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Mixed-Seeding of Native Woody and Herb Species

녹화용(綠化用) 자생(自生) 목본식물(木本植物)과 초본식물종자(草本植物種子)의 혼파처리(混播處理)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전기성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대학원) ;
  • 우보명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1995.12.12
  • Published : 1996.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appropriate rates of mixed-seeding of native woody and herb species. It was carried out in greenhouse from 1994 to 1995. The early days germination individuals were $60no./m^2$ in case of woody species for mixed seeding treatment and the treatments were fertilization, soil surface treatment, seeding amount. The investigation factors are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woody and herb species, biomass, height, number of tillers, etc. The mean individuals of Lespedeza bicolor and Amorpha frutzcosa were investigated $1.14no./m^2$, $0.496no./m^2$ in 1995, and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and Alnus hirsuta were withering to death. In 1995, the Individuals of Oenothera odorata,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Miscanthus sinensi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Lespedeza cuneata, and Arundinella hirta were investigated $5.06no./m^2$, $1,072no./m^2$, $0no./m^2$, $412.53no./m^2$, $88.6no./m^2$, $8.9no./m^2$, $57.46no./m^2$, respectively, in case of herb species. The height and biomass of Lespedeza bicolor and Amorpha fruticosa showed very fast growth, and those of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Miscanthus sinensis had a similar tendency. For the changes in woody species, according to the seeding amoun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but It was highly significant in 1995. In case of the herb spec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seeding amount was significant for both 1994 and 1995. The most number of tiller was Miscanthus sinensis(21), and showed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Arundinella hirta in descending order. For the mixed seeding of wood and herb species, the number of individuals, height, biomass, tiller of herb species diminished as the seeding amount of herb species increased. It can be concluded that using Lespedeza bicolor and Amorpha fruticosa for woody species and like Arundinella hirta in herb species will be efficient for revegetation measures. It seems, therefore, that the plants of revegetation methods will be used to Lespedeza bicolor, Amorpha fruticosa and Arundinella hirta, and further study is needed on the seeding amount.

이 연구는 비탈면 녹화용(綠化用) 자생목본(自生木本)과 초본종자(草本種子) 적정혼파비(適定混播比)를 결정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실내온실에서 목본(木本) 초본종자(草本種子)의 파종실험(播種實驗)을 실시하였으며, 파종(播種)은 목본(木本)의 경우 초기발아기대본수 60립(粒)/$m^2$을 기준으로 초본종자(草本種子)와 혼합하여 복토량(覆土量), 시비처리(施肥處理), 파종량별(播種量別)로 실험하여 얻은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1994년 6월 파종후(播種後) 목본(木本)과 초본(草本)의 개체수(個體數), 생중량(生重量), 수고(樹高)와 초고변화(草高變化), 분얼수(分蘖數)를 조사한 결과, 목본(木本)의 개체수(個體數)는 1995년에 싸리가 파종구(播種區)($m^2$)별(別)로 평균 1.14본(本), 족제비싸리 0.496본(本)이였으며, 조팝나무와 물오리나무는 파종 발아후 당해년도(1994)에 고사하였다. 초본(草本)의 경우는 1995년에 달맞이꽃이 5.06본(本), 솔새 1,072본(本), 개솔새는 0본(本)이였으며, 억새는 412.53본(本), 쑥 88.6본(本), 비수리 8.9본(本), 새 57.46본(本)으로 조사되었다. 지상부생장(地上部生長)에 있어서, 목본(木本)의 싸리와 족제비싸리는 급격한 지상부생장(地上部生長)과 생중량(生重量)의 증가를 보이고, 초본(草本)의 경우에는 파종 당해년도에 솔새, 개솔새, 억새, 달맞이꽃, 새 등은 생장(生長)이 빠르나 파종 이듬해에는 솔새와 억새가 지상부(地上部) 및 생중량(生重量)의 증가가 높았다. 파종량(播種量)에 따른 목본(木本)의 변화를 보면, 파종 당해년도에는 수종(樹種)간에 유의성(有意性)이 없었으나, 파종 이듬해에는 파종량(播種量)에 따라 유의(有意)하였고, 초본(草本)의 경우는 파종량(播種量)과 개체수(個體數)의 변화는 파종당해년도와 이듬해 모두 유의(有意)하였다. 분얼(分蘖)이 가장 우수한 것은 억새(21개)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솔새, 새 순으로 나타났다. 녹화용(綠化用) 자생목본종자(自生木本種子)와 초본종자(草本種子)의 혼파(混播)에서, 초본(草本)의 종자량(種子量)이 많을수록 목본(木本)의 개체수(個體數), 지상부(地上部) 생장량(生長量), 생중량(生重量), 초본분얼수(草本分蘖數) 등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탈면의 녹화식생(綠化植生)으로, 목본(木本)은 싸리와 족제비싸리, 초본(草本)으로는 분얼(分蘖)이 우수한 새류(類)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분석되며, 목본(木本)의 성립(成立)을 위해서는 파종량(播種量)에 대한 연구가 더욱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