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nutrition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7초

Analysis of the Occurrence of Diseases Following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a Nationwide Claims Study

  • Seo, Ho Seok;Na, Yewon;Jung, Jaehu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1권3호
    • /
    • pp.279-297
    • /
    • 2021
  • Purpose: Various changes in nutrition, metabolism, immunity, and psychological status occur through multiple mechanisms after gastrect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disease status after gastrectomy by analyzing diseases pattern that occur or change after gastrectomy.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using nationwide claims data.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gastrectomy or endoscopic resection were included in the study. Eighteen target diseases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based on their underlying mechanism. The incidence of each target disease was compared by dividing the study sample into those who underwent gastrectomy (cases) and those who underwent endoscopic resection for early gastric cancer (controls). The cases were matched with controls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Thereafter,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were used to evaluate intergroup differences in disease incidence after gastrectomy. Results: A total of 97,634 patients who underwent gastrectomy (84,830) or endoscopic resection (12,804) were included. The incidence of cholecystitis (P<0.0001), pancreatitis (P=0.034), acute kidney injury (P=0.0083), anemia (P<0.0001), and inguinal hernia (P=0.0007) were higher after gastrectomy, while incidence of dyslipidemia (P<0.0001), vascular diseases (ischemic heart disease, stroke, and atherosclerosis; P<0.0001, P<0.0001, and P=0.0005), and Parkinson's disease (P=0.0093) were lower after gastrectomy.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s diseases that may occur after gastr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인공지능기반 건강기능식품 추천서비스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Intention of Use fo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ealth Functional Food Recommended Service)

  • 윤혜정;김영대;김지영;신용태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16
    • /
    • 2021
  •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rket continues to grow, and according to that trend, the subdivision sales of personalized health functional foods, which have been legally prohibited, will be operated as a special regulatory pilot project. Personalized health functional food recommendations have a variety of personalized indicators to consider, and it is believed that algorithmic methods will be needed to proceed in a customized manner considering all of them.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AI-based health functional food recommendation service by studying factors that affect the use of the AI-based health functional food recommendation service. This paper analyzed the intention of use for AI-based health functional food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is study considered information quality factors, service quality factor, and system quality factor as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trust. For empirical analysis, 406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performed using AMOS 22.0 and SPSS 22.0. Research has shown that the accuracy, timeliness, empathy and availabi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usefulness. Understandability and availability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ase of use. The accuracy, understandability, empathy and availibility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rust. Usefulness, ease of use and trust all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ntention of use.

식품 중 아스파탐과 수크랄로스의 섭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ake of Aspartame and Sucralose in Food)

  • 김희연;윤혜정;홍기형;최장덕;박성관;최우정;장영미;이달수;하상철;송옥자;문동철;신일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90-697
    • /
    • 2006
  •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제품 중 아스파탐 및 수크랄로스가 사용 가능한 대상 식품인 빵 또는 떡류, 김치류, 음료류, 어육가공품, 건과류, 아이스크림류, 잼류 및 발효유류 등 46종 755품목을 대상으로 인공감미료 2종에 대한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식이를 통해 실제 섭취되는 인공감미료의 총 섭취량을 조사하여 FAO/WHO에서 ADI와 비교 검토함으로서 인공감미료의 실제 섭취량과 ADI간 안전수준평가 및 사용기준 개정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따라서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식품유형별, 연령대별, 성별 및 인공감미료별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국민영양조사자료에 근거하여 대상식품의 유형과 연령에 따른 인공감미료별 1인 1일당 추정섭취량을 산출하였으며 FAO/WHO에서 설정한 ADI와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검사건수 755건 중 33건의 인공감미료가 검출되어 4.4%의 검출율을 나타내었으며 인공감미료별 검출건수와 검출율은 각각 아스파탐 33건(4.4%) 및 수크랄로스 5건(0.7%)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 식품별 일일추정섭취량을 산출한 결과 아스파탐과 수크랄로스 모두 캔디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총 일일추정섭취량$({\Sigma}EDI)$$1.81{\sim}10.15\;mg/person/day$의 범위로 $7{\sim}12$세에서 인공감미료 섭취가 가장 많았으며 65세 이상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각 인공감미료를 연령대별로 보면 아스파탐은 $13{\sim}19$세, 수크랄로스는 $7{\sim}12$세에서 가장 섭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총 일일추정섭취량$({\Sigma}EDI)$은 남성은 5.09 mg/person/day, 여성은 4.88 mg/person/day으로 나타났다. 국민영양조사표 등의 식품별 1인 1일당 섭취량과 인공감미료별 평균 검출농도로부터 일일추정섭취량$({\Sigma}EDI)$은 아스파탐 3.75 mg/person/day, 수크랄로스 1.27 mg/person/day로 각 인공감미료의 ADI를 국민평균체중 55 kg으로 환산한 $825{\sim}2,200\;mg/person/day$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각 인공감미료의 총 일일추정섭취량은 ADI 대비 0.2% 수준이었고 사용가능 대상 식품의 이론적 최대섭취량(TMDI)의 $1.0{\sim}21.4%$의 수준으로 사용대상식품을 통한 인공감미료의 섭취는 안전하다고 판단된다.

친환경 식품과 가공 식품에 대한 주부들의 인식 및 소비 형태 (Consumption Type of Housewives about Organic and Instant Food)

  • 안정희;강근옥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8-3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주부들의 친환경 식품과 가공 식품에 대한 인식 및 소비 형태를 알아보고자 서울, 경기, 충청 지역의 주부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친환경 식품에 대해 주부들의 약 94.1%가 인지하고 있으며 71.7%는 사용하고 있었다. 가격에 대해서 비싸다는 인식이 많았으며(95.9%), 구입하고 있지 않는 가장 큰 이유도 가격 때문(43.8%)인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큰 구입 동기는 친환경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60.6%). 그리고 친환경 농산물로 가장 선호하는 식품은 채소류였으며 이 중에서도 상추를 가장 많이 구입하고 있었다. 한편 가공 식품은 거의 모든 주부들이 이용하고 있었는데(96.7%), 1주일에 1회 이용이 가장 많았고(29.9%), 1주일에 $1{\sim}7$회 이용하는 경우를 모두 합하면 73.8%가 되었다. 또한 가공 식품 이용의 가장 큰 사유는 시간의 절약(51.3%)이었고 이용하지 않는 가장 큰 사유는 첨가물 사용 등 식품의 비 안전성 때문이었으며(72.4%), 가장 선호하는 가공 식품은 육어류 가공 식품류(37.4%)이었고 선택시 회사의 인지도가 가장 크게 좌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9.4%). 그리고 식생활 비에 따른 친환경 식품의 구입 동기, 가사 노동의 형태에 따른 친환경 식품의 구입 동기 및 이용 횟수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Effects of several factors on pollen germination in Platycodon grandiflorum

  • Kwon, Soo Jeong;Lee, Ui Gun;Moon, Young Ja;Cho, Gab Yeon;Woo, Sun Hee;Boo, Hee Ock;Koo, Jin-Woog;Kim, Hag Hy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72-172
    • /
    • 2017
  • Pollen germination and its' viability in bellflower hybrid system are of great importanc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veral factors underlying the pollen germination of Platycodon grandiflorum and obtain the basic data for effective artificial pollination for the production of sound specifies. The pollens of Platycodon grandiflorum started germination from one hour after planting, and the germination was actively progressed as time dependent manner. For lighting conditions, the germination of pollens under the light was faster by more than twice than that without the light. Furthermore, the germination was better in the high temperature rather than in the low temperature. The germination rate was higher in the $30^{\circ}C$. For the carbon source, the germination rate was better at the concentration of 15% regardless of the kinds. In particular, the highest value was observed with glucose. The germination rate was decreased substantially as the increasing with the higher pH. The dynamic germination of pollens was observed at the pH 5. With respect to the growth regulator, the higher concentration of NAA induced the higher the germination rate. $GA_3$ showed a good germination rate in $0.05mg{\cdot}L^{-1}$. Meanwhile, for kinetin, lower concentration increased the germination rate, unlike NAA. The higher concentrations of boric acid degraded the germination rate, and the addition of boric acid of $10mg{\cdot}L^{-1}$ demonstrated higher germination rate than the addition of other growth regulators. Notably, the addition of asparaginic acid exhibited the similar results in all test sectors regardless of concentration, whereas a little higher result was observed in the high concentration sector. Taken together, the results concluded that the boric acid was considered as one of the essential minerals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on the germination of pollens.

  • PDF

저지방 무설탕 쿠키의 제조와 혈당 강하 효과 (Development and Hypoglycemic Effect of Low-fat and Sugar-free Cookie)

  • 박선민;김영순;윤인철;서은혜;고병섭;최수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87-492
    • /
    • 2002
  • 당뇨병 환자가 열량이 낮고, 섭취한 후 혈당의 상승폭이 적은 쿠키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스파탐과 사카린의 비와 양, 지방의 양, 식이 섬유소의 첨가량, 한약재 추출물의 첨가량의 비율에 따라 쿠키를 개발하여 건강한 여자 대학생(n = 10)과 당뇨병 환자(n = 10)를 대상으로 정상적으로 만든 일반 쿠키와 비교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ANOVA로 통계처리를 하여 가장 선호도가 높은 제품을 선택하였다. 당뇨병 환자와 여대생에게 선호도가 높은 저지방 무설탕 쿠키 3 가지를 선택하여 이것들이 혈당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당뇨 모델과 정상 실험 동물을 대상으로 경구 내당 검사를 하였고, 건강한 여대생과 당뇨병 환자에게 공복과 섭취 2시간 후에 혈당을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인 Px 흰쥐(n = 8)와 정상 흰쥐(n = 8)를 대상으로 경구 내당 검사를 하였을 때 당뇨 모델과 정상 모델에서 모두 아스파탐과 사카린 중량비 7.5 : 1, 펙틴 5%, 둥굴레 뿌리 추출건조물 5%을 넣어 제조된 저지방 무설탕 쿠키가 일반 쿠키에 비해 포도당에 대한 GAUC가 현저하게 낮았고(p<0.05), 혈당의 최고값도 저지방 무설탕 쿠키에서 낮았다(p<0.05). 또한 시료군이 대조군에 비해 섭취후 혈당이 상승하는 속도가 느렸고, 최고 혈당도 낮았다. 건강한 여자 대학생과 당뇨병 환자가 공복시 30g을 섭취한 지 45분과 90분 후에 정상인에서는 두 군 사이에 혈당의 차이가 현저하지 않았으나, 당뇨병 환자에서는 실험군인 저지방 무설탕 쿠키를 섭취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혈당이 현저하게 낮았다. 이상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저지방 무설탕 쿠키는 갑작스럽게 높게 혈당이 상승하지 않으므로 당뇨병 환자의 간식으로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통식품 유래 유산균의 해조류 발효 및 Probiotic 특성 (Seaweed Fermentation and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oods)

  • 김진학;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1481-1487
    • /
    • 2016
  • 해조류의 발효가 가능하고 probiotic 특성이 우수한 유산균을 분리 선발한 후 이들의 미역과 다시마 발효능을 검토하였다. 미역 및 다시마 발효가 가능한 균주를 김치 젓갈, 된장으로부터 331 균주를 순수 분리하여 해조류 구성 다당(alginate, cellulose) 분해능, 균의 생육, 항균 활성 등을 비교 검토한 결과 4균주(stain No. 162, 164, 192, 196)가 우수하였다. 선발 균주 모두 인공위액, 인공담즙액, NaCl에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이들 4균주 중 No. 192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Enterococcus faecium으로 동정되었다. 미역과 다시마를 이용하여 선발 유산균을 배양한 결과 No. 192 균주가 발효특성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No. 162, 164, 196 균주도 양호하였다. 선발 유산균을 이용한 미역과 다시마에서 성장이 가능하였으며 발효 후 미역과 다시마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이 증진되었다.

전북지역 혈액투석 환자와 지속성 외래 복막 투석 환자의 영양상태 비교 (Characteristics in Nutritional Status of Patients on Hemodialysis and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Patients in Chonbuk Area)

  • 김선형;김숙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4호
    • /
    • pp.397-404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nutritional status of hemodialysis (HD) and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patients. Subjects were 58 HD patients (male/female = 29/29) and 33 CAPD patients (male/female = 23/10) undergoing dialysis treatment in Artificial Kidney Unit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nutritional assessment, %IBW (ideal body weight), %TSF (tricep skin fold), %MAC (mid arm circumference), %MAMC (mid arm muscle circumference), serum albumin, serum transferrin, TLC (total lymphocyte count), SGA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and estimated energy and protein intakes by 1-month food frequency method were used. Between HD and CAPD group, mean age (50 $\pm$ 12 vs. 52 $\pm$ 12 yr), dialysis durations (37 $\pm$ 36 vs. 30 $\pm$ 26 mon), dietary energy intakes (28.3 $\pm$ 9.0 vs. 28.8 $\pm$ 8.6 kcal/kg/day), dietary protein intakes (1.1 $\pm$ 0.4 vs. 1.2 $\pm$ 0.3 g/kg/day) and incidence of co-morbid conditions (69.0% vs. 69.7%)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ata by using SGA showed a higher incidence of malnutrition in CAPD patients (45.6%) than in HD patients (36.2%). %IBW (p < 0.001), %TSF (p < 0.001) and %MAC (p < 0.001) were higher in CAPD patients than were in HD patients. But serum albumin (p < 0.001) and transferrin (p < 0.001)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APD patients than were in HD patients. A higher incidence of malnutrition was shown in CAPD Patients than in HD Patients due to different dialysis type. A significant finding was that CAPD showed protein deficient malnutrition and HD did calorie deficient malnutrition. It suggests that an adequate dietary intake considering dialysis type prevents a prevalence of malnutrition.

황기, 당귀 추출물의 추출조건이 추출물의 수율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Yield and Quality of Extracts in Astragalas manbranaceus Bunge, Angelica gigas Nakai)

  • 이미숙;이근보;한명규;박상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43-547
    • /
    • 2001
  • 전통 한약재인 황기. 당귀로부터 추출물의 획득은 일반적으로 열수 추출법에 의하여 행해져 왔으나 추출물의 획득수율이 낮고 추출, 농축과정에서의 심한 열처리로 인하여 고유의 향이 소실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정추출법을 시도하여 황기, 당귀 추출물의 획득수율을 열수 추출법의 50, 39% (w/w) 대비 각각 15, 36% 증가한 65, 75%로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강한 고유의 향을 포집하고 있는 전혀 새로운 타입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추출과정에서 열수 추출법과의 차이는 추출용매를 물에서 주정으로 변경한 것과 1차 추출 후 얻어진 박을 이용하여 2차 추출을 행하였으며, 농축온도를 열수 추출의 104$^{\circ}C$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9$0^{\circ}C$에서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처리온도와 거의 무관하게 주정은 고유의 향을 포집하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추출물을 물엿, 음료 등의 제품에 적용할 경우별도의 인공향료 처리없이 천연물 그대로의 가공으로도 충분한 고유의 향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PDF

Reproductive Performance of Dairy Buffaloes Supplemented with Varying Levels of Vitamin E

  • Panda, N.;Kaur, Harjit;Mohanty, T.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호
    • /
    • pp.19-25
    • /
    • 2006
  • The effect of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plasma ${\alpha}$-tocopherol level, total antioxidant level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in Murrah buffaloes was studied during periparturient period. Twenty-four advance pregnant buffalo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equal groups as $T_1$, $T_2$, $T_3$ and $T_4$ and were supplemented with 0, 1,000, 1,500 and 2,000 IU of ${\alpha}$-tocopheryl acetate (Merck) from 60 days prepartum to 30 days postpartum and 0, 500, 750 and 1,000 IU from 30 to 60 days postpartum, respectively.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60, -45, -30, -15, -7, 0, 7, 15, 30 and 60 days of parturition and were analyzed for plasma ${\alpha}$-tocopherol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y (TAA). The intake of DM, CP and TDN did not vary among different groups. Plasma ${\alpha}$-tocopherol and TAA around parturition (-7 to 15 day) in $T_3$ and $T_4$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17% reduction in retention of fetal membranes (RFM) and metritis in $T_4$ than control. The post partum estrus interval averaged 58.00, 55.33, 51.83 and 43.00 days in $T_1$, $T_2$, $T_3$ and $T_4$ respectively. There was significant reduction in days open in both $T_3$ and $T_4$ in comparison to $T_1$ group (127,130 Vs.146). All the vitamin E supplemented groups showed reduction in days open than their previous lactation performance. Supplementation of vitamin E at $1,500IU\;d^{-1}$ from 60 day prepartum to 30 day post partum to buffaloes exhibited beneficial effect on plasma ${\alpha}$-tocopherol level and TAA around parturition and continuation of its supplementation at $1,000IU\;d^{-1}$ from 30 to 60 days of lactation improved post partum reproductive performance of buffalo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