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ractomorpha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산 섬서구메뚜기속(Atractomorpha)의 분류학적 검토 (A Taxonomic Review of the Korean Atractomorpha Saussure, 1862 (Orthoptera: Caelifera: Pyrgomorphidae))

  • 김태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03-409
    • /
    • 2009
  • 한국산 섬서구메뚜기속(Atractomorpha)의 분류학적 검토를 통해 섬서구메뚜기(Atractomorpha lata (Motschulsky, 1866))와 분홍날개섬서구메뚜기(신칭)(A. sinensis Bolivar, 1905) 두 종을 확인하였다. 이 중 분홍날개섬서구메뚜기는 한반도 남단의 섬 제주도와 가거도로부터 처음 보고되는 한국 미기록종이다. 두 종을 비교하여 동정할 수 있는 검색표, 기재, 사진 및 분포 정보를 제시하였다.

약용식물 전시포에 발생하는 곤충의 종류와 발생시기 (Kinds and Occurring Time of Insect Pests in Medicinal Plant Garden)

  • 이동운;한건영;박정찬;유황빈;김동수;이상명;김철수;박정규;추호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371-390
    • /
    • 2007
  • 2005년 10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경남 산청군의 농업기술센터 약초전시포에서 32목 50과 121속 132종의 약용식물을 가해하는 절지동물들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9목 44과 86속 98종의 해충류가 채집되었는데, 대부분의 약용식물에서 5종 이하의 해충이 채집되었다. 그러나 부용 (Hibiscus mutabilis), 갯기름나물 (Peucedanum japonicum), 독활 (Aralia cordata), 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바디나물 (Angelica decursiva), 뻐꾹채 (Rhaponticum uniflorum), 인동덩굴 (Lonicera japonica),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짚신나물(Agrimonia pilosa)등에서는 5종 이상의 해충이 채집되었다. 채집된 절지동물 중 98.5%가 약용식물의 잎을 가해하고 있었다. 시기별로는 5월이 6목 20과 32속 36종으로 가장 많았다. 해충들은 대부분 5종 이하의 약용식물에서 채집되었지만 섬서구메뚜기 (Atractomorpha lata) 와 알락수염노린재(Dolycoris baccarum), 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sicae), 애긴노린재(Nysius plebejus)는 각각 42종, 22종, 20종, 15종의 약용식물에서 채집되었다. 그리고 섬서구메뚜기와 복숭아혹진딧물의 기주범위가 넓었으며 발생량도 많아 가장 문제되는 해충들이었다. 5월에는 목화진딧물 (Aphis gossypii)이 우점 해충이었으며 6월에는 알락수염노린재, 8월과 9월은 섬서구메뚜기, 10월에는 복숭아혹진딧물이 우점 해충이었다.

Genetic Structure In Korean Populations of Atractomorpha lata (Orthoptera: Pyrgomorphidae)

  • 정명지;강순석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4호
    • /
    • pp.535-538
    • /
    • 1997
  • Allozyme variation of seven enzyme systems was analyzed from 202 individuals from four Korean populations of Atractomorpha lata. These populations exhibit higher levels of values of in most other insects with a mean 64% of polymorphic loci and a mean 0.384 of expected heterozygosity within populations. Fixation indices indicated considerable substructuring within populations sampled (mean $F_{is}=0.403)$, indicating probable inbreeding or assortative mating coupled with restricted migration between subpopulations. This was supported by the field observation that the species exists as small, discrete colonies in meadow habitats and females carry males.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ere frequencies between males and females at polymorphic loci examined (70%, 16 of 23 cases) could account for the observed heterozygote deficiencies.

  • PDF

메뚜기류 추출물의 염증 조절작용 및 세포사멸보호 효과 (Anti-inflammatory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n Hydrogen Peroxide-induced Cytotoxicity of Grasshopper Extracts)

  • 박자영;허진철;우상욱;윤치영;강석우;황재삼;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96-802
    • /
    • 2006
  • 항산화능이 있는 곤충 추출물을 검색하기 위하여 초고속 스크리닝 시스템을 이용하여 몇 가지의 hit를 검색하였다. 메뚜기를 각 용매별 (DW, DMSO, Ethanol, Methanol)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능 검색과 함께 과산화 수소의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항산화 관련 실험인 DPPH, FRAP assay의 경우 실험에 사용된 모든 메뚜기류의 모든 에탄올과 메탄을 추출물에서 $50{\sim}60%$ 정도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SH-SY5Y cells를 이용한 과산화 수소로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해서는 과산화 수소만 처리한 세포의 생존율이 14% 정도인데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생존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벼메뚜기의 DW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생존율이 50% 정도로 증가하여 높은 세포보호효과를 보였다. 또한 항산화 실험과 연관지어 염증관련 분자 표적 유전자인 Cox-2의 억제능을 살펴보기 위해 Cox-2 promoter assay를 실시하였는데 DMSO 추출물에서 좋은 활성을 보였을 뿐 다른 추출물에서는 억제능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는 메뚜기류 추출물이 천연 항산화제를 이용하는 기능성 소재에 적합한 천연물질이라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앞으로 생물활성과 유용성분의 분리정제를 통해 순수 물질을 확보하여 보다 많은 연구 결과의 축적이 필요하다.

메뚜기류유충의 혈구(血球)에 대한 미세구조(微細構造) (An Ultrastructural Study on Larval Hemocytes of Orthoptera)

  • 남상호;양희영;김우갑;김창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8권1호
    • /
    • pp.23-31
    • /
    • 1978
  • 방아깨비, 사마귀, 섬서구메뚜기의 종령유충을 재료로 하여 전자현마경적 관찰을 하였다. Prohemocyte는 세포중 가장 작고 구성비도 낮으며 그 구조상 다른 혈구의 기원이 되는것 같다. Plasmatocyte는 나비류에서 와는 달리 그 형태가 대부분 난형이고 허족과 소기관을 가장 많이 가진다. Granular Cell은 종에 따라 그 형태가 뚜렷이 구분되며 어느 경우나 구성비는 높았다. 같은 세포의 과립이라 할지라도 그 미세구조가 몇 가지로 구분되고 이것은 아마도 축적단계에서 오는 결과인듯 하다. Adipohemocyte 는 방아깨비에서만 나타났고 구성비는 대단히 낮았다.

  • PDF

도시생태네트워크 측면에서의 옥상녹화입지를 위한 목표종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lecting Target Species for Rooftop Greening Construction from Urban Ecological Network Point of View)

  • 최희선;김귀곤;홍수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31
    • /
    • 2004
  • Ecological network can solve the ecological problems such as habitat cutting and fragmentation that are resulted from urbanization. Recently, rooftop biotope construction has been appeared as a usefull method for ecological networking in urban a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possibility of rooftop greening introduction as well as to select target species for rooftop greening construction from the urban ecological network point of view. In order to select target species, we monitored two adjacent rooftop greening sites, where we found 22 species of birds and insects and 33 species of plants. We set criteria to select target species through documents research, and gave marks species according to the criteria with the help of specialists. We divided the target species into 5 groups on the basis of the 12 selecting criteria. In those two monitored rooftop greening sites, we did not find any species belong to group A, which is the best target species, but we found species belong to the other groups. Orthetrum albistylum, Sympetrum dawinianum belong to group B, which is the priority target species, 7 species besides Passer montanus, Coccinella axyridis, Agrionidae to group C, which is the possible target species, 6 species besides Atractomorpha lata to group D, which is the potential target species, and the others were found to be inadequate to the target species. We found Orthetrum albistylum, Sympetrum dawi-nianum to be the best appropriate target species in the two sit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method of ecological network construction from the dra-gonfly habitat network point of view through the construction of rooftop habitat is ideal for Orthetrum albistylum, and Sympetrum dawinianum. For successful urban ecological network construction, selection criteria and construction techniqes & methods for rooftop habitat should be developed through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