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essments, Educational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3초

COVID-19's Rapid Digitalization of Construction Education: Built Environment Instructor Experience in Kwazulu-Natal, South Africa.

  • Mall, Ayesha;Haupt, Theodore C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476-483
    • /
    • 2022
  • The novel coronavirus pandemic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ociety and everyday life. The pandemic imposed a global shutdown leading to many challenges such as the suspension of academic programs at universities. The result of this suspension contributed to the rapid overnight migra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from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to a virtual environment which until then was unfamiliar to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This study identified the experiences faced by built environment higher education instructors in KwaZulu-Natal, South Africa during this sudden switch to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This pilot study employed a quantitative research approach to survey instructor experiences on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during a global pandemic. The data was computed and analyzed using IBM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SPSS) version 27.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The study sample comprised of 20 higher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region of the KwaZulu Natal province in South Africa. Findings from the study revealed that instructors faced adaptive challenges with rapidly having to redesign and remodel the mode of academic course delivery and assessments to suit an online platform. Additionally, instructors observed that students faced technological challenges such as connectivity and navigating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platforms. The challenges identified by instructors and students can be effectively transformed to opportunities for future learning under the 'new normal'.

  • PDF

Effects of Preclinical Virtual Reality Simulation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정미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413-1424
    • /
    • 2023
  • Virtual reality (VR)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especially in the teaching of VR simulations just prior to clinical practice, has the potential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linical practice and better prepare nursing students for patient ca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preclinical VR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self-efficacy, problem-solving ability, and perceived clinical competency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May and June 2021 using a pretest-posttest design with a control group. A total of 42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rom two separate classes. The intervention group participated in VR simulation education, while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lecture-based education, before beginning clinical practice. Assessments were conducted before preclinical education and after completing clinical practice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s, independent t-tests, and ANCOVA.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intervention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perceived clinical competenc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 = 5.25, p = 0.029) after controlling for pretest score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self-efficacy, or problem-solving abilities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eclinical VR simulation education is partially effective in preparing nursing students for their clinical practice, underscoring the need for a balanced educational approach that integrates VR with clinical practice to develop a full spectrum of nursing skills and knowledge.

인공지능 기반 학습 지원 시스템에 관한 사례 분석 (Case Analysis on AI-Based Learning Assistance Systems)

  • 지현경;김민지;이가영;허선영;김명선
    • 공학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3-11
    • /
    • 2024
  • This study classifi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systems by type, presenting their key features and examples, with the aim of outlining future directions for system development and research. AI-based learning assistance systems can be categorized into instructional-learning evaluation types and academic recommendation types, depending on their purpose. Instructional-learning evaluation types measure learners' levels through initial diagnostic assessments, provide customized learning, and offer adaptive feedback visualized based on learners' misconceptions identified through learning data. Academic recommendation types provide personalized academic pathways and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functions to assist with overall school life, based on the big data held by school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future system development should clearly define the development purpose from the planning stage, considering data ethics and stability, and should not only approach from a technological perspective but also sufficiently reflect educational contexts.

임상간호사의 항생제 스튜어드십 인식도와 수행도 (Clinical Nurse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Antimicrobial Stewardship)

  • 노보영;유정옥
    • 임상간호연구
    • /
    • 제30권2호
    • /
    • pp.125-138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antimicrobial stewardship among clinical nurses an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ir role through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matrix. Methods: The study included 203 nurses working in hospitals of general hospital level or higher.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April 9 to May 6, 2024. Data analysis involv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Scheffé tests, and IPA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perception score for antimicrobial stewardship was 4.42±0.46, while the performance score was 3.96±0.53.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performance were observed across several ares: observation of patients, checking with/suggesting to physician based on assessments, implement tests and antimicrobial administration, patient education and support, coordinating multiple disciplines and institutions, acquiring up to date knowledge(p<.050). Perception was highest in the area of implement tests and antimicrobial administration but lowest in coordinating multiple disciplines and institutions. Conclusion: To establish the specific role of nurses in antimicrobial stewardship, improving nurse perception and fostering collaboration with various experts are essential.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and institutional support tailored to nurses is necessary to address areas identified for improvement in both perception and performance.

청소년 병동에 입원한 비행 청소년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UNRULY & DELINQUENT ADOLESCENTS ADMITTED TO A PSYCHIATRIC INPATIENT UNIT)

  • 이영식;김원정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1호
    • /
    • pp.70-82
    • /
    • 1997
  •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의 사회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비행을 직접적으로 유발시키는 요소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청소년 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정신증 진단을 제외한 210명을 비행의 정도에 따라 경찰체포후 훈방된군(60명), 재판 판결을 받은군(35명), 이러한 사실이 없는 정서적으로 혼란된 비교군(105명)으로 나누어 인지-학습, 감정상태, 자살사고, 성격특성, 가족구조, 생활사건 영역에 관한 표준화된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공유진단을 파악하고자 이중 무작위로 60명은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비행청소년은 비교군에 비해 1) 입양, 성생활의 문란, 가출, 정신과 입원력이 높았으며, 2) 언어성 지능지수 및 학습능력이 떨어지고, 3) 성격구조상 충동적이고 사회순응도가 낮으며, 강압적이며, 4) 가족단위의 여가활동이 적고, 낮은 종교 도덕관을 가진 가족의 특성을 보였으며, 5) 부정적 생활 경험이 많았고, 6) 품행자애, 반항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진단율이 높았다. 우울, 불안, 자살사고는 3군중 훈방된군에서 가장 낮게 나왔다. 따라서 비행청소년을 다룰 때 비행에 관여하는 인지학습측면, 충동적인 성격구조, 가족구조, 부정적 생활경험, 파탄적 행동장애 측면에 관한 보다 집중적인 대처방안이 강구되어져야 하겠다.

  • PDF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 '창의공학설계' 단원 신설에 따른 기술교육과 교수의 인식 분석 (Study on Recognitions of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Professors Introducing 'Creative Engineering Design' Unit of High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김성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28-14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에'창의공학설계' 단원이 신설됨에 따라 창의공학설계 관련 수업을 먼저 경험한 기술교육과 교수 (professor)의 인식을 분석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의 '창의공학설계' 수업 방향과 대학 과정의 예비 기술 교사를 대상으로 한 창의공학설계 수업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설문지는 34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16명의 기술교육과 교수에게 수집되었다. 데이터는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공학설계의 교육 목표에서 문제 해결 능력 응답 평균이 가장 높고 (M=4,44), 공학체험 기회, 창의력 향상 순으로 낮아졌다. 창의공학설계 교육 내 용에 대한 응답에서는 창의 사고기법 교육 평균(M)이 3.94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발표를 위한 자료 작성 교육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창의공학설계 교육 범위 응답에서는 아이디어 구상에서 설계, 제작을 선호하고 있고, 교수 학습 방법에서는 설계중심학습법 평균이 가장 높고, 문제중 심법과 문제해결법도 선호하였다. 셋째, 수업 운영에서는 실습 공간 및 실습 재료비 확보, 진행 상황 점검이 필요하며, 평가에서는 작품, 포트폴리오, 발표 등 다양하고 종합된 방법을 선호하였다. 넷째, 대학 과정의 예비 기술 교사 수업에서 작품 수준은 생활 속의 불편한 것을 개선하는 작품을 선호하였고, 작품 제작에서 어려운 점은 전공 지식의 부 족과 제품 구상이었다.

미국의 초중등교육법 분석: 문헌정보 서비스 내용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of the U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 장령령;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57-38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년 '모든 학생 성공법'에 의해 재인증된 미국의 초중등교육법을 문헌정보 서비스의 관점에서 법률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문헌정보 서비스 개선 등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이 법에는 최초로 '효과적인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학교 사서'가 명시되어 있으며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학교 사서'를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 도서, 자원, 최신 자료, 기술, 도서관 서비스 및 교육 서비스와 연계시키고 있어 미국의 초중등학교에서 문헌정보 서비스가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재정적 제도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 법에는 학교 사서가 개인화된 학습 경험, 증거 기반 평가, 전문성 개발에 참여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리터러시 및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하여 학생, 교직원, 학부모에게 문헌정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접근성 강화, 사서교사 등의 문헌정보 서비스 업무 구체화, 학교 구성원과의 협력 강화, 증거 기반에 따른 교육 활동, 교육적 효과의 공유, 문헌정보 교육과정 개발을 논의하였다.

창의성 영역문제의 탐색 및 재접근 (Investigation of Domain-specificity of Creativity and the 3-year follow-up)

  • 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34
    • /
    • 2005
  •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구 1에서는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과 영역 보편성의 문제가 109명의 초등학교 2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연구 1의 주목적은 첫째, 세 가지 다른 영역간의 아동들의 창의성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둘째,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능력과 세 영역에서의 창의성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 참여하였던 학생의 일부 (71명)을 대상으로 후속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2에서는 전문가 평정에 의한 창의적 수행평가가 3년이라는 기간동안 장기적 안정성을 나타내는가의 문제와 최근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창의성의 영역문제에 있어서의 방법론적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실제의 수행평가를 사용할 경우와 자기보고 형식을 사용할 때에 창의성의 영역 문제에 대한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들의 창의력이 영역 보편적이기보다는 다소 영역 특수적이라는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아동들은 세 가지 다른 영역에서 일관성 있는 창의적 능력을 보이기보다는 각 영역 간 폭 넓은 창의력의 차이를 보이므로 창의력이 상당히 영역 특수적임을 제시했다. 또한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창의성 검사들은 세 가지 영역에서 드러난 아동들의 창의성과 매우 낮거나 무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함께 이 연구는 전문가 평정에 의한 아동의 창의적 수행평가가 적절한 신뢰도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도 안정적이고 타당한 창의성 평가 방법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창의성에서의 영역문제가 어떠한 접근 방법을 취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이 제기되었고 그에 따른 논의가 전개된다.

자가혈당 측정결과기반 당뇨교육프로그램이 제2형 당뇨병환자의 혈당조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Based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on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es)

  • 심강희;황문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7-136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SMBG)-based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DSME) on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es.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changes in glycemic control over 12months in SMBG-based DSME group (n=65) versus control group (n=65). Data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type 2 diabetic patients treated with oral antidiabetic agents and above HbA1c 7.0% from June 2006 to August 2008. All participants completed DSME defined as informational intervention of lifestyle habits and reinforcement of educational Monthly News letter delivered by the diabetes nurse educator. SMBG-based DSME group requested to measure blood glucose 7 times a day for a week and to record their diary and received counseling with a focus on diet and lifestyle during the education. Assessments were conducted baseline, 3, 6 and 12 months. HbA1c was used as an index of glycemic control. Results: 12 months later, the level of HbA1c was reduced by $1.28{\pm}1.68%$ in experimental group and $0.49{\pm}1.05%$ in the control group. We found a significant effect of $Time^*$ Group interaction (p=.013). Conclusion: SMBG-based DSME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ith oral antidiabetic agents was effective in improving glycemic control and maintaining long-term glycemic control.

국내외 독서진흥정책에 대한 평가와 개선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Policy for Reading Promotion)

  • 정일권;조윤경;채영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69-190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외 독서진흥정책에 대한 평가를 통해 독서 문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독서진흥 정책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독서문화진흥법"을 중심으로 국내 독서진흥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해외 독서진흥 정책은 인프라 구축, 세제 지원법, 캠페인으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독서진흥정책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평가 작업을 위해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정책에 대한 인지 정도, 독서진흥에 기여정도, 여론지지 정도, 정책 시행의 현실성 등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정책의 대상이자 독서를 하는 일반인들의 의견도 수렴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가 교육적 도구가 아닌 즐거움의 도구라는 인식의 전환과 그러한 독서 문화 정착을 위한 사회적 캠페인을 활성화할 필요성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