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emisia Extract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25초

Chemoprotective effects of the formulated extract DA-9601 of Artemisia asiatica against experimentally induced oxidative and inflammatory tissue damage

  • Lee, Jeong-Sang;Oh, Tae-Young;Ahn, Byung-Ok;Hyun Cho;Hahm, Ki-Baik;Surh, Young-Joon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Signal transduction in Toxicology
    • /
    • pp.146-146
    • /
    • 2001
  •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is multifactorial in etiology and is characterized by movement of acid and other noxious substances from the stomach into the esophagus. The most severe histologic consequence of chronic gastroesophgeal reflux is Barrett's esophagus,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 premalignant condition often leading to the formation of adenocarcinoma of esophagus.(omitted)

  • PDF

식물유래 천연방부제 개발 및 햄에 대한 방부효과

  • 강선철;서해정;고성철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349-350
    • /
    • 2002
  • 햄은 부패에 의한 폐기율이 높은 식품으로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식물유래 천연방부제들 즉 향나무, 대나무, 소목, 쑥 등의 알콜추출물의 첨가에 의한 실용화 가능성이 높았다.

  • PDF

쑥 추출물의 Tyrosinase 효소활성에 미치는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Mugwort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 곽정훈;서운교;한영환
    • KSBB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220-223
    • /
    • 2001
  • Melanin 생합성에 관련된 tyrosinase 저해활성올 생 쑥과 건조 쑥 용매 추출물로부터 검색하였다. 쑥은 ethanol,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용매 및 열수 추출을 하였고, 생 쑥의 ethanol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과 건조 쑥의 ethan야 추출물의 hexane 분획에서 회수올은 각각 15.2%와 15.5%로 가장 높았다. 각 용매 추출물의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은 건조 쑥 추출불보다 생 쑥 추출울이 더 높았고, 생 쑥의 ethanol 추출물의 chloroform 분획과 hexane 분획에서 각각 98.9%와 9 96.7%로 큰 저해활성을 가졌다.

  • PDF

Effects of Several Salt Marsh Plants on Mouse Spleen and Thymus Cell Proliferation Using MTT Assay

  • Seo, Young-Wan;Lee, Hee-Jung;Kim, You-Ah;Youn, Hyun-Joo;Lee, Burm-Jong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0권4호
    • /
    • pp.209-212
    • /
    • 2005
  •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tested the effects of 21 salt marsh plants on cell proliferation of mouse immune cells (spleen and thymus) using MTT assay in culture. The methanolic extracts of six salt marsh plants (Rosa rugosa, Ixeris tamagawaensis, Artemisia capillaris, Tetragonia tetragonoides, Erigeron annus, and Glehnia littoralis) showed very powerful suppressive effects of mouse immune cell death and significant activities of cell proliferation in vitro. Especially, the methanolic extract of Rosa rugosa was found to have fifteen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treatment, demonstrating that Rosa rugosa may have a potent stimulation effect on immune cell prolife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veral salt marsh plants including Rosa rugosa could be useful for further study as an immunomodulating agent.

Metabolism of Eupatilin in the Rats Using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Mass Spectrometry

  • Ji, Hye-Young;Lee, Hye-Won;Lee, Hong-Il;Kim, Hae-Kyoung;Shim, Hyun-Joo;Kim, Soon-Hoe;Kim, Won-Bae;Lee, Hye-Su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214.2-214.2
    • /
    • 2003
  • Eupatilin (5,7-dihydroxy-3",4",6-trimethoxyflavone) is an active ingredient of an ethanol extract of Artemisia asiatica (DA-9601) that is used in the treatment of gastritis. In vitro and in vivo metabolism of eupatilin in the rats has been studied by LC- electrospray mass spectrometry. Rat liver microsomal incubation of eupatilin in the presence of NADPH and UDPGA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four metabolites (M1-M4). M1, M2, M3 and M4 were tentatively identified as 3"- or- 4"-O-demethyl-eupatilin glucuronide, eupatilin glucuronide, 6-O-demethyleupatilin and 3"-or 4"-O-demethyl- eupatilin glucuronide, eupatilin glucuronide, 6-O-demethyleupatilin and 3"-or 4"-O- demethyl-eupatilin glucuronide, eupatilin glucuronide, 6-O demethyleupatilin and 3"-or 4"-O-demethyl-eupatilin glucuronide, respectively. (omitted)

  • PDF

Physical properties and determination of eupatilin, a new antigastritic agent,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Jang, Ji-Myun;Shim, Hyun-Joo;Ahn, Byung-Ok;Kim, Soon-Hoe;Kim, Won-Bae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215.3-216
    • /
    • 2003
  • Eupatilin is a major active component of Stillen\ulcorner(Artemisia Herba Extract) having a potent antigastritic effect.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eupatilin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olubility, stability & partition coefficient of eupatilin were investigated. pH-stability of eupatilin was examined over the broad range through pH1-9 at 37$^{\circ}C$ & it has good stability above the broad range pH. The solubility of eupatilin was extremely low but the value of logP was more than 2. Also,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determination of eupatilin in rat plasma. (omitted)

  • PDF

생약재 첨가 사료를 투여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의 비특이적 면역반응, 혈액성분 및 항병력 효과 (Effects of Medicinal Herb Extract on Non - specific Immune Responses , Hematology and Disease Resistance on Olive Flounder , Paralichthys olivaceus by Oral Administration)

  • 정승희;이주석;한형균;전창영;이해영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5-35
    • /
    • 2002
  • Effects of medicinal herb extract on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hematology and disease resistance against Edwardsiella tarda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ere evaluated. Wormwood, Artemisia asiatica NAKAI and barrenwort, Epimedium koreanum NAKAI were mixed at a ratio of 7 : 3 (w/w) for 2-herbs extract and wormwood, barrenwort, Korean forsythia, Forsythia koreana NAKAI, chrysanthemum,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peppermint, Mentha arvensis L. var, piperascens MALINV., great burnet, Snaguisorba afficinalis L., Lizard tail. Saururus chinensis BAILL., mulberry, Morus alba L., and star anise, Illicium varum HOOK, f, at the same weight for 9-herbs extract. Two-herbs of 9-herbs extract were prepared by heating after adding 10㎖ of distilled water per g of the herb mixtures. Fish (10.3$\pm$2.5g)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supplemented with the 2-herbs or 9-herbs extract at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0%, 0.1%, 0.5% and 1% per kg diet for 12 weeks. Lysozyme and bactericidal activities of serum, and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during experimental period. After feeding test period,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challenged with E. tarda. Lysozyme activity from the fish fed the diet supplemented with 0.1% or 0.5% of 2-herbs extra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oth in bactericidal activity and hematology among each group. Sixty seven % of relative percent survival values (RPS) in the group fed the diet supplemented with 0.1% of 2-herbs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 and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pplenmentation of 0.1% of 2-herbs extract to a commercial diet may enhance disease resistance in olive flounder. Although both 0.1% and 0.5% 9-herbs extract did not improve non-specific immune reponses, they could enhance disease resistance of 53% RPS, respectively.

비쑥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분화 및 MAPK 신호 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 (Artemisia scoparia Inhibits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by Downregulating the MAPK Pathway)

  • 오정환;파티 카라데니즈;서영완;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999-1006
    • /
    • 2018
  • 비쑥(Atermisia scoparia)은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로서 유라시아 지역 분포하며, 염생습지에 자생하는 염생식물의 일종이다. 비쑥은 민간요법에서 이뇨제, 소염제, 간염치료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비쑥에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쿠마린 화합물의 항산화, 항염증 등의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쑥 추출물이 3T3-L1 지방전구세포 모델에서 지방세포 내에서의 중성지방 생성 및 지방세포 분화조절 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지방전구세포 3T3-L1을 지방세포로 분화하여 Oil Red O 염색법으로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비쑥 추출물 처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 형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지방세포 분화 관련 인자인 $PPAR{\gamma}$, $C/EBP{\alpha}$, SREBP-1c의 발현을 mRNA 및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비쑥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지방세포분화 인자 발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세포 분화 및 증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MAPK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한 결과 비쑥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p38, ERK, JNK의 인산화가 억제되었다. 이를 통해 비쑥 추출물은 MAPK 신호전달 경로를 통한 지방세포 분화 인자 조절을 통해 지방 생성과 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비쑥 추출물의 MAPK 신호전달 경로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된다.

HaCaT 세포에서 자외선 B에 의해 유도된 DNA 상해반응에 대한 복분자와 쑥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Rubus coreanus and Artemisia princeps Extracts on the Ultraviolet B-Induced DNA Damage Responses in HaCaT Cells)

  • 이석희;하세은;이준경;박종군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2-117
    • /
    • 2014
  • 본 연구는 복분자와 쑥 추출물이 UVB (자외선-B)에 의한 유전독성의 감소에 효과를 보이는 지를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 세포의 세포활성은 복분자와 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자외선을 조사한 세포에 복분자와 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활성을 증가하였다. UVB를 조사한 후 세포의 핵 분절율은 복분자와 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정상 배양액으로 배양한 대조군에 비해 핵 분절율을 각각 약 20%, 15% 정도 감소하였다. DNA 상해 회복에 반응하는 cyclobutane pyrimidine dimer (CPD)의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 복분자와 쑥 추출만 처리한 경우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UVB 조사한 후 복분자와 쑥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정상 배양액으로 배양한 대조군에 비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세포 상해에 반응하는 유전자인 phospho-p53과 GADD45의 단백질 수준을 Western blot으로 분석한 결과,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세포에 복분자와 쑥 추출물만 처리한 경우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UVB 조사한 후 복분자와 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phospho-p53과 GADD45 단백질 발현량이 감소하였다. 위의 결과에서 복분자와 쑥 추출물은 UVB에 유도된 DNA 상해와 p53 및 GADD45와 같은 상해 반응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UVB에 의해 손상된 세포의 유전독성을 회복하는 효능이 있다고 생각된다.