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bestos exposure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1초

우리나라의 석면 생산과 사용 및 근로자 수와 노출농도의 변화 (The Production, the Use, the Number of Workers and Exposure Level of Asbestos in Korea)

  • 최정근;백도명;백남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42-253
    • /
    • 1998
  • 우리나라에서 석면생산은 약 60년 전 부터 시작되었으며 총 생산량은 약 145,000톤이었다. 이들의 대부분은 백석면이었으며 일부 토면과 산피(Sepiolite)였다. 충남 광천지방의 석면광산은 백석면이고 홍성지방의 석면은 토면이었다. 석면의 사용은 슬레이트 생산으로부터 시작하였으며, 일제시대부터 약 55년, 석면방직과 석면마찰제 생산이 27년 전부터 시작되었다. 석면의 수입량은 1976년부터 1995년까지 약 122만 톤이 수입되었으나 1976년 이전의 수입량까지 포함한다면 이보다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석면의 수입은 급격한 증가가 없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년간 약 8만9천 톤이 수입된다. 이들의 대부분은 석면건축자재인 슬레이트, 석면판 등의 생산과 석면마찰제의 생산에 사용되고 있다. 석면의 노출농도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나 일부 근로자에서는 석면관련 질환의 발생이 염려되는 수준이었다. 석면방직업의 경우 1987년 최고 45.7 fibers/cc까지 달하였으나 1984년 6.7 fibers/cc이었으며, 96년 석면방직업에서 1.87 fibers/cc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허용기준을 초과하고 있었다. 브레이크라이닝 제조 사업장에서는 1984년 1.70 fibers/cc, 1966년에는 0.55 fibers/cc로 감소하고 있으나 극히 일부의 근로자에서는 허용기준을 초과하고 있었다. 따라서 석면관련 질환의 발생은 석면방직업과 석면마찰제 사업장에 국한될 것으로 보인다. 석면사업장은 1993년 118개이며 총 취급근로자 수는 6,636명이었을 것으로 추산되었다. 사업장수와 취급근로자수의 증가가 둔화되었다고는 하나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중 10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는 1,860명이며 20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도 561명에 달하고 있어 건강장해가 발생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폐암이나 중피종암 등이 밝혀지지 않은 것이지 없는 것은 아닐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빅데이터환경에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의 석면 트렌드 (1918년~2027년) (Asbestos Trend in Korea from 1918 to 2027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in a Big Data Environment)

  • 노열;정현이;박병노;김채원;김유미;서민아;신행수;김현욱;성예지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4호
    • /
    • pp.457-473
    • /
    • 2023
  • 석면은 악성중피종과 폐암 등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기 때문에 국내에서 2009년부터 그 사용이 전반적으로 금지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지난 수십년 간 석면이 생산 및 수입되어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우리 주변에는 여전히 석면함유물질이 많이 존재하고 있어 안전한 관리가 절실하다. 이 연구는 지난 32년(1991년 ~ 2022년)동안의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석면관련 주요키워드를 이용하여 석면관련 트렌드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국내 과거(1990년 이전)의 석면의 생산, 수입, 사용 실태와 더불어 현재(2023년~2027년)의 석면관련 정책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991~2000년에는 국내 석면의 생산과 수입 그리고 이용으로 인하여 석면에 대한 발암성이 부각되는 시기로 연구, 근로자, 발암물질, 환경등과 관련된 키워드가 주를 이루었다. 2001~2010년에는 석면의 발암성과 관련하여 미국, 일본 등에서 소송이 시작되었던 시기로 폐암, 소송, 발암물질, 노출, 기업 등의 키워드가 주를 이루었다. 2011~2020년에는 국내에서도 석면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는 키워드인 발암물질, 야구장, 학교, 슬레이트, 건축물, 폐석면광산 등이 지속적으로 상위권 키워드로 검색되었다. 2021년부터는 주로 검색되는 키워드는 학교, 슬레이트, 건축물 등과 조경석, 환경영향평가, 아파트, 시멘트 등의 키워드가 나타났다.

발열반응 촉매제와 열처리를 이용한 석면함유 슬레이트의 무해화 연구 (Transformation of Asbestos-Containing Slate Using Exothermic Reaction Catalysts and Heat Treatment)

  • 윤성준;정현이;박병노;김용운;김혜수;박재봉;노열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6호
    • /
    • pp.627-635
    • /
    • 2019
  • 슬레이트는 석면을 이용한 대표적인 건축자재 중 하나로써 백석면(10~20%)과 시멘트 성분을 결합하여 만든 제품이다. 슬레이트에 포함되어 있는 석면은 인체에 유입되면 세포 손상이나 변형을 일으키고 체외로 잘 배출되지 않아 폐암, 석면폐, 악성중피종 및 흉막비후 등과 같은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입증되어 1977년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하였다. 현재 이러한 슬레이트는 대부분 지정매립장에 매립하여 처리하고 있으나 매립용량이 한계에 다다르고 있고 매립한다고 하여도 추후 외부환경으로 노출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성이 있어 매립 처리방법 이외에 슬레이트에 포함된 석면을 무해화하여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발열반응 촉매제와 열처리를 이용하여 슬레이트에 함유된 석면 무해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석면해체·제거 사업장에서 발생한 석면함유 슬레이트를 이용하였고 발열반응 촉매제는 염화칼슘(CaCl2), 염화마그네슘(MgCl2), 수산화나트륨(NaOH), 규산소듐(Na2SiO3), 카올린[Al2Si2O5(OH)4)], 활석[Mg3Si4O10(OH)2]을 이용하여 총 6가지의 촉매제를 제조하였다. 6가지의 촉매제를 슬레이트에 각각 도포한 후 열중량-시차열분석(TG-DTA)을 실시하여 분석결과를 토대로 슬레이트 무해화를 위한 열처리 온도를 750℃로 결정하였다. 슬레이트에 6가지 촉매제를 각각 도포한 후 750℃에서 2시간 열처리하여 X-선 회절 분석(XRD), 주사전자현미경 분석(SEM-EDS), 투과전자현미경 분석(TEM-EDS)을 한 결과 슬레이트 내 백석면[chrysotile, Mg3Si2O5(OH5)]이 주상의 고토감람석(forsterite, Mg2SiO4)으로 상전이 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슬레이트 원시료와 발열반응 촉매제 도포 후 열처리한 시료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광물의 형상 변화를 비교 관찰한 결과, 슬레이트 내 백석면은 섬유형을 유지하였으나 촉매제 도포 및 열처리를 한 시료는 무정형 형태로 깨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발열반응 촉매제와 열처리를 통하여 낮은 온도에서 경제적으로 석면함유 슬레이트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선박에서의 석면 사용실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asbestos use on ships)

  • 박승현;정은교;권지운;김갑배;정광재;이광용;신정아;이인섭;강성규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23-127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asbestos-containing materials (ACMs) used on ships and to consider measures for preventing worker exposure to asbestos fibers. Methods: A total of 17 ships including 16 ships under repair and a ship under construction at shipyards in Korea were investigated. Bulk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uspected ACMs on engine exhaust pipes, boiler steam pipes, generator exhaust pipes, and etc. in ships in order to identify the presence of ACMs. Types and contents of asbestos were determined using polarized light microscopy (PLM). Results: ACMs were found from 14 ships out of 17 ships investigated. Only chrysotile asbestos was found from all samples. ACMs were mainly found from samples collected at the exhaust pipes of the engine, generator and incinerator, and boiler steam pipes where exhaust gases or steam of high temperature pass through. In most cases, types of ACMs were asbestos-containing fabrics such as asbestos tape. Friable ACMs were also found in some cases. Use of ACMs on ships was relevant to built time and owner of the ships rather than type and tonnage of the ships. Conclusions: ACMs were found from most ships built prior to 2000s. Therefore, measures for preventing asbestos-related diseases such as preparation of asbestos map on the ship and installation of warning signs, hazard communication with workers (ship-repairing workers, engine room workers and etc.), and follow-up for worker's health management are needed.

우리나라 노출기준 초과 발암성물질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Carcinogens Exceeding Occupational Exposure Limit in Korea, 1999 to 2009)

  • 피영규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27-235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157 processes of 145 industries that exceeded Korean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KOEL) for carcinogen during the 11 year period from 1999 to 2009. The data included number of industry and workers exposed, type of carcinogen and their exceeded ratio, type and size of industry in each year. These data were collected by 46 regional employment & labor offices in Korea using work environment monitoring reports. The result showed that, in each year, about 10 industries exceed their carcinogen exposure limit. The most common carcinogen exceeding KOEL were found to be formaldehyde, benzene, ethylene oxide and chromium VI. The carcinogen with the highest level of over-exposure were in the order of formaldehyde, benzene, ethylene oxide and asbestos. Fabricated metal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were found to be most vulnerable against carcinogen with 11.1% of them exceeding carcinogen KOEL followed by electronic components manufacturing industry (8.3%), chemical products manufacturing industry (6.3%), and electrical equipments manufacturing industry (4.9%). The industry employing less than 50 workers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exceeding carcinogen KOEL with 52.8%. The result also showed that strengthening KOEL for benzene and asbestos helped reduce the level of carcinogen over-exposure. Based on these results, strengthening the KOEL or new regulation turned out to help reduce the carcinogen over-exposure level. Benzene, ethylene oxide and chromium VI were the most frequently over-exposed carcinogen with the highest level. Therefore, these chemicals need to be regulated with a highest priority to improve the workplace environment.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small-sized industries employing less than 50 workers was the most vulnerable against carcinogen exposures. Therefore, more government support are needed for these small-sized industries to help them to improve their workplace environment.

서울시내 건축물 석면해체·제거 사업장 및 주변에서의 공기 중 석면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at Demolition Sites and Surrounding Areas of Asbestos Containing Buildings in Seoul)

  • 이진효;이수현;김정연;김지희;정숙녀;김진아;김익수;어수미;정권;이진숙;구자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34-44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석면해체 제거작업에 따른 작업자 및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내 건축물 석면해체 제거 사업장을 대상으로 공기 중 석면농도를 조사하고, 측정결과가 "석면안전관리법"에서 명시된 사업장 주변의 석면배출허용기준에 적합한지를 살펴보았다. 서울시내 총 37개소 석면해체 제거 사업장에서 총 288개의 공기 중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전체 288개 시료 중 101개 시료에서(35%) 검출한계($7fiber/mm^2$) 이하로 나타났다. 이 때 전체 공기 중 석면농도 평균값은 $0.003{\pm}0.002f/cc$로(최대 0.013 f/cc) 대부분의 공기 중 석면농도는 "석면안전관리법"에서 명시된 사업장 주변의 석면배출허용기준 0.01 f/cc 이하로 나타나 서울시내 건축물 석면해체 제거 사업장에서의 석면 노출가능성은 우려할 수준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채취지점별로 살펴보면, 부지경계선(148개), 위생설비입구(25개), 작업장주변(실내)(7개), 작업장주변(실외)(11개)에 대한 공기 중 석면농도 결과, 각각 53개(36%), 5개(20%), 1개(14%), 4개(36%) 시료에서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으며 평균농도는 각각 $0.002{\pm}0.002f/cc$(최대 0.008 f/cc), $0.004{\pm}0.002f/cc$(최대 0.009 f/cc), $0.004{\pm}0.002f/cc$(최대 0.007 f/cc), $0.004{\pm}0.002f/cc$로(최대 0.008 f/cc) 나타났다. 또한 음압기(13개), 폐기물보관지점(27개), 폐기물반출구(9개), 거주자주거지역(48개)에 대한 공기 중 석면농도 결과, 각각 3개(23%), 8개(30%), 2개(22%), 25개(52%) 시료에서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으며 평균농도는 각각 $0.004{\pm}0.002f/cc$(최대 0.009 f/cc), $0.005{\pm}0.004f/cc$(최대 0.013 f/cc), $0.005{\pm}0.003f/cc$(최대 0.009 f/cc), $0.003{\pm}0.002f/cc$0로(최대 0.009 f/cc) 나타났다.

PHYSIOLOGICAL RESPONSES OF GROWING RAMS TO ASBESTOS SHADING DURING SUMMER

  • Tharwat, E.E.;Amin, S.O.;Younis, A.A.;Kotby, E.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4권4호
    • /
    • pp.395-398
    • /
    • 1991
  • Physiological reactions of 24 six months old (22.7 kg. body weight) Barki ram lambs, to hot summer conditions, as influenced by asbestos shading at Maryout area were studied. Animals (12 shaded and 12 Unshaded) developed hyperthermia during summer as their rectal temperature (RT) and respiration rate (RR) were always higher (p<0.01) than normal. Asbestos shading caused higher (p<0.05) RT and RR ($39.5^{\circ}C$ and 69.9 r.p.m. vs. 39.2 and 45.7 r.p.m.) of rams at morning (6-8 a.m.) which became lower ($39.9^{\circ}C$ and 104.3 r.p.m. vs. $40.1^{\circ}C$ and 120.5 r.p.m.) in afternoon (2-4 p.m.) as compared to sun exposure. Shading also resulted in higher hematocrit value (PCV) (35.3% vs. 33.0%) and lower (p<0.05) daily weight gain (128.57 vs. 131.43 g). Diurnal (p<0.01) and monthly (p<0.05) RT and RR change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air temperature (AT) fluctuations. Monthly variation (p<0.05) in PCV was evident. Puberty was reached one month later in the shaded as compared to the unshaded group (265 vs. 232.3 day, respectively). It is concluded that asbestos shading prevents efficient heat dissipation to the sky by hyperthermic rams during summer nights. Construction materials for animal shelters are of extreme practical importance.

중량당 섬유수가 다른 국내산 석면이 폐 기능과 폐 조직에 미치는 영향 평가 (Effect of Fiber Number Per Mass Concentration in Korean Produced Asbestos on Lung Function and Pathology)

  • 정용현;한정희;강민구;김종규;양정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1-308
    • /
    • 2012
  • Objectives: To evaluate the pulmonary toxicity of 2 Korea asbestos(chrysotile, anthophyllite), Sprague-Dawely rats were exposed to 2 mg domestic asbestos by intratracheal instillation(IT). Methods: Lung function of rats was analyzed by pressure transducer(MAX1320, Buxco Electronics, USA). The effects of 2 mg asbestos(chrysotile ; $8,814,244{\times}10^{6}$ fibers/mg, average diameter 0.08 ${\mu}m$, average length 4.39 ${\mu}m$, anthophyllite ; $5,182{\times}10^{6}$ fibers/mg, average diameter 0.95 ${\mu}m$, average length 7.29 ${\mu}m$) on pulmonary function and pathological changes were evaluated at after a single IT. Lung function and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were assessed in 5 animals from each group at each time point. Results: Due to differences in fiber numbers, chrysotile induce marked lung pathology and lung function change than anthophyllite at the same mass dose. Chrysotile showed notable thickening of interstitial areas surrounding the alveolar ducts and terminal bronchioles. Conclusions: On a mass dose basis, chrysotile that have 1,700 times numbers of fibers per unit weight than anthophyllite produced a greater persistent lung injury than anthophllite for at least 4 weeks after exposure.

Cancer Risks among Welders and Occasional Welders in a National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Canadian Census Health and Environmental Cohort

  • MacLeod, Jill S.;Harris, M. Anne;Tjepkema, Michael;Peters, Paul A.;Demers, Paul 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8권3호
    • /
    • pp.258-266
    • /
    • 2017
  • Background: Welders are exposed to many known and suspected carcinogens. An excess lung cancer risk among welders is well established, but whether this is attributable to welding fumes is unclear. Excess risks of other cancers have been suggested, but not established. We investigated welding cancer risks in the population-based Canadian Census Health and Environmental Cohort. Methods: Among 1.1 million male workers, 12,845 welders were identified using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codes and followed through retrospective linkage of 1991 Canadian Long Form Census and Canadian Cancer Registry (1992-2010) records. Hazard ratios (HRs) were calculated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s based on estimated risks of lung cancer, mesothelioma, and nasal, brain, stomach, kidney, and bladder cancers, and ocular melanoma. Lung cancer histological subtypes and risks by industry group and for occasional welders were examined. Some analyses restricted comparisons to blue-collar workers to minimize effects of potential confounders. Results: Among welders, elevated risks were observed for lung cancer [HR: 1.16, 95% confidence interval (CI): 1.03-1.31], mesothelioma (HR: 1.78, 95% CI: 1.01-3.18), bladder cancer (HR: 1.40, 95% CI: 1.15-1.70), and kidney cancer (HR: 1.30, 95% CI: 1.01-1.67). When restricted to blue-collar workers, lung cancer and mesothelioma risks were attenuated, while bladder and kidney cancer risks increased. Conclusion: Excess risks of lung cancer and mesothelioma may be partly attributable to factors including smoking and asbestos. Welding-specific exposures may increase bladder and kidney cancer risks, and particular sources of exposure should be investigated. Studies that are able to disentangle welding effects from smoking and asbestos exposure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