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tha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5초

해조류 유래 호흡기 질환 천식 치료제 연구 동향 (A Review of Marine Algae-derived Therapeutic Agents for Respiratory Disease Asthma)

  • 김태희;허성영;오건우;김민성;최일환;정원교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0
    • /
    • 2020
  • Asthma is a complex inflammatory disease of the lung characterized by variable airflow obstruction, airway hyperresponsiveness, airway inflammation, and reduction of respiratory function. Its prevalence and incidence are increasing because of the effect of various environmental and lifestyle risk factors. Steroid inhalation, long-acting agonists, and other synthetic drugs are used for the treatment of this disease. However, they have some side effects and show unsatisfied result and response after treatment. Therefore, man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natural product-related treatment for asthma to suppress the side effects and unsatisfied results. Seaweeds contain various bioactive compounds with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us, we investigated the asthma treatment-related literature using marine algae via the Google scholar search engine. Consequently, the literature is rarely investigated, but is increasing steadily. The literature was performed as a comparison study with an ovalbumin-induced group or drug-treated group, and investigated the antiasthma activity of algae ethanol extract. 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marine algae-derived therapeutic agents for asthma, the amount of literature is rare compared with those of herbal medicine-derived therapeutic agents. Conclusively, we suggest that many researchers should investigate and develop algae-derived therapeutic agents for asthma treatment.

마황윤폐탕이 ovalbumin으로 유발된 mouse의 천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hwangyoonpye-tang on Asthma Induced by Ovalbumin in Mouse)

  • 김지윤;박동일;김종대;감철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453-1462
    • /
    • 2003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Mawhangyounpye-tang against to asthma, astham was induced to allergy-sensitive Balb/c mouse with ovalbumin using method of Hatfield et al (1997). The changes of diameter lumen of upper portion of the trachea, lung weight, gross appearance of lung, histological profiles of lung and trachea, numbers of cellular compartment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numbers and morphology of the mast cells in the trachea, numbers of mucus-secretory cell in the broncus, morphology of the bronchus, ultramicroscopical appearance of surface of trachea and number of cilia and mucous-secretory cell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iameters of trachea lume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sthma induced control groups and these decreasing were result from hypertrophy of mucous membrane. However, these phenomena were dramatically recovered in the Mawhangyounpye-tang dosing groups. 2. Lung weights and black spots, which were result from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sthma induced control groups but these phenomena were dramatically recovered in the Mawhangyounpye-tang dosing groups. 3. Hypertrophy of mucous membrane of trachea and bronchus and !bronchioles in the lung, peritracheal, peribronchus and peribronchiolar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mucoid exudate deposit in the lumen were observed in asthma induced control groups but these phenomena were dramatically recovered in the Mawhangyounpye-tang dosing groups. 4. Cellular compartments including neutrophil and eosinophil were dramatically increased in the BALF of asthma induced control groups but these phenomena were dramatically recovered in the Mawhangyounpye-tang dosing groups. 5. Mast cell degranulation and decreasing of the numbers of mast cells were detected in the trachea of asthma induced control groups. However, these phenomena were dramatically recovered in the Mawhangyounpye-tang dosing groups. 6. Shed, decreasing of cilia cell and increasing of mucous-secretory cells in the surface of the trachea of asthma induced control groups but these phenomena were dramatically recovered in the Mawhangyounpye-tang dosing groups.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Mawhangyounpye-tang has somewhat favorable effect on the asthma because the asthma specific series of abnormalities in respiratory system were decreased after oral administratin of Mawhangyounpye-tang in this study. In future, it is needed that the toxicological and dosagespecific study of Mawhangyounpye-tang to use against asthma with safe.

운동유발성 천식과 위식도역류와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Induced Asthma and Gastroesophageal Reflux)

  • 이흥범;이양덕;김현철;이용철;이수택;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2호
    • /
    • pp.203-209
    • /
    • 2000
  • 연구배경: 위식도역류는 정상인 보다 천식환자에서 약 30-85% 정도 높다. 최근 운동에 의해 위식도역류가 증가한다는 보고를 통해 운동시 증가하는 위식도역류가 운동유발생 천식의 발생에 기여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운동유발성 천식의 기왕력이 있는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부하검사와 식도내 pH측청, 운동 전후의 폐활량 검사를 시행하여 위식도역류와 운동유발성 천식을 판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유발성 천식과 기관지천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메타콜린 기도 유발시험(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 MBPT)을 시행하여 대상환자를 운동유발성 및 메타콜린 과민성 천식군(Group I, EIA and methacholine hypersensitive asthma group), 운동 유발성 천식군(Group II, EIA group), 대조군(Group III)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전체 18명의 환자 중 남자는 6 명, 여자는 12명이었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41.1 세이었다. 본 연구에 참가한 모든 환자는 병력상 운동유발성 천식을 의심할 만한 기왕력을 갖고 있었으나, ${\Delta}FEV_1$이 20% 이상 감소한 환자는 대상 환자 18명중 15명이었다. 대상 환자 중 ${\Delta}FEV_1$이 20% 이상 감소한 1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MBPT 결파상 PC20 값이 8 mg/ml 이하에서 $FEV_1$이 20% 이상 감소하여 기관지천식으로 진단된 환자는 12명이었으며, 나머지 3 명은 음성을 보여 운동유발성 천식(Group II)으로 판정하였다. 전체 18예 모두 운동 전에는 의미있는 식도내 pH 감소는 없었으며 운동 후 5예에서 식도내 pH 4 이하로 60초 이상 감소하고, pH 4 이하의 시간 백분율이 7.0% 이상을 보여 위식도역류성 질환으로 진단하였으며, 이중 3예는 Group 1 이었고, 나머지 2예는 Group II이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운동유발성 천식 환자에서 위식도역류의 빈도는 33.3%(5/15) 이었다. 모두 5 명의 환자에서 위식도역류가 관찰됨으로써 위식도역류가 다른 여러 요인들과 더불어 운동유발성 천식의 병태생리의 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운동유발성 천식 환자들의 진단 및 치료시에 위식도역류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이 의미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생쥐 천식모델에서 생후 조기 알레르겐/내독소 노출이 성숙 후 알레르기 기도염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allergen/endotoxin exposure on subsequent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to allergen in mouse model of asthma)

  • 나영호;최선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4호
    • /
    • pp.481-487
    • /
    • 2010
  • 목 적: 최근 여러 연구결과 천식을 포함한 알레르기질환의 발병에 소아 성장시기에 알레르겐이나 내독소(LPS)등과 같은 물질에 노출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에 연구자들은 출생 초기에 기도 점막을 통한 알레르겐과 내독소에의 노출이 성장한 후에 알레르기 기도염증과 과반응성의 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생쥐 모델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실험동물은 무균 상태의 생후 1주이내의 암컷 BALB/c 생쥐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들에게는 각각 신생생쥐시기에 생리식염수, 1% ovalbumin (OVA), $1.0{\mu}g$ LPS, $1.0{\mu}g$ LPS in 1% OVA를 각 비공을 통하여 투여하였다. 실험동물은 연구 시작 제 35일부터 10일간 5% OVA로 감작시켰으며 최종 기도 감작 10일 후부터 3일간 1% OVA로 기도 항원유발을 시행하였다. 최종 기도유발 48시간 후 체적검사(plethysmography)를 이용하여 비특이적 기도과반응성 검사(Methcholine challenge test)를 시행하였으며 검사 후 실험동물을 희생시켜 검체를 취하여 BAL액내 세포분획, 사이토카인, 혈청 면역글로불린을 측정하였다. 결 과: 1) 메타콜린에 의한 기도과반응성은 생후 초기에 OVA, LPS, OVA/LPS를 투여한 군에서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2) OVA, LPS, OVA/LPS를 투여한 군에서 BAL 액내의 호산구수와 IL-4, IL-5가 유의하게 낮았다. 3) 혈청내 OVA 특이 IgE는 OVA, LPS, OVA/LPS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 론: 본 연구 결과 신생생쥐 시기의 점막을 통한 항원, 내독소의 노출이 성숙한 후 항원에 의한 기도염증 및 과반응성의 발생을 억제하였으며 향후 이러한 효과의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