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emisia L.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6초

애엽(艾葉) 발효 추출물의 면역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mmuno Modulating Acitivity of Fermented Artemisiae Argyi Folium Extract)

  • 한효상;박완수;이영종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3-112
    • /
    • 2008
  • Objectives :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the cytotoxicity and immuno modulating activity of fermented Artemisia argyi Lev. et Vant.(Compositae). Methods : Effect of fermented Artemisiae Argyi Folium extracts, which were fermented by Sacchromyces cerevisiae STV89(AFS), on cell viability, generation of ROS within cells, generation of NO and the level of cytokines($TNF-{\alpha}$ and IL-6) was measured using mouse macrophage RAW 264.7 cell. Results : 1. Result of MTT assay conducted to verify the cytotoxicity of fermented Artemisiae argyi folium extract illustrated that, when fermented Artemisiae argyi folium extract was processed for each concentration, there was no excessive induction of cytoxicity in the RAW 264.7 cell. 2. Fermented Artemisiae Argyi Folium extract increased the generation of H2O2 within RAW 264.7 cell as well as significantly increased inhibition of generation of H2O2 in macrophage induced by LPS. 3. Fermented Artemisiae Argyi Folium extract inhibited generation of NO in RAW 264.7 cell, and significantly inhibited increase in generation of NO of macrophage induced by LPS. 4. Fermented Artemisiae Argyi Folium extract, AFS has significantly reduced the increase in the generation of $TNF-{\alpha}$ above 10 ${\mu}g/mL$. 5. Fermented Artemisiae Argyi Folium extract, AFS has significantly reduced the increase in generation of IL-6 above 50 ${\mu}g/mL$. Conclusions : AFS fermented extract produced from Artemisiae Argyi Flium, have increased generation of ROS and reduced generation of NO in RAW 264.7 cell without excessively inducing cytotoxicity of RAW 264.7 cell. In addition, they displayed significant immuno modulating activities including inhibition of generation of $TNF-{\alpha}$ and IL-6 in macrophage, induced by LPS.

  • PDF

수집 선발한 쑥으로 만든 쑥차와 시판차의 항산화력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Mugwort Teas and Commercial Teas)

  • 정봉환;조용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215-219
    • /
    • 2006
  • 전국에서 수집한 쑥들에 대한 항산화력과 항산화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여 유효 약용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우량계통을 선발한 후 대량 재배하였고, 한방건강식품으로 쑥차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쑥차의 우수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판되고 있는 차들을 구입하여 항산화력과 항산화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는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수집 선발한 쑥 AC60, AC67, AC77을 원료로 하여 만든 차들과 시판 차들의 총 폴리페놀 함량들을 분석한 결과 AC67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109.6 mg/100 mL로 가장 높았다. 선발 쑥차들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선발 쑥 중에서는 AC67가 PH 1.2에서 92.5%로 가장 높았고, 시판 차들 중에는 쟈스민이 98.1%, 감잎차가 96.4%, 녹차가 98.5%, 작설차가 98.7%로 매우 높은 값들을 보여 주었다. SOD 유사 활성을 비교해 본 결과 선발 쑥을 원료로 하는 차들에서는 AC67가 91.7%, AC77이 93.7%로 높았고, 시판 차들에서는 설록차가 92.1%, 루이보스티가 93.8%로 높게 나왔다. 이 결과는 선발 쑥 AC60, AC67, AC77 등은 시판 중인 설록차, 자스민, 작설차, 녹차, 루이보스티 및 페퍼민트차 등과 같은 수준의 고급차의 제조에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참쑥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Mugwort, Artemisia mongolica Fischer)

  • 심영자;한영실;전희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9-53
    • /
    • 1992
  • 본 연구는 참쑥의 유용식물 자원으로서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봄참쑥과 가을참쑥의 영양성분을 분석 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을 제외하고는 가을참쑥이 봄참쑥보다 약간 높은 함량이었다. 총유리아미노산은 봄참쑥이 1048.16mg%이고 가을참쑥이 2187.10mg%로 가을참쑥이 봄참쑥보다 2배 정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함량은 봄참쑥과 가을참쑥의 linoleic acid가 각각 11.6% 및 13.87%였으며 linolenic acid는 65.14% 및 55.14였으며 palmitic acid는 13.26% 및 16.63%로 총지방산 중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는 봄참쑥이 76.74%였고 가을참쑥은 69.58%를 차지하였다. 비타민 함량은 봄참쑥과 가을참쑥의 thiamin이 0.l6mg% 및 0.15mg%, riboflavin이 1.81 mg% 및 1.74 mg%, niacin이 5.34mg%, 그리고 ascorbic acid가 26.12mg% 및 25.2mg%로 봄참쑥이 가을참쑥보다 약간 높은 함량이었다. 무기질함량은 K 함량이 봄참쑥 3738mg%, 가을참쑥 3267mg%로 가장 높았고 Fe는 17.8mg% 및 20.5mg%, Zn은 47.1mg% 및 61.2mg%, Mg은 16mg% 및 12mg%, Se은 0.30ppm 및 0.40pprn으로 무기길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환원당 함량은 봄참쑥 가을참쑥 모두 frutose가 9.75mg% 및 9.78mg%로 가장 많았고, 식이섬유소 함량은 봄참쑥이 37.57%, 가을참쑥이 35.41%였다.

  • PDF

Study of Habitat Environment and Species Diversity-based on Alien Plant, Phytolacca americana L. in Korea

  • Choi, Dong-Hui;Ryu, Tae-Bok;Kim, DeokKi;Kim, Dong-Eon;Lee, Jung-Hyo;Kim, Nam-You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4호
    • /
    • pp.321-337
    • /
    • 2018
  • The characteristics of 124 Phytolacca americana present areas and 88 surrounding absent areas over the country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from July 2016 to Sept 2017. The Phytolacca americana was confirmed as having been nationally distributed and is usually found in roadsides at an altitude of 380 m (26%), forest edges (24%), forests (19%), sunny spots (60%), dry soils (53%), sandy loams (31%) and sand+gravel soils (22%). 321 taxons consisting of 79 families, 209 genera, 289 species, 2 subspecies, 26 varieties and 4 cultivars and 286 taxons consisting of 76 families, 195 genera, 256 species, 2 subspecies, 24 varieties and 4 cultivars were found in the Phytolacca americana present areas and the absent areas, respectively. The relative net contribution degree was found highest in the Phytolacca americana (100) followed by Robinia pseudoacacia (29.4), Humulus japonicus (8.8) and Artemisia princeps (6.0) in the present areas, while it was found highest in Robinia pseudoacacia (100) followed by Humulus japonicus (44.4), Artemisia princeps (35.9), Pueraria lobata (18.6) and Setaria viridis (12.3) in the absent areas. The Raunkier's life form in the present/absent areas was found highest in the therophytes (34%/34%), followed by hemicryptophytes (17%/18%), megaphanerophytes and mesophanerophytes (18%/17%), nanophanerophytes (11%/11%) and geophytes (9%/1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pecies diversity between the present (2.141) and the absent (2.124) areas. However, the allelopathic agent and light blocked-out by the Phytolacca americana could possibly inhibit germination and the development of other species; especially, where a difference in species diversity was found high in forests, compared to other habitats (p=0.0605).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o review possible disturbances of native species habitats in shady spots including forest gaps, although the effect of Phytolacca americana on the ecological system in the suburban open and disturbed areas is not large.

HCT116 대장암세포에서 Akt-mTOR 신호경로를 통한 개똥쑥 추출물 (AAE)의 세포주기 억제 효과 (Cell Cycle Arrest of Extract from Artemisia annua Linné. Via Akt-mTOR Signaling Pathway in HCT116 Colon Cancer Cells)

  • 김보민;김근태;임은경;김은지;김상용;하성호;김영민
    • KSBB Journal
    • /
    • 제30권5호
    • /
    • pp.223-229
    • /
    • 2015
  • In this study, extract from Artemisia annua in L. (AAE) is known as a medicinal herb that is effective against cancer. The cell cycle is regulated by the activation of cyclin-dependent kinase (CDK)/cyclin complex. We will focus on regulation of CDK2 by cyclin E. cyclin E is associated with CDK2 to regulate progression from G1 into S phase. Akt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ell proliferation and cell survival. Activation of Akt increases mTOR activity that promotes cell proliferation and cancer growth.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at AAE-induced cell cycle arrest at G1/S phase in HCT116 colon cancer. Treatment of AAE shows that reduced activation of Akt decreases mTOR/Mdm2 activity and then leads to increase the activation of p53. The active p53 promotes activation of p21. p21 induces inactivation of CDK2/cyclin E complex and occurs cell cycle arrest at G1/S phase. We treated LY294002 (Akt inhibitor) and Rapamycin (mTOR inhibitor)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al transduction of proteins associated with cell cycle arr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AE induces cell cycle arrest at G1/S phase by Akt/mTOR pathway in HCT116 colon cancer cell.

임도(林道)비탈면의 자연식생(自然植生) 침입(侵入)과 효과적(效果的)인 비탈면녹화공법(綠化工法) 개발(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절취(切取)비탈면을 대상으로 - (Studies on Vegetation Succession on the Slope of the Forest Road and Development of Slope Revegetation Methods - In Cutting Slope -)

  • 우보명;권태호;김남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381-395
    • /
    • 1993
  • 이 연구는 임도(林道)의 절취(切取)비탈면에서 자연적인 식생천이과정(植生遷移過程)을 구명하고, 효과적인 비탈면 속성녹화공법(速成綠化工法)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국에 개설된 임도(林道) 중 녹화공법(綠化工法)을 적용하지 않은 임도(林道)와 녹화공법(綠化工法)을 적용한 임도(林道)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파종(播種)실험은 서울대학교(大學校) 산림자원학과(山林資源學科) 묘포(苗圃)에서 실시하였다. 임도(林道)비탈면에 자연적으로 침입하고 있는 식생 중 목본(木本)의 경우는 소나무, 싸리, 산딸기 등이며, 초본(草本)의 경우는 새류, 큰까치수영, 쑥류 등의 순으로 침입하여, 임도개설후(林道開設後) 5년이 경과된 후의 식생피복도(植生被覆度)는 약 30%로 나타났다. 또한 소규모의 토사(土砂)비탈면에서는 등고선상(等高線上) 세구(細溝)내에 산파(散播)를 하고 거적으로 피복(被覆)하는 공법(工法)이 녹화효과(綠化效果)가 매우 우수하였다. 임도(林道)비탈면에서는 임도개설시(林道開設時)에 비탈면 녹화안정공사(綠化安定工事)를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이며, 그 지역의 자생식물(自生植物)을 활용하여 속성녹화공법(速成綠化工法)을 적용함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 PDF

간석지(干潟地) 식물(植物)과 관련된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의 분류(分類)와 분포(分布)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f Species and Distribution of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Relation to Salt-Marsh Plants)

  • 고성덕;이형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75-181
    • /
    • 1984
  • Soil sieving을 통하여 4종(種)의 간석지식물(干潟地植物)들 (산조풀, 벌노랭이, 비쑥 및 띠등(等))과 관련되어 있는 Glomus속(屬)의 6종(種)과 Acaurospora 속(屬)의 1종(種)등 7종(種)의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를 분리(分離)하였다. Glomus속(屬)의 6종(種)은 G. albidum Walker & Rhodes, G. pulvinatum (Henn.)Trappe & Gerd., G. constrictum Trappe, G. sp. (4th type), G. caledonicum (Nicol. & Gerd.) Trappe & Gerd. (5th type) 및 G. sp. (6th type) 등이었으며, Acaulospora의 1종(種)은 A. scrobiculata 이었다. 7종(種)의 VA균(菌)가운데 G. mosseae (1st type), G. pulvinatum (2nd type) 및 G. sp.(4 type)의 3종(種)의 Glomus spp.가 가장 흔한 type들이었다. 산조풀과 비쑥의 근계토양(根系土壤)중에는 공(共)히 G. sp.(4th type)가, 벌노랑이와 띠의 근계토양(根系土壤)중에는 공(共)히 G. pulvinatum (2nd typc)이 가장 풍부(豊富)하게 존재(存在)한다는 사실(事實)을 알수 있었다. 본 연구(硏究)를 통(通)하여 토양(土壤)중 VA균종(菌種)의 다양성(多樣性)은 숙주식물에 달려있음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 PDF

밭 주요(主要) 우점잡초의(優占雜草)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 검색(檢索) (Determination of Allelopathic Activity in Dominant Upland Weeds)

  • 전재철;한강완;장병춘;신현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6-164
    • /
    • 1987
  • 밭 주요(主要) 우점잡초(優占雜草)의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을 수추출물(水抽出物)과 methanol 추출물(抽出物) 및 잡초건조분말(雜草乾燥粉沫)에 의해서 조사(調査)하였다. 2%(w/v) 수추출물(水抽出物)로 가장 큰 발아(發芽) 및 생장억제(生長抑制)를 보인 잡초(雜草)는 무우에 대해서는 쑥, 참깨에 대해서는 쇠비름이었다. 냉이의 2%(w/v) 수추출물(水抽出物)은 두 검정식물(檢定植物) 모두에 대하여 저해효과(沮害效果)가 컸다. 쑥의 2%(w/v) methanol 추출물(抽出物)은 무우의 발아(發芽) 및 조묘생장(助苗生長)을 완전(完全)히 억제(抑制)하였다. 참깨의 발아(發芽) 및 유묘생장(幼苗生長)을 약 90% 이상 저해(沮害)한 2%(w/v) methanol 추출물(抽出物)은 쑥, 쇠비름 및 토끼풀이었다. 추출물(抽出物)에 의한 억제효과(抑制效果)는 추출용매(抽出溶媒), 잡초초종(雜草草種) 및 검정식물(檢定植物)에 따라 다르며, 이는 잡초종내(雜草種內)에 함유(含有)한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에 차이(差異)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추출물(抽出物)에 의한 생장억제효과(生長抑制效果)는 추출물(抽出物)의 pH 및 수분(水分)포텐샬의 차이(差異)에서 기인(基因)되지는 않았다. 검정식물(檢定植物)의 발아(發芽)와 생장억제(生長抑制)는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이 있는 4종(種)의 잡초추출물(雜草抽出物)의 처리농도(處理濃度) 증가(增加)와 함께 증대(增大)되었다. 토양(土壤)에 혼화(混和)된 쑥과 쇠비름의 건조분말(乾燥粉沫)은 냉이와 토끼풀보다 무의 발아(發芽) 및 유묘생장(幼苗生長)에 대하여 더 큰 저해효과(沮害效果)를 나타내었다.

  • PDF

곰취밭에 발생하는 잡초양상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in Cultivated Ligularia fischeri Fields)

  • 이인용;김창석;이정란;김종환;김경훈;김미선;송희근;김덕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2호
    • /
    • pp.95-101
    • /
    • 2014
  • 곰취밭에 발생하는 잡초발생 양상과 잡초로 인한 피해정도를 파악하여 곰취밭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3년 5월부터 10월까지 5회 조사하였다. 곰취밭에 발생하는 잡초는 37과 104종으로 일년생잡초가 55종, 월년생잡초 25종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24종이었다. 이 중에서 외래잡초는 26종이 발생하였다. 우점도가 높은 잡초로는 명아주, 쇠별꽃, 돌피, 망초, 쑥 등이었으며, Ordination PCA 분석한 결과, 고마리-미국가막사리 군락, 명아주 군락 그리고 냉이 군락으로 분석되었다. 잡초에 의한 곰취의 피해 정도를 곰취 뿌리 무게로 비교한 결과, 잡초관리구에 비교하여 잡초방임구가 56% 작아져서 이듬해 곰취 생육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약초중의 아미노산 함량 조사 (Survey for Amino Acid of Medicinal Herbs)

  • 황진봉;양미옥;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5-41
    • /
    • 1998
  • 국내에서 재배 유통되고 있는 약초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건물기준으로 콩과의 황기는 감초에 비해 필수 아미노산이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국화과의 주요 아미노산은 글루탐산과 아스파르트산으로 이 중에서 특히 창이는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페닐알라닌이 각각 7.2, 2.8, 1.5%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반면 백출, 인진, 대계근은 매우 저조하였다. 오가과는 주요 아미노산이 인삼, 독활에서는 아르기닌이었으나, 오가피는 로이신으로 분석되었고, 미나리과는 천궁이 비교적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였으며 소회향은 글루탐산과 아스파르트산이 주요 아미노산으로 밝혀졌다. 장미과와 난초과에서는 시스틴이 불검출되거나 낮은 함량이었으며, 벼과의 율무는 필수 아미노산인 로이신이 2.2%, 삼백초과의 어성초는 천궁과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유사하였다. 택사과, 수련과, 갈매나무과의 택사, 연자육, 산조인 등의 주요 아미노산은 산조인은 글주탐산, 글리신, 발린, 시스틴으로 각각 10.6, 1.7, 1.9, 0.3%이었고, 택사는 리신,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으로 각각 2.0, 4.5, 4.2%, 연자육은 세린, 메티오닌으로 각각 1.4, 0.5%이었으며 , 이들은 전반적으로 필수 아미노산이 매우 풍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