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emisia Herb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초

痔瘡과 痔瘻에 對한 文獻的 考察 (A Literatural study on the hemorrhoids and hemorrhoids complicated by anal fistula)

  • 노현찬;노석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84-305
    • /
    • 1997
  • A Literatural study on the etiological factors, classification, prescription of hemorrhoids and hemorrhoids complicated by anal fistula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cause of hemorrhoids are long time sit, long time gate, overfatigue, overeating, imbalance of stool( constipation or diarrhea), pregnant fertility(overfatigue after childbirth, insufficiency of middle warmer energy), uncontrol sexual excess, pathgenic factors of wetness, heat, wind, dry, genetic cause, excess of anxiety, pile up of heat poison, weakness of entrails and viscera. The cause of hemorrhoid complicated by anal fistula are attack of external wind, heatness, dry, fire, wetness(pathgenic factors), inapporiate treatment and chronic disease, greasy diet, excess of anxiety, constipation, uncontrol sexual excess, obstacle of circulation of vital energy and blood on anal site. 2. Classification of hemorrhoids are female hemorrhoids, male hemorrhoids, pulse hemorrhoids, intestines hemorrhoids, vital energy hemorrhoids, wine hemorrhoids, blood hemonhoids, flowing hemorrhoids. Classification with other method are external hemorrhoids, internal hemorrhoids, mixed hemorrhoids, excrescence hemorrhoids, nipple homorrhoids. External hemorrhoids is classified of varicosis of hemorrhoidal vein, connective tissue form, thrombus form. Classification of hemorrhoid complicated by anal fistula are simple lower hemorrhoid, lower mixed hemorrhoid, deep hemorrhoid, outer of one hole hemorrhoid, a horseshoe hemorrhoids. Once more classificated of four are space of sphincter muscle form, penetration sphincter muscle form, upper of sphincter muscle form, outer of sphincter muscle form. 3. Therapy method of hermorrhoid and hemorrhoid complicated by anal fistula are internal method, fumigation method method, ointment, method of close with medicine, necrotizing method, hot medicated compress( gxternal method), injection, insertion, bind, (operation) and acupuncture therapy (the others method) 4. Herb medicine for many used of internal method are Scutellaria baikalensis George(黃芩), Coptis japonia Makino(黃連), Rehmania giutinosa Liboschitz ex Fischer & Meyer(生地黃), Poncirus trifoliata Refinesque(枳殼), Sanguisorba officinalis Linne(地楡), Sophora japonica L.(槐花), Cnidium officinale Makino (川芎),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황기), Angelica gigas Nakai (當歸). 5. Herb medicine for many used of fumigation are Schlechtendalia Chinesis J. Bell (五倍子), Artemisia Vulgaris L. var indica Maxim(艾葉), Poncirus trifoliata Refinesque (枳殼), Nepeta japonica Maximowicy(荊芥), And herb medicine for many used of ointment are Calomelas(輕粉), Alum(白礬), Boswellia carterii Birdwood(乳香), Os Draconis Fossilia Ossis Mastodi(龍骨).

  • PDF

약초 추출액의 닭콕시듐 Eimeria tenella 대한 항콕시듐 효과 (Anticoccidial Effect of Herb Extracts against Eimeria tenella)

  • 김병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11-916
    • /
    • 1995
  • Ionophorous antibiotics have been used popularly for the protection of avian coccidiosis, though Halo-fuginone which is derived from an extract of the Dichroa febrifuga, was developed as an antimalarial and anticoccidial agent. The antibiotics are regarded as the causes of residues in the avian products, therefore the author has tried to find out more safe herbal materials for the control of avian coccidiosis. Thus, the extracts of 5 kinds of herbs, roots of Pulsatilla koreana Nakai and Sophora flavescens Aiton, nuts of Quisqualis indica Linne, whole herbs of Artemisia annua Linne and Polygonum aviculare Linne, were investigated on the efficacy against E tenella. Survival rates, bloody diarrhea, lesion scores, body-weight gains and feed conversion rate were investigated at the 1st and the 2nd week after infection. The bloody diarrhea in the groups treated with P koreana, A annua, Q indica and P aviculare were milder than those in the groups treated with S flavescens and infected control. The lesion score in the groups treat.4 with herb extracts(2.00$\pm$0.82~2.65$\pm$0.89)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2.80$\pm$0.7l).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all infected groups. The body weight gai in the groups treated with P koreana, S flavescens, A annua and Q indica(291.74$\pm$15.76~303.43$\pm$51.90) were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283.71$\pm$16.53)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a conclusion, analyzing the data of the survival rates, bloody diarrheal symptoms, lesion scores, body weight gains and oocyst excretions, the extract of S flavescens, P koreana, A annua and Q indica were effective. The further research on the above herbal materials will have been carried out by the author and the other researchers by means of the chemical analysis of the components.

  • PDF

HepG2 간암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경로를 통한 개똥쑥 추출물의 Apoptosis 유도 효과 (Extract from Artemisia annua Linné Induces Apoptosis through the Mitochondrial Signaling Pathway in HepG2 Cells)

  • 김보민;김근태;김은지;임은경;김상용;김영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708-1716
    • /
    • 2016
  • Akt 및 mTOR는 세포 생존에 필수적인 경로로 세포 성장과 증식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암 및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개똥쑥(Artemisia annua L.)에 의한 HepG2 간암세포의 apoptosis 유도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개똥쑥 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HepG2 세포의 생존율은 억제되었으며, 이는 apoptosis 유도 효과에 의한 것임을 세포의 형태적 변화와 flow cytometry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mitopotential assay와 caspase-3/7 activity assay, western blotting으로 Bcl-2 family 단백질을 확인함으로써 apoptosis 경로 중 내인성 경로(intrinsic pathway)에 의해 apoptosis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효과는 Akt/mTOR의 활성 저해와 연관이 있었으며 Akt/mTOR의 저해제인 LY294002/rapamycin을 개똥쑥 추출물과 병행처리하였을 경우 개똥쑥 추출물에 의한 apoptosis 효과를 더욱 증대시켰다. 따라서 Akt/mTOR의 저해는 개똥쑥 추출물의 apoptosis 효과를 상승시켰으며 이에 따라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손상과 caspase 활성의 증가를 통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울릉도의 섬자리공 분포와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Native Phytolacca insularis in Ulleung Island)

  • 안영희;이상현
    • 생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9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ative Phytolacca insularis in Ulleung Island for their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P. insularis, called as "Sum-Ja-Ri-Gong", is very rare plant which is only restricted in Ulleung Island. It is a plant out of 217 endangered plant specie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1996). The native sites were discovered several plants in the small communities at the area from 32m to 116m above the sea level in the seashore of Ulleung Island. The average vegetation height of herb layer in the native sites was 0.77m and average coverage percentage of vegetation layer was 75.56%. Average 11.89 species were emerged on a plot. P. insularis has a tendency to emerged with Galium spurium var. echinospermon and Artemisia lavandulaefolia community.

배양액 내의 Selenate 이온농도가 웜우드(Artemisia absinthium L.)의 생육 및 정유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enate Ion Concentration in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Essential Oil Content of Wormwood( Artemisia absinthium L.))

  • Park, Kuen-Woo;Lee, Yun-Jeong;Jeong, Jin-Cheol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64-269
    • /
    • 1997
  • 본 실험은 고기능성 채소 생산을 위한 배양액내의 적정 셀레니움 농도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벨기에의 채소연구소에서 허브재배를 위해 개발된 양액을 이용하여 각각 $Na_2$SeO$_4$를 0, 2, 4, 6, 8mg/$\ell$농도로 처리하였다. 배양액내 셀레니움의 농도가 국화과 식물인 향쑥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저농도의 처리는 생육을 향상시켰으나 6mg/$\ell$이상의 고농도 처리는 생육을 감소시켰다. 엽록소의 함량은 셀레니움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는데 배양액 내의 selenate ion 농도가 높을수록 전체 엽록소함량도 증가되었다. 비타민 C의 함량은 좋은 생장을 보였던 4mg/$\ell$처리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으로 농도가 증가했을 때 비타민C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저농도의 selenate 이온 농도는 정유의 함량을 증가시켰으나 고농도에서는 정유의 함량이 감소되었다. 식물에 의한 셀레니움의 흡수는 배양액내의 selenate 이온 농도가 증가할수록 촉진되었다.

  • PDF

한약재 주정 추출물이 종자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Herbal Medicine on Crop Growth Inhibitor)

  • 김진효;김준영;류성지;최근형;김원일;김세리;박병준;조남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4-197
    • /
    • 2014
  • BACKGROUND: Herbal extracts have been screen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 of seed germination and root development on weeds, but there is a scarcity of reports for crop growth regulatio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growth inhibitor on Brassica campestris, and its effective extraction method from herbal medicine extract. METHODS AND RESULTS: Eighty four herbal medicine extracts were tested for their plant growth inhibition activity on B. campestris. The alcohol extracts of Artemisia annua, Cinnamomum cassia, and Mentha arvensis inhibited over 30% of germination and the extract of A. annua, and C. cassia inhibited over 70% of radicle growth at 0.1 % w/w treatment. The partially purified extracts of A. annua, and C. cassia with dichloromethane and hexane showed stronger radicle growth inhibition than the crude extracts on B. campestris. The diethyl ether extract of A. annua showed a similar 50% radicle growth inhibition ($RI_{50}$ = 45 mg/L) to its partially purified extract with dichloromethane or hexane, but the diethyl ether extract of C. cassia showed a worse $RI_{50}$ than the purified extract. CONCLUSION: The alcohol extracts of A. annua, and C. cassia showed potent radicle growth inhibition properties on B. campestris. Diethyl ether proved to be a good solvent for simple extraction from A. annua.

제주도 저지대 묵밭 식물군락의 2차 천이 (Early Vegetation Succession in Abandoned Field in Cheju Island)

  • 유영한;이창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4호
    • /
    • pp.209-214
    • /
    • 2003
  • 제주도의 저지대 묵밭에서 일어나는 2차 천이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식생의 높이, 생육형,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지수, 식피율, 우점도지수의 변화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내륙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전체적인 식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제주도 묵밭의 식생천이의 특징은 내륙에 비하여 종수가 적고, 식생의 높이가 낮고, 초본층이 우점하는 기간이 길고, 종다양성지수의 변화 유형이 다르고, 천이후기종의 출현이 매우 늦었다. 우점종에 의한 식생천이 계열은 주름잎(0.5∼l년)→큰망초(2년)→쑥(4년)→쑥-낭아초(5년)→찔레꽃-참억새(8년)→참억새(12년)→다년생초본→관목(15년)→예덕나무(20년)→까마귀쪽나무 또는 후박나무(20년 이후)로 추정되었다. 유집분석(Cluster analysis), Twinspan에 의한 분류와 주성분분석(PCA)에 의한 배열의 결과 묵밭은 초기묵밭(0.5∼l년차), 중기묵밭(2∼8년차)와 후기묵밭(8∼20년차)의 세 집단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구분되었다.

Enhancing immune responses to inactivated foot-and-mouth virus vaccine by a polysaccharide adjuvant of aqueous extracts from Artemisia rupestris L.

  • Wang, Danyang;Yang, Yu;Li, Jinyu;Wang, Bin;Zhang, Ailia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2권3호
    • /
    • pp.30.1-30.15
    • /
    • 2021
  • Background: New-generation adjuvants for foot-and-mouth disease virus (FMDV) vaccines can improve the efficacy of existing vaccines. Chinese medicinal herb polysaccharide possesses better promoting effects.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aqueous extract from Artemisia rupestris L. (AEAR), an immunoregulatory crude polysaccharide, was utilized as the adjuvant of inactivated FMDV vaccine to explore their immune regulation roles. Methods: The mice in each group were subcutaneously injected with different vaccine formulations containing inactivated FMDV antigen adjuvanted with three doses (low, medium, and high) of AEAR or AEAR with ISA-206 adjuvant for 2 times respectively in 1 and 14 days. The variations of antibody level, lymphocyte count, and cytokine secretion in 14 to 42 days after first vaccination were monitored. Then cytotoxic T lymphocyte (CTL) response and antibody duration were measured after the second vaccination. Results: AEAR significantly induced FMDV-specific antibody titers and lymphocyte activation. AEAR at a medium dose stimulated Th1/Th2-type response through interleukin-4 and interferon-γ secreted by CD4+ T cells. Effective T lymphocyte count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by AEAR. Importantly, the efficient CTL response was remarkably provoked by AEAR. Furthermore, AEAR at a low dose and ISA-206 adjuvant also synergistically promoted immune responses more significantly in immunized mice than those injected with only ISA-206 adjuvant and the stable antibody duration without body weight loss was 6 month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AEAR had potential utility as a polysaccharide adjuvant for FMDV vaccines.

녹화용(綠化用) 자생(自生) 목본식물(木本植物)과 초본식물종자(草本植物種子)의 혼파처리(混播處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Mixed-Seeding of Native Woody and Herb Species)

  • 전기성;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271-279
    • /
    • 1996
  • 이 연구는 비탈면 녹화용(綠化用) 자생목본(自生木本)과 초본종자(草本種子) 적정혼파비(適定混播比)를 결정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실내온실에서 목본(木本) 초본종자(草本種子)의 파종실험(播種實驗)을 실시하였으며, 파종(播種)은 목본(木本)의 경우 초기발아기대본수 60립(粒)/$m^2$을 기준으로 초본종자(草本種子)와 혼합하여 복토량(覆土量), 시비처리(施肥處理), 파종량별(播種量別)로 실험하여 얻은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1994년 6월 파종후(播種後) 목본(木本)과 초본(草本)의 개체수(個體數), 생중량(生重量), 수고(樹高)와 초고변화(草高變化), 분얼수(分蘖數)를 조사한 결과, 목본(木本)의 개체수(個體數)는 1995년에 싸리가 파종구(播種區)($m^2$)별(別)로 평균 1.14본(本), 족제비싸리 0.496본(本)이였으며, 조팝나무와 물오리나무는 파종 발아후 당해년도(1994)에 고사하였다. 초본(草本)의 경우는 1995년에 달맞이꽃이 5.06본(本), 솔새 1,072본(本), 개솔새는 0본(本)이였으며, 억새는 412.53본(本), 쑥 88.6본(本), 비수리 8.9본(本), 새 57.46본(本)으로 조사되었다. 지상부생장(地上部生長)에 있어서, 목본(木本)의 싸리와 족제비싸리는 급격한 지상부생장(地上部生長)과 생중량(生重量)의 증가를 보이고, 초본(草本)의 경우에는 파종 당해년도에 솔새, 개솔새, 억새, 달맞이꽃, 새 등은 생장(生長)이 빠르나 파종 이듬해에는 솔새와 억새가 지상부(地上部) 및 생중량(生重量)의 증가가 높았다. 파종량(播種量)에 따른 목본(木本)의 변화를 보면, 파종 당해년도에는 수종(樹種)간에 유의성(有意性)이 없었으나, 파종 이듬해에는 파종량(播種量)에 따라 유의(有意)하였고, 초본(草本)의 경우는 파종량(播種量)과 개체수(個體數)의 변화는 파종당해년도와 이듬해 모두 유의(有意)하였다. 분얼(分蘖)이 가장 우수한 것은 억새(21개)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솔새, 새 순으로 나타났다. 녹화용(綠化用) 자생목본종자(自生木本種子)와 초본종자(草本種子)의 혼파(混播)에서, 초본(草本)의 종자량(種子量)이 많을수록 목본(木本)의 개체수(個體數), 지상부(地上部) 생장량(生長量), 생중량(生重量), 초본분얼수(草本分蘖數) 등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탈면의 녹화식생(綠化植生)으로, 목본(木本)은 싸리와 족제비싸리, 초본(草本)으로는 분얼(分蘖)이 우수한 새류(類)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분석되며, 목본(木本)의 성립(成立)을 위해서는 파종량(播種量)에 대한 연구가 더욱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한인진(韓茵蔯)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Artemisia iwayomogi KITAMURA)

  • 송영은;류지성;정주리;곽준수;김대향;김범석;임채웅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6-123
    • /
    • 2001
  • 한인진에 대한 항산화 효과와 항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추출용매별 고형분 함량을 측정하여 본 결과 물 추출물에서 18. 1%로 가장 많은 고형분을 얻을 수 있었으며 메탄올, 에탄을 추출물에서는 12. 8%, 12. 6%로 별 차이가 없었다.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는 방법 중 DPPH 소거효과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메탄올 추출물이 $36.2{\mu}g/ml$로 가장 효과 좋았지만, 대두유에 대한 한한인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60^{\circ}C$로 20일간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POV)를 측정하여 대두유를 기질로 한 저장시험 에서 1,000ppm 농도의 물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이 저장 기간이 20일 되었을 때 46.8(meq/kg, 50.8(meq/kg)의 과산화물가를 나타내 대조구의 과산화물가 79.1 (meq/kg)에 비해 낮았다. 식품의 부패균이나 식중독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세균 4종을 대상으로한 항균실험에서는 추출 용매에 따른 항균력은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좋았으며 세균에 대한 항균력으로는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 가장 좋았다. 한인진의 간보호 효과 시험에서는 한인진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V, IV군의 간무게, 체중에 대한 간무게의 비율이 생리 식염수만을 투여한 III군보다는 낮았으나 시료 채취전후로 한인진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V군과 IV군사이에는 별다른 차이점이 없었다. 예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0일간 실험을 실시한 결과 한인진 물추출물만을 단독 투여한 VI군의 체중은 계속 증가하였으나 한인진 물추출물을 계속 투여한 다음 시료 채취전에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VIII군의 간무게, 체중에 대한 간비율이 대조군 VII보다 다소 감소하였다. 병리학적인 소견으로 한인진추출물을 투여 한 군에서는 사염화탄소만 투여한 군보다 간세포의 괴사와 지방적의 축적이 감소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독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