School Health Efficacy Questionnaire. The path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in childhood and self-esteem, self-esteem and health efficacy in adolescents. Self esteem was the strongest contributing factor for health efficacy in adolescent. The results suggest that attachment in childhood may aid in formulating positive self -esteem in adolescents and self-esteem played a major role in predicting health efficacy in adolescents. Conclusion: Therefore, self-esteem enrichment should be incorporated with adolescent health promotion and certainly should be a component in any health education program in school health program and interventions.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of psychosocial and family related factors on health promotion and health education for the health care provider with regard to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in adolescent popu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